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화성시 에너지자립 실행계획 수립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16882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의 목적
      ? 화성시 에너지 소비 · 공급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 지역 개발 및 국가 에너지 정책변화에 의한 향후 에너지 수급 전망, 신재생에너지 잠재량 파악 및 보급 확대 계획을 포함한 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 화성시는 2003년부터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주공4·5·8·9·10단지 및 주암장군마을 등에서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인구 유입의 변동성이 크고 최종에너지 소비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는 지역적 특징이 있음
      ? 신축 건물이 대규모로 건설되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특징을 고려하여 건물 에너지 효율화 및 신· 재생에너지 확대 보급 방안 도출 시 신축 건물과 기축 건물로 구분하여 계획을 수립함
      ? 단기, 중기 및 장기에 착수 가능한 사업 도출을 목표로 한 실행계획임을 고려하여 에너지 자립 비전 및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2030 화성시 에너지 로드맵에서 단기, 중기 및 장기 사업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구성함
      - 단기 : 정부 및 경기도 예산 편성 사업 및 화성시 기존 에너지 관련 시책
      - 중기 : 화성시 에너지 수급 개선을 위한 추진 사업 중 기반 조성이 필요한 사업
      - 장기 : 사업 추진체계 구성 및 예산 확보를 위한 제안이 필요한 사업
      번역하기

      연구의 목적 ? 화성시 에너지 소비 · 공급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 지역 개발 및 국가 에너지 정책변화에 의한 향후 에너지 수급 전망, 신재생에너지 잠재량 파악 및 보...

      연구의 목적
      ? 화성시 에너지 소비 · 공급 및 온실가스 배출현황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 지역 개발 및 국가 에너지 정책변화에 의한 향후 에너지 수급 전망, 신재생에너지 잠재량 파악 및 보급 확대 계획을 포함한 에너지 기본계획 수립
      ? 화성시는 2003년부터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주공4·5·8·9·10단지 및 주암장군마을 등에서 재개발·재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인구 유입의 변동성이 크고 최종에너지 소비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나는 지역적 특징이 있음
      ? 신축 건물이 대규모로 건설되는 재개발·재건축 사업의 특징을 고려하여 건물 에너지 효율화 및 신· 재생에너지 확대 보급 방안 도출 시 신축 건물과 기축 건물로 구분하여 계획을 수립함
      ? 단기, 중기 및 장기에 착수 가능한 사업 도출을 목표로 한 실행계획임을 고려하여 에너지 자립 비전 및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2030 화성시 에너지 로드맵에서 단기, 중기 및 장기 사업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구성함
      - 단기 : 정부 및 경기도 예산 편성 사업 및 화성시 기존 에너지 관련 시책
      - 중기 : 화성시 에너지 수급 개선을 위한 추진 사업 중 기반 조성이 필요한 사업
      - 장기 : 사업 추진체계 구성 및 예산 확보를 위한 제안이 필요한 사업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연구의 개요
      • Ⅰ.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추진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Ⅱ. 연구의 범위 및 내용 4
      • 제1장. 연구의 개요
      • Ⅰ.배경 및 목적 1
      • 1. 연구 추진 배경 1
      • 2. 연구의 목적 2
      • Ⅱ. 연구의 범위 및 내용 4
      • 1. 연구의 범위 4
      • 2. 연구의 내용 5
      • 3. 수행절차 7
      • Ⅲ. 기존계획 성과평가 8
      • 1. 전차 계획 8
      • 2. 전 성과 평가 11
      • 제2장. 에너지정책 환경 분석
      • Ⅰ.국내외 여건 변화 분석 15
      • 1. 국내외 여건 변화 분석 15
      • Ⅱ. 국가 에너지기본계획의 목표 및 과제 24
      • 1. 에너지 관련 국가 주요 계획 24
      • Ⅲ. 관련 법령 36
      • 1. 관련법령 현황 36
      • 제3장. 지역특성 및 에너지 수급 분석
      • Ⅰ.화성시 기초현황 45
      • 1. 위치 및 현황 45
      • 2. 기상 및 기후 47
      • 3. 인구 및 세대 50
      • 4. 도로 및 교통 54
      • 5. 산업 및 경제 55
      • 6. 시사점 71
      • 7. 재개발·재건축 및 대규모 택지개발 현황 72
      • 8. 관련 및 연관계획 74
      • Ⅱ. 에너지 수급 추이 분석 77
      • 1. 에너지 수급추이 분석 77
      • 2. 종합 및 시사점 111
      • Ⅲ. 에너지 정책수립을 주민 설문조사 결과 112
      • 1. 설문조사 개요 112
      • Ⅳ. 에너지 정책수립을 위한 사례 검토 129
      • 1. 목적 및 조사범위 12
      • 2. 에너지 자립화 모델 130
      • 3. 에너지 효율화 모델 135
      • 4. 주민참여 및 에너지복지 모델 139
      • 5. 시사점 140
      • 제4장 지역에너지 자립 비전 및 목표
      • Ⅰ. 전망을 위한 주요전제 145
      • 1. 전망을 위한 주요전제 145
      • 2. 최종 에너지 소비 전망 146
      • 3. 최종에너지 부문별 소비 전망 148
      • 4. 소결 149
      • Ⅱ. 화성시 에너지여건 SWOT분석 결과 150
      • 1. 에너지계획 수립 SWOT 분석 150
      • 2. 에너지자립 시나리오 151
      • Ⅲ. 화성시 에너지자립 비전 및 목표 155
      • 1. 에너지 비전 및 목표 155
      • Ⅳ. 연차별 에너지자립 실행계획 지표 156
      • 1. 실행계획 사업개요 156
      • 2. 추진지표 159
      • 제5장. 에너지절감 세부 실행계획
      • Ⅰ. 추진전략 1 - 에너지자립 도시화 163
      • 1.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163
      • 2. 지역 에너지 신산업 조성사업 166
      • 3. 에너지자립마을 조성사업 168
      • 4. 신재생에너지 주택지원사업 170
      • 5. 미니태양광 보급지원사업 172
      • 6. 도민참여형 에너지자립 선도사업 174
      • 7. 신재생에너지 지역지원사업 176
      • 8. 화성시 수소경제 활성화 추진(요건 확인 필요) 178
      • 9. 공영주차장 태양광 설치 사업 182
      • 10. 신재생에너지 자원조사 185
      • 11. 폐기물 자원화시설 사업 186
      • 12. 산업단지 태양광 조성 187
      • 13. 대기업 태양광 발전사업 188
      • Ⅱ. 추진전략 2 ? 에너지 효율화 189
      • 1. 에너지데이터 구축 및 신에너지서비스 확충 189
      • 2. 지역에너지 절약사업 191
      • 3. 에너지자립 건축 가이드라인 193
      • 4. 택지 지구 제로에너지단지 조성사업 196
      • 5. 중소기업 에너지진단 및 시설개선 지원사업 199
      • 6. 소규모 점포 및 다중이용시설 에너지 컨설팅 201
      • 7. 전기자동차 구매지원 사업 203
      • 8. 전기이륜차 구매지원 사업 204
      • 9. 수소연료전지차 구매지원 사업 205
      • 10. 운행차 저공해화 사업 207
      • 11. 집단에너지 공급 지원 208
      • 12. 가정용 저녹스 보일러 설치 지원 사업 210
      • 13. 에너지절약 컨설팅·교육 사업 212
      • 14. 에너지경영시스템(FEMS) 도입 사업 214
      • 15. 에너지자립건물(제로에너지빌딩) 사업 216
      • 16. 에너지저장장치(ESS) 설치 사업 218
      • 17. 에코드라이브 활성화 사업 220
      • 18. 화성형 RE-100 활성화 사업 222
      • 19. 에너지 진단 및 시설개선 사업 228
      • Ⅲ. 추진전략 3 ? 주민참여 및 에너지 복지 232
      • 1. 경비실 1. 경비실 미니태양광 보급 시범사업 230
      • 2. 사회복지시설(경로당) 에너지자립 지원사업 232
      • 3. 신재생에너지 인식제고 교육 234
      • 4. 시민에너지 교육 및 홍보 235
      • 5. 자전거 이용 활성화 236
      • 6. 에너지 협동조합(시민햇빛발전소 등) 사업 237
      • 7. 에너지바우처 지원 사업 239
      • 8. 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 사업 241
      • 9. 취약계층 에너지복지 [LED 보급] 사업 243
      • 10. 화성시 RE-100 가입 246
      • 11. 탄소포인트 통합운영 사업 249
      • 12. 에너지 지원센터 설립 운영 253
      • 13. 에너지 솔라리그 시행 254
      • Ⅳ. 투자 및 재정계획 258
      • 1. 단계별 투자계획 256
      • 2. 파급효과 263
      • 3. 재원조달방안 2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