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구직장애인, 장애인공무원과 지원을 많이 받아보지 않은 사업주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서비스 희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보조공학서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39794
2009
Korean
보조공학서비스 ; 심층면접 ; 이용실태 ; 장애인 ; Assistive technology ; Demand ; People with disabilities ; Use
338
KCI등재
학술저널
41-51(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구직장애인, 장애인공무원과 지원을 많이 받아보지 않은 사업주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서비스 희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보조공학서비...
목적 : 구직장애인, 장애인공무원과 지원을 많이 받아보지 않은 사업주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및 서비스 희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보조공학서비스 서비스 방향을 제안하고자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심층면접의 대상자는 장애인공무원, 구직장애인, 사업주로 분류하여 반구조화된 가이드라인 설문을 구성하였다. 면접 대상은 설문조사를 위한 모집단 중 무작위로 추출하여 면담 조사에 협조를 약속한 대상자 사업주 7명, 구직장애인 7명, 장애인공무원 5명을 대상으로 총 19명이 응답에 참여하였다.
결과 : 수집된 자료는 질적 분석 절차를 통해 보조공학기기의 사용경험, 보조공학기기 신청경험 또는 개인적 구입경험, 장애유형에 관련된 보조공학기기의 사용경험여부 및 인식조사,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인식정도 및 이용경험과 보조공학서비스 방향과 추가로 제공을 희망하는 서비스 내용 5가지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론 : 보조공학서비스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방식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보조공학서비스를 할 때 구입이나 사후 관리도 보다 사용자 중심에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demand and use of assistive technology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not receiv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ethods : In-depth interview subjects were gove...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actual demand and use of assistive technology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not receiv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Methods : In-depth interview subjects were government officials with disable, disabled job seekers, and employers hiring workers with disabilities. We made up the semi-structure guidelines question with group into three classes. We asked for an interview with subjects that choose samples at random.
Results : These results show five themes related to use and application experience in assistive technology, the awar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nd the demand to make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onclusion : In conclusion, we suggests that they want to be includ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target and replied use of those assistive devices will help them to get a job or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capacity.
연성척추보조기(flexible spinal orthosis) 착용에 따른 균형의 변화
국외 보조공학 서비스 관련 법률에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