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전국범죄피해조사 2020_분석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781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Ⅰ. 「전국범죄피해조사 2020」 조사 개요
      □ 조사 목적
      ∙ 전국범죄피해조사는 공식통계로는 확인할 수 없는 범죄피해(숨은 범죄피해)를 확인하고, 범죄피해 취약성 요인을 분석하며, 범죄피해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자 격년으로 수행되고 있음
      - 승인 통계명 :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 (국가통계 승인번호 제 403001호)

      □ 조사 내용
      ∙ 「전국범죄피해조사 2020」의 기본적인 조사내용은 「전국범죄피해조사 2018」의 조사내용과 동일(※ 세부적인 표현과 항목에는 일부 변화가 있으며, 구체적인 주요 변경내용은 실사보고서의 조사 설계를 참고)
      ∙ 조사표
      - 기초조사표 : 가구구성, 동네와 이웃 관계, 일상생활과 범죄예방 활동, 배경문항(거주기간, 교육 수준, 월 평균 가구 소득 등), 작년(2020년) 한 해 동안 겪은 범죄피해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스크리닝 문항
      - 사건조사표 : (2020년에 경험한 범죄피해에 대해) 사건 발생 일시와 장소, 범행수법, 신체피해, 피해자의 대응, 재산피해, 정신적 피해, 가해자의 특성, 경찰신고와 처리현황

      □ 표본 설계 및 조사 방법
      ∙ 목표 모집단 : 조사 기준 시점에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 및 만 14세 이상의 가구원
      ∙ 조사 모집단 : 2019년 인구총조사 상의 일반 조사구 중 보통 조사구(1) 및 아파트 조사구(A)의 모든 가구 및 만 14세 이상 가구원
      ∙ 표본 추출 방법
      - 층화 추출(조사구) : 17개 시도로 1차 층화한 이후, 서울특별시와 6개 광역시는 동부, 세종특별자치시와 9개 도는 동부와 읍면부로 2차 층화한 이후, 610개 조사구를 추출함
      - 계통 추출(조사구 내 11가구)
      ∙ 가중치 부여 : 설계 가중치, 무응답 조정 가중치, 사후 층화 가중치
      ∙ 조사 방법 : Tablet-PC를 활용한 TAPI(Tablet-pc Assisted Personal Interview) 방법을 도입하여 가구 방문 조사
      ∙ 조사 주기 : 2년(홀수 년도)
      ∙ 조사 기간 : 2021.8.11. ~ 2021.10.22.
      ∙ 조사 완료 : 6,708가구의 만 14세 이상 가구원 13,772명

      □ 결과 제공
      ∙ 「전국범죄피해조사」 보고서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홈페이지 : www.kic.re.kr > 발간물 > 보고서
      - DBpia : www.dbpia.co.kr
      ∙ 마이크로데이터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통계포털 CCJS: www.crimestats.or.kr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 통계청 국가지표체계 K-indicator
      - 통계청 MDIS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홈페이지
      ∙ 통계DB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통계포털 CCJS: www.crimestats.or.kr
      ∙ 인포그래픽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통계포털 CCJS: www.crimestats.or.kr
      Ⅱ. 「전국범죄피해조사 2020」의 주요 분석 결과: 원문확인
      번역하기

      Ⅰ. 「전국범죄피해조사 2020」 조사 개요 □ 조사 목적 ∙ 전국범죄피해조사는 공식통계로는 확인할 수 없는 범죄피해(숨은 범죄피해)를 확인하고, 범죄피해 취약성 요인을 분석하며, 범죄...

      Ⅰ. 「전국범죄피해조사 2020」 조사 개요
      □ 조사 목적
      ∙ 전국범죄피해조사는 공식통계로는 확인할 수 없는 범죄피해(숨은 범죄피해)를 확인하고, 범죄피해 취약성 요인을 분석하며, 범죄피해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과 태도를 파악하고자 격년으로 수행되고 있음
      - 승인 통계명 :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 (국가통계 승인번호 제 403001호)

      □ 조사 내용
      ∙ 「전국범죄피해조사 2020」의 기본적인 조사내용은 「전국범죄피해조사 2018」의 조사내용과 동일(※ 세부적인 표현과 항목에는 일부 변화가 있으며, 구체적인 주요 변경내용은 실사보고서의 조사 설계를 참고)
      ∙ 조사표
      - 기초조사표 : 가구구성, 동네와 이웃 관계, 일상생활과 범죄예방 활동, 배경문항(거주기간, 교육 수준, 월 평균 가구 소득 등), 작년(2020년) 한 해 동안 겪은 범죄피해 경험을 확인하기 위한 스크리닝 문항
      - 사건조사표 : (2020년에 경험한 범죄피해에 대해) 사건 발생 일시와 장소, 범행수법, 신체피해, 피해자의 대응, 재산피해, 정신적 피해, 가해자의 특성, 경찰신고와 처리현황

      □ 표본 설계 및 조사 방법
      ∙ 목표 모집단 : 조사 기준 시점에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가구 및 만 14세 이상의 가구원
      ∙ 조사 모집단 : 2019년 인구총조사 상의 일반 조사구 중 보통 조사구(1) 및 아파트 조사구(A)의 모든 가구 및 만 14세 이상 가구원
      ∙ 표본 추출 방법
      - 층화 추출(조사구) : 17개 시도로 1차 층화한 이후, 서울특별시와 6개 광역시는 동부, 세종특별자치시와 9개 도는 동부와 읍면부로 2차 층화한 이후, 610개 조사구를 추출함
      - 계통 추출(조사구 내 11가구)
      ∙ 가중치 부여 : 설계 가중치, 무응답 조정 가중치, 사후 층화 가중치
      ∙ 조사 방법 : Tablet-PC를 활용한 TAPI(Tablet-pc Assisted Personal Interview) 방법을 도입하여 가구 방문 조사
      ∙ 조사 주기 : 2년(홀수 년도)
      ∙ 조사 기간 : 2021.8.11. ~ 2021.10.22.
      ∙ 조사 완료 : 6,708가구의 만 14세 이상 가구원 13,772명

      □ 결과 제공
      ∙ 「전국범죄피해조사」 보고서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홈페이지 : www.kic.re.kr > 발간물 > 보고서
      - DBpia : www.dbpia.co.kr
      ∙ 마이크로데이터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통계포털 CCJS: www.crimestats.or.kr
      -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KOSIS
      - 통계청 국가지표체계 K-indicator
      - 통계청 MDIS
      - 한국사회과학자료원 홈페이지
      ∙ 통계DB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통계포털 CCJS: www.crimestats.or.kr
      ∙ 인포그래픽
      -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통계포털 CCJS: www.crimestats.or.kr
      Ⅱ. 「전국범죄피해조사 2020」의 주요 분석 결과: 원문확인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1
      • Ⅰ. 조사개요
      • 박형민
      • 국문요약 1
      • Ⅰ. 조사개요
      • 박형민
      • 제1장 연혁 및 일정 13
      • 제2장 표본설계와 가중치 17
      • 제3장 표본의 대표성 및 특성 25
      • 제4장 범죄피해 유형 판별 35
      • Ⅱ. 결과분석
      • 최수형・김낭희・이선형・조제성
      • 제1장
      • 최수형
      • 전국 범죄피해 실태 : 시계열 비교 47
      • 제1절 개인 대상 범죄피해 실태 49
      • 1. 범죄 피해자 수와 범죄 피해자율 50
      • 2. 범죄피해 건수와 범죄 피해율 51
      • 3. 피해자별 피해 횟수 56
      • 제2절 가구 대상 범죄피해 발생 58
      • 1. 가구 대상 범죄피해 가구 수와 피해 가구 비율 58
      • 2. 가구 대상 범죄피해 건수와 범죄 피해율 59
      • 3. 범죄피해 가구별 피해 횟수 61
      • 제3절 주요 결과 요약 및 논의 62
      • 제2장
      • 최수형
      • 폭력범죄피해 발생실태 및 결과 65
      • 제1절 폭력범죄피해 발생실태 67
      • 1. 폭력범죄피해 발생 시점 67
      • 2. 폭력범죄피해 발생 장소 68
      • 제2절 폭력범죄피해 내용 및 결과 70
      • 1. 폭력범죄피해 내용 70
      • 2. 폭력범죄피해 결과 76
      • 제3절 폭력범죄 가해자의 특성 80
      • 1. 폭력범죄 가해자 인지 여부 80
      • 2. 폭력범죄 가해자의 특성 80
      • 3. 폭력범죄 피해자와 가해자와의 관계 82
      • 제4절 주요 결과 요약 및 논의 83
      • 제3장
      • 김낭희
      • 재산범죄피해 발생실태 및 결과 85
      • 제1절 재산범죄피해 발생실태 87
      • 1. 재산범죄피해 발생 시점 87
      • 2. 재산범죄피해 발생 장소 88
      • 제2절 재산범죄피해 내용 및 결과 90
      • 1. 재산범죄피해 내용 90
      • 2. 재산범죄피해 결과 97
      • 제3절 주요 결과 요약 및 논의 102
      • 제4장
      • 김낭희
      • 가구범죄피해 발생실태 및 결과 103
      • 제1절 가구범죄피해 발생실태 105
      • 1. 가구범죄피해 발생 현황 105
      • 2. 가구범죄피해 발생 시점 108
      • 3. 가구범죄피해 발생 장소 109
      • 제2절 가구범죄피해 내용 및 결과 111
      • 1. 가구범죄피해 내용 111
      • 2. 가구범죄피해 결과 117
      • 제3절 주요 결과 요약 및 논의 122
      • 제5장
      • 이선형
      • 범죄피해 취약성 요인 123
      • 제1절 지역사회 특성과 범죄피해 126
      • 1. 지역사회 특성과 재산범죄피해 127
      • 2. 지역사회 특성과 폭력범죄피해 128
      • 3. 지역사회 특성과 주거침입범죄피해 129
      • 제2절 가구의 특성과 범죄피해 130
      • 1. 가구 특성과 재산범죄피해 131
      • 2. 가구 특성과 폭력범죄피해 132
      • 3. 가구특성과 주거침입범죄피해 134
      • 제3절 개인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범죄피해 135
      • 1.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재산범죄피해 136
      • 2.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폭력범죄피해 139
      • 제4절 개인의 생활양식, 온라인 활동과 범죄피해 140
      • 1. 생활양식과 재산범죄피해 140
      • 2. 생활양식과 폭력범죄피해 141
      • 3. 온라인 활동과 범죄피해 142
      • 제5절 주요 결과 요약 및 논의 146
      • 제6장
      • 조제성
      • 범죄피해 경찰 신고 및 처리 현황 149
      • 제1절 범죄피해 신고 151
      • 1. 범죄피해 신고 여부 151
      • 2. 범죄피해 신고 및 미신고 이유 152
      • 제2절 경찰의 조치와 만족도 155
      • 1. 경찰 조치 상황 155
      • 2. 경찰의 정보 제공 157
      • 3. 경찰 조치에 대한 만족도 158
      • 4. 범인 검거 여부 158
      • 제3절 주요 결과 요약 및 논의 159
      • 1. 범죄피해 신고 관련 주요 결과 및 논의 159
      • 2. 경찰의 조치와 만족도 관련 주요 결과 및 논의 160
      • 제7장
      • 조제성
      • 범죄 발생 인식, 범죄 두려움 및 범죄예방 활동 161
      • 제1절 범죄 발생에 대한 인식 및 영향요인 163
      • 1. 우리나라 및 동네의 범죄 발생에 대한 인식 163
      • 2. 범죄 발생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164
      • 제2절 범죄 두려움 및 영향요인 169
      • 1.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유형별 응답 169
      • 2.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 172
      • 제3절 범죄예방 활동 및 영향요인 178
      • 1. 소극적·적극적 범죄예방 활동 178
      • 2. 범죄예방 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179
      • 제4절 주요 결과 요약 및 논의 183
      • 1. 범죄 발생에 대한 인식의 주요 결과 및 논의 183
      • 2. 범죄 두려움의 주요 결과 및 논의 183
      • 3. 범죄예방 활동의 주요 결과 및 논의 185
      • Ⅲ. 통계표 187
      • Abstract 571
      • 부 록 579
      • 부록 1. 「2020년 기준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 기초조사표(가구대표용) 579
      • 부록 2. 「2020년 기준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 기초조사표(가구원) 594
      • 부록 3. 「2020년 기준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 사건조사표 6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