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朱子의 감정론에서 中節의 의미를 고찰한다. 中節은 조선 성리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개념일 뿐 아니라 현대 도덕 감정이론과도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테마이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36068
201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51-573(23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朱子의 감정론에서 中節의 의미를 고찰한다. 中節은 조선 성리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개념일 뿐 아니라 현대 도덕 감정이론과도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테마이다....
이 논문은 朱子의 감정론에서 中節의 의미를 고찰한다. 中節은 조선 성리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는 개념일 뿐 아니라 현대 도덕 감정이론과도 소통할 수 있는 중요한 테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은 주자의 중절 개념을 분석하고 그 윤리학적 의의를 해명함으로써, 조선 성리학 연구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성리학의 감정론과 현대 도덕 감정이론이 소통할 수 있는 場을 마련하고자 시도한다. 이 논문은 먼저 四端이 不中節한 상황에 대한 주자의 언급을 분석하고 그 철학적 의의를 탐색한다. 그 다음 감정의 中節이 윤리적으로 무슨 의미인지를 공동체의 가치 규범과의 상관성 안에서 해명하고, 이를 통해 주자의 도덕 감정론이 가지는 윤리학적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감정의 부중절이 발생하는 원인을 고찰하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正心 공부가 가지는 의미를 밝히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lluminates the meaning of the appropriate moral emotion in Zhu Xi"s emotion theory. Despite the appropriateness of moral emotion is important concept in Joseon Neo-Confucianism and crucial theme in contemporary moral emotion theory, nobody...
This paper illuminates the meaning of the appropriate moral emotion in Zhu Xi"s emotion theory. Despite the appropriateness of moral emotion is important concept in Joseon Neo-Confucianism and crucial theme in contemporary moral emotion theory, nobody research on this. For the sakes of providing useful datum to Joseon Neo-Confucianism researchers and communicating Neo-Confucianism with contemporary emotion theory, this paper researches this theme. First, this paper analyzes Zhu Xi"s comments on the inappropriateness of innate moral emotions, and finds their philosophical significance. Second, this paper elucidates the cause of inappro-priateness and illuminates "rectifying one"s mind" as the method to overcome inappropriateness. Finally, this paper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appropriateness of emotion with value norms of community, and suggests the meaning of Zhu Xi"s moral emotion theo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奇大升, "한국문집총간 40" 민족문화추진회
2 李滉, "한국문집총간 29-31" 민족문화추진회
3 홍성민, "주자 수양론에서 기질변화설의 의미" 한국동양철학회 (30) : 275-296, 2008
4 양선이, "공감의 윤리와 도덕규범: 흄의 감성주의와 관습적 규약" 철학연구회 (95) : 153-179, 2011
5 王夫之, "讀四書大全說長沙" 岳麓書社 1998
6 陳來, "東亞儒學九論" 三聯書店 2008
7 金春峰, "朱熹哲學思想" 東大圖書股分公司 2000
8 陳來, "朱子哲學硏究"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0
9 "朱子全書" 上海古籍出版社; 安徽敎育出版社
10 朱熹, "朱子全書" 上海古籍出版社; 安徽敎育出版社
1 奇大升, "한국문집총간 40" 민족문화추진회
2 李滉, "한국문집총간 29-31" 민족문화추진회
3 홍성민, "주자 수양론에서 기질변화설의 의미" 한국동양철학회 (30) : 275-296, 2008
4 양선이, "공감의 윤리와 도덕규범: 흄의 감성주의와 관습적 규약" 철학연구회 (95) : 153-179, 2011
5 王夫之, "讀四書大全說長沙" 岳麓書社 1998
6 陳來, "東亞儒學九論" 三聯書店 2008
7 金春峰, "朱熹哲學思想" 東大圖書股分公司 2000
8 陳來, "朱子哲學硏究" 華東師範大學出版社 2000
9 "朱子全書" 上海古籍出版社; 安徽敎育出版社
10 朱熹, "朱子全書" 上海古籍出版社; 安徽敎育出版社
11 朱熹, "朱子全書" 上海古籍出版社 安徽敎育出版社
12 朱熹, "朱子全書" 上海古籍出版社 安徽敎育出版社 2001
13 홍성민, "朱子 哲學에서 감정 주체와 감정 적합성의 의미 - 正心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중국학연구회 (63) : 319-341, 2013
14 홍성민, "朱子 哲學에서 未發 涵養의 문제 - 中和 論辯 시기를 중심으로 -" 대한철학회 104 : 289-314, 2007
15 牟宗三, "心體與性體卷下" 正中書局 1968
16 備旨本, "大學章句大全(영인본)"
17 Sunny Yang, "The Appropriateness of Moral Emotion and Humean Sentimentalism" 2009
18 Justin D' arms, "Moralistic Fallacy: On the 'Appropriateness' of Emotions" LXI (LXI): 2000
19 Copi, Irving M, "Introduction to Logic" Pearson Prentice Hall 2011
<사고와 표현> 수업에 적용해 본 ‘3분 스피치’ 교육의 효용성과 피드백의 실제
심리 신경생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분노, 공감 그리고 마음치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