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필리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자녀 양육 경험: 농촌을 중심으로 = The experiences of child-rearing by Filipino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 men and Korean women married to Korean men: A focus on the experiences of rural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70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산 후 자녀 양육경험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양육경험을 비교하기 위해 농촌에서 자녀를 키우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 15명과 한국인 결혼여성 15명을 포함하여 총 3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은 기혼 여성들로 자녀가 있는 연구대상들을 면접하였으며 녹취한 내용은 Colaizzi 방법에 의한 연구절차에 따라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경험은 4개 범주, 7개 주제군, 19개 주제였으며 한국인 결혼여성의 양육경험의 의미는 4개 범주, 8개 주제군, 19개 주제로 구성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필리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양육 경험의 4가지 범주는 ‘어머니 관련’, ‘자녀 관련’, ‘남편 관련’, ‘생활 관련’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필리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양육경험 의미에 대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며 필리핀 결혼 이주여성들의 자녀 양육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여 한국적응과 양육방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필리핀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산 후 자녀 양육경험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양육경험을 비교하기 위해 농촌에서 자녀를 키우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 15명과 한국인 결혼여성 15명을 포...

      본 연구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들의 출산 후 자녀 양육경험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양육경험을 비교하기 위해 농촌에서 자녀를 키우는 필리핀 결혼이주여성 15명과 한국인 결혼여성 15명을 포함하여 총 3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은 기혼 여성들로 자녀가 있는 연구대상들을 면접하였으며 녹취한 내용은 Colaizzi 방법에 의한 연구절차에 따라 자료를 비교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필리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경험은 4개 범주, 7개 주제군, 19개 주제였으며 한국인 결혼여성의 양육경험의 의미는 4개 범주, 8개 주제군, 19개 주제로 구성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필리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양육 경험의 4가지 범주는 ‘어머니 관련’, ‘자녀 관련’, ‘남편 관련’, ‘생활 관련’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필리핀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인 결혼여성의 양육경험 의미에 대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살펴보며 필리핀 결혼 이주여성들의 자녀 양육 경험의 본질을 이해하여 한국적응과 양육방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필리핀 결혼이주여성들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29 (29): 1208-1220, 1999

      2 김민정, "한국 가족의 변화와 지방 사회의 필리핀 아내" 한국여성연구소 7 (7): 213-248, 2007

      3 김민정, "필리핀 이주 노동자의 한국남편되기" 2003

      4 김동엽, "필리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동남아학회 20 (20): 31-72, 2010

      5 김현경,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결혼생활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519-535, 2008

      6 강미연, "필리핀 결혼 이주 여성의 ‘엄마 되기’" 28 : 73-103, 2009

      7 전북발전연구원, "폭력피해 이주여성 자립 지원해야" (10) : 2010

      8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9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0

      10 신경림, "질적 간호연구방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7

      1 김분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Kaam 방법을 중심으로" 29 (29): 1208-1220, 1999

      2 김민정, "한국 가족의 변화와 지방 사회의 필리핀 아내" 한국여성연구소 7 (7): 213-248, 2007

      3 김민정, "필리핀 이주 노동자의 한국남편되기" 2003

      4 김동엽, "필리핀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동남아학회 20 (20): 31-72, 2010

      5 김현경,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결혼생활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519-535, 2008

      6 강미연, "필리핀 결혼 이주 여성의 ‘엄마 되기’" 28 : 73-103, 2009

      7 전북발전연구원, "폭력피해 이주여성 자립 지원해야" (10) : 2010

      8 신경림,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9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0

      10 신경림, "질적 간호연구방법"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7

      11 한국염, "이주여성, 그들은 우리와 함께 살고 있는 주민이다. 참여정부 4년, 여성의 삶은 나아졌는가. In 한국인결혼여성단체 연합 여성정책 평가 및 정책제언 토론회 자료집" 100-113, 2007

      12 윤형숙,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역사문화학회 8 (8): 299-339, 2005

      13 현은애, "여성결혼이민자의 자녀양육 어려움과 적응 프로그램 요구도" 한국생활과학회 18 (18): 675-687, 2009

      14 구수연, "어린이집 생활을 통해 본여성 결혼이민자 자녀와 가정에 대한 이해"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95-124, 2007

      15 유혜령, "소수 민족 유아의 유치원 생활경험" 2 (2): 139-170, 1999

      16 남인숙, "도시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결혼만족도 비교" 여성건강간호학회 17 (17): 99-108, 2011

      17 김연수,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적용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4 (24): 189-222, 2008

      18 박은애,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실태 조사연구: 경상남도 다문화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19 송미경,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부모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497-517, 2008

      20 김근영, "다문화가정 연구개관과 향후 방향성" 한국심리학회 28 (28): 571-597, 2009

      21 서연, "농촌지역의 국제결혼 가정 자녀가 경험하는어려움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5-47, 2007

      22 권복순,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09-134, 2006

      23 박행모,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사회생활 적응 교육을 위한 실태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0 (40): 69-91, 2008

      24 정은희,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 발달과 언어 환경"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33-52, 2004

      25 양승민,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943-966, 2009

      26 김도희,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배우자 지지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학회 19 (19): 53-78, 2007

      27 김진희, "농촌과 도시지역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 비교 -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사회학회 18 (18): 127-160, 2008

      28 배경의,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행위와 양육효능감" 아동간호학회 16 (16): 175-183, 2010

      29 이진숙, "국제결혼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1-42, 2007

      30 김지현,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양육경험" 12 (12): 46-60, 2009

      31 박정숙,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59-70, 2007

      32 설동훈,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005

      33 통계청, "국내․국제 통계 자료"

      34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국내 통계 자료"

      35 김희주,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을 위한 대처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5 (35): 33-66, 2007

      36 채혜경, "결혼이민자가정 유아의 문해능력과 가정문해환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37 전홍주, "결혼이민자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자녀 교육지원의 실제와 의미: 필리핀과 일본 어머니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0 (20): 161-186, 2008

      38 Oishi, N., "Women in Motion: Globalization, State Policies and Labor Migr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39 Illo, J. F., "Redefining the ‘Maybahay’ or Housewife: Reflections on the Nature of Women's Work in Philippines" 14 : 209-226, 1992

      40 Patton, M. Q.,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3rd ed)" Sage 2002

      41 Colaizzi, F. E.,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cal views it, In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42 Weizman, Z. O., "Lexical input as related to children's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 of sophisticated exposure and support for meaning" 37 : 265-279, 2001

      43 Kvale, S., "Interviews: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interviewing" Sage 1996

      44 Hoff, E., "How children use input in acquiring a lexicon" 73 : 418-433, 2002

      45 Aguilar, D. D., "Ambiguities of Motherhood in the Philippines" Institute of Women's Studies. St. Scholastica's 6 : 89-104,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8 1.88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5 2.02 2.36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