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심도변화에 따른 흥해지역 지하수의 수리 지화학적 특성 =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on Well Depth Variation in the Heunghae Area,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3078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포항시 흥해읍 일대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표수, 천부지하수 및 중간심도 와 심부 지하수를 대상으로 수질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심도별 수질 유...

      포항시 흥해읍 일대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표수, 천부지하수 및 중간심도 와 심부 지하수를 대상으로 수질 및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심도별 수질 유형은 지표수 및 천부지하수는 Ca-Cl, 중간 심도는 Na-HCO3, 심부지하수는 Na-Cl형이 우세하게 나타난다. HCO3- 및 SiO2의 기원은 천부 지하수의 경우 규산염광물의 풍화에서, 심부 지하수는 탄산염 광물의 풍화에서 생성되었다. Ca 및 Mg 이온은 천부 및 심부 모두 석회석 및 백운석에서 기인한다. 천부 지하수의 SO42- 기원은 황철석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심도의 증가에 따라 pH 및 TDS는 증가하나, Eh 및 DO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알카리 금속(K, Na, Li)은 심부로 갈수록 농도가 증가하나, 알카리 토금속(Mg, Ca) 및 Al은 천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음이온인 할로겐 원소(F, Cl, Br) 및 HCO3-의 농도도 심부로 갈수록 증가함을 보인다. 산소 및 수소 안정동위원소 평균값은 심부 지하수는 평균값:δ18O=-10.1 ‰, δD=-65.8 ‰, 중간심도는 평균값:δ18O=-8.9 ‰, δD=-59.6 ‰, 천부 지하수는 평균값:δ18O=-8.0 ‰, δD=-53.6 ‰, 지표수는 평균값:δ18O=-7.9 ‰, δD=-53.3 ‰의 값을 각각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emical and isotopic analysis for stream water, shallow groundwater, intermediate groundwater and deep groundwater was carried out to grasp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Heunghae area, Pohang city. Water type of stream water ...

      Chemical and isotopic analysis for stream water, shallow groundwater, intermediate groundwater and deep groundwater was carried out to grasp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Heunghae area, Pohang city. Water type of stream water and shallow groundwaters is typified as Ca-Cl type, intermediate groundwater is Na-HCO3, and deep groundwater is prominent in Na-Cl type. HCO3- and SiO2 in shallow groundwater are originated from weathering of silicate minerals, whereas those of deep groundwaters are resulted from weathering of carbonate minerals. Ca and Mg ions in both shallow and deep groundwaters are resulted from weathering of calcite and dolomite. SO42- in shallow groundwater is originated mainly from pyrite oxidation. As well depth increases, pH and TDS increase, but Eh and DO decrease. Alkali metal contents(K, Na, Li) increases as well depth increases, but alkali earth metal(Mg, Ca) and Al concentrations increase as well depth decreases. Anions, halogen elements(F, Cl, Br), and HCO3 contents increase as well depth increases. The average stable isotope value of the groundwater of each depth is as follows; deep groundwater:δ18O=-10.1 ‰, δD=-65.8 ‰, intermediate groundwater:δ18O=-8.9 ‰, δD=-59.6 ‰, shallow groundwater:δ18O=-8.0 ‰, δD=-53.6 ‰, surface water:δ18O=-7.9 ‰, δD=-53.3 ‰ resp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풍기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및 환경안정동위원소 특성연구" 지하수환경학회 5 : 177-191, 1998

      2 "포항천연가스후보지구 지질 및 물리탐사종합보고 국립지질조사소" 1967

      3 "포항강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 변화" 30 : 321-325, 1997

      4 "지구 온천공 조사 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온천공조사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62-, 2000

      5 "우리나라 대전과 서울지역 강수의 안정동위원소 성분" 475-481, 1994

      6 "영일 신광 지구 온천 종합 조사 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1992

      7 "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층서학적 연구" 117-129, 1988

      8 "심부지열에너지 개발사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5-03, 2003

      9 "심부지열에너지 개발사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26-, 2004

      10 "남한의 지하수 및 강수의 안정동위원소조성" 37-46, 1988

      1 "풍기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및 환경안정동위원소 특성연구" 지하수환경학회 5 : 177-191, 1998

      2 "포항천연가스후보지구 지질 및 물리탐사종합보고 국립지질조사소" 1967

      3 "포항강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 변화" 30 : 321-325, 1997

      4 "지구 온천공 조사 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온천공조사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62-, 2000

      5 "우리나라 대전과 서울지역 강수의 안정동위원소 성분" 475-481, 1994

      6 "영일 신광 지구 온천 종합 조사 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1992

      7 "에 분포하는 화산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층서학적 연구" 117-129, 1988

      8 "심부지열에너지 개발사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85-03, 2003

      9 "심부지열에너지 개발사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26-, 2004

      10 "남한의 지하수 및 강수의 안정동위원소조성" 37-46, 1988

      11 "국립지질조사소" 1964

      12 "국립지질조사소" 1968

      13 "Revised stratigraphy and reinterpretation of the Miocene Pohang basinfills sequence development in response to tectonic and eustassy in a back-arc basin margin" 143 : 265-285, 2001

      14 "Prediction of some weathering trends of plutonic and volcanic rocks based on thermodynamic and kinetic consideration" 1523-1534, 1984

      15 "Practical guide for groundwater sampling" 1985

      16 "Mineral-water equilibria in silicate weathering XXIII" 149-160, 1968

      17 "Isotope measurements in research on seawater intrusion in the carbonate aquifer of the Salentine Peninsular Isotope technique in groundwater hydrology" 441-463, 1974

      18 "Fan-delta systems in the Pohang basin" Seoul Nat'l Univ 1993

      19 "Environmental isotope hydrology in the Hodna-Algeria region isotope techniques in groundwater hydrology" Dincer 293-316, 1974

      20 "Environmental isotope as a hydrogeological tool Isotope in der Natur" 177-179, 1976

      21 "Criteria for recognition of seawater in groundwater" 593-597, 1941

      22 "Chemical composition of petrographic assemblage of igneous and related rocks in south Korea" 75-92, 1977

      23 "Characterization of the principal weathering types by the geochemistry of waters from some European and African crystalline massif" 253-271, 197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3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 The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4-01-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1 0.839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