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기술교육에서 학생들의 창조성 함양을 위한 교육 환경의 요소 탐색 = Inquir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echnological Creativity of Students in Technology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15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factors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echnological creativity of students in technology education. Improving technological creativity of students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and valuable goals of technology education because technology is in essence a manifestation of human crea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The contents of reviewing literature were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the education environment for creativit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of technology and creativity.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actors influencing on developing creativity of stud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individual qualities and environmental qualities.
      2. Individual qualities were included intellectual, personal, and motivation factors. And environmental qualities were included learning factors and situational, physical, institutional factors.
      3.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to drive internal factors of students such as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4. Environmental qualities on having creativity are external stimulation influencing on improving creativity of students. Learning factors is the heart of a school education.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climate of learning and behavior of teacher and physical factors included work·shop for technology education and resources, and social factors included support of school and administration.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ly apply the basic materials to technology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factors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echnological creativity of students in technology education. Improving technological creativity of students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and valuable goals of technology 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factors of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echnological creativity of students in technology education. Improving technological creativity of students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and valuable goals of technology education because technology is in essence a manifestation of human creativ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 The contents of reviewing literature were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the education environment for creativit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of technology and creativity.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Factors influencing on developing creativity of students were divided according to individual qualities and environmental qualities.
      2. Individual qualities were included intellectual, personal, and motivation factors. And environmental qualities were included learning factors and situational, physical, institutional factors.
      3. Educational environments have to drive internal factors of students such as creative ability, creative personality,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4. Environmental qualities on having creativity are external stimulation influencing on improving creativity of students. Learning factors is the heart of a school education. Psychological factors included climate of learning and behavior of teacher and physical factors included work·shop for technology education and resources, and social factors included support of school and administration.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ly apply the basic materials to technology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및 논의이 연구는 기술교육에서 학생들의 기술적 창조성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적 환경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창조적인 교육적 환경을 탐색하기 위하여 조직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온 창조적인 환경 그리고 교육에서의 창조적인 환경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과 기술교육에서의 교육적 요소와 창조적 환경에 대한 문헌 분석 방법에 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창조성 발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이원적 접근을 통하여 각각의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개인적 특성 측면에서는 지적 요소와 인성 요소 그리고 동기 요소를 포함하였으며, 환경적인 특성 측면에서는 학습의 요소와 심리적 요소, 물리적 요소, 사회적 요소를 포함하였다.기술교사나 기술교육 전문가들은 기술교육이 본질적으로 창조성, 발명과 혁신, 문제해결 등을 기초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에는 공감하지만,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제공해 줄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수행하였다. 표 7과 8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증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 결과는 학생들의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시켜 줄 수 있는 교육 환경의 조성을 위한 방안 모색 및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및 논의이 연구는 기술교육에서 학생들의 기술적 창조성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적 환경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창조적인 교육적 환경을 탐색하기 위하여 조직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

      및 논의이 연구는 기술교육에서 학생들의 기술적 창조성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적 환경을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창조적인 교육적 환경을 탐색하기 위하여 조직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 온 창조적인 환경 그리고 교육에서의 창조적인 환경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과 기술교육에서의 교육적 요소와 창조적 환경에 대한 문헌 분석 방법에 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창조성 발현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의 이원적 접근을 통하여 각각의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개인적 특성 측면에서는 지적 요소와 인성 요소 그리고 동기 요소를 포함하였으며, 환경적인 특성 측면에서는 학습의 요소와 심리적 요소, 물리적 요소, 사회적 요소를 포함하였다.기술교사나 기술교육 전문가들은 기술교육이 본질적으로 창조성, 발명과 혁신, 문제해결 등을 기초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에는 공감하지만, 학생들에게 어떻게 하면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제공해 줄 것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맥락에서 수행하였다. 표 7과 8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실증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이 결과는 학생들의 기술적 창조성을 함양시켜 줄 수 있는 교육 환경의 조성을 위한 방안 모색 및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초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 분담 문제해결 활동이 기술적 창의력 계발에 미치는 효과" 2001

      2 "기술적 창조성과 혁신의 의미 탐색" 5 (5): 1-17, 2005

      3 "기술교과 활동을 통한 기술적 창조성 교육방안 탐색" 6 (6): 15-28, 2006

      4 "기술 관련 전문가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적 창조성 모형 개발" 2005

      5 "University of West Virgin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73

      6 "Toward a unified curriculum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36 (36): 38-56, 1999

      7 "The Support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Creativity" 1991

      8 "The Interactive Influences of Three Ecological Systems on R & D Employees' Technological Creativity" 16 (16): 11-25, 2004

      9 "The Created Environment: An Assessment Tool for Technology Educatuon Teachers" 64 (64): 7-10, 2005

      10 "Technology Literacy synthesize" 1991

      1 "초중등학교 학생의 적응자혁신자 역할 분담 문제해결 활동이 기술적 창의력 계발에 미치는 효과" 2001

      2 "기술적 창조성과 혁신의 의미 탐색" 5 (5): 1-17, 2005

      3 "기술교과 활동을 통한 기술적 창조성 교육방안 탐색" 6 (6): 15-28, 2006

      4 "기술 관련 전문가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적 창조성 모형 개발" 2005

      5 "University of West Virgini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1973

      6 "Toward a unified curriculum framework: for technology education" 36 (36): 38-56, 1999

      7 "The Supportiv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Creativity" 1991

      8 "The Interactive Influences of Three Ecological Systems on R & D Employees' Technological Creativity" 16 (16): 11-25, 2004

      9 "The Created Environment: An Assessment Tool for Technology Educatuon Teachers" 64 (64): 7-10, 2005

      10 "Technology Literacy synthesize" 1991

      11 "Supportive Classroom Environments For Creativity in Higher Education" 33 (33): 277-293, 1999

      12 "Research in technology education: Some area of need" 10 (10): 41-56, 1999

      13 "Perceptions of the Best and Worst Climates for Creativity: Preliminary Validation Evidence for the Situational Outlook Questionnaire" 13 (13): 171-184, 2001

      14 "KEYS: Assessing the Climate for Creativity" Instrument published by the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1995

      15 "Individual Differences in Creativity Handbook of Creativity" Plenum 77-92, 1989

      16 "How to Develop Student Creativity" 1996

      17 "Dimensions of Creative Climate: A General Taxonomy" 15 (15): 97-116, 2005

      18 "Creativity in school technology education-A chorus voices : Keynote address, Learning for innovation in technology education. 3rd biennial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echnology education, Centre for Learning Research" Centre for Learning Research, Griffith University 2004

      19 "Creativity and Work Environment in a High-Tech Context" 12 (12): 11-23, 2003

      20 "Creativity" Academic Press 290-333, 1994

      21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39 (39): 1154-1184, 1996

      22 "An Investment Approach to Creativity: Theory and Data" MIT Press 1995

      23 "An International Study of Curricular Organizers for the Study of Technology Proceedings from an International Symposium on Technological Literacy Columbus" 127-135, 1987

      24 "A factor analysis of primary mental processes fo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83-100, 1999

      25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 Behavior" 123-167,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