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명품 주얼리 브랜드 컬렉션의 디자인 특성 비교 분석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Design Characteristic Luxury Jewelry Brand Coll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75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uxury jewelry market trend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pattern of MZ gener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wo brand's formative characteristic. design is a medium that conveys brand-specific identity and value, and studies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luxury jewelry brand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identify recent jewerly market trends. The reserch method is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iffany & Co. and Cartier's design and types of luxury jewelry brand. The research scope is Tiffany & Co. and Cartier, which are highly regarded in the ranking of brand value indicators, and analyze the high jewelry and jewelry collections from 2015 to 2020, to examine and compare desig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Tiffany & Co. and Cartier's high jewelry collection commonly influenced by Romanticism, developed through Art Nouveau and Art Deco, and the jewelry collection featured modernism and minimalist designs, respectively. Second, In high jewelry, Tiffany & Co. observ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rontal composition using precious stone. Cartier has cubic composition of geometric and regular arrangement using exotic-colored fine stones. Thirdly, In jewelry collection, both brands revealed a Unisex design that emphasized simplicity and lowered material costs for popularity and commercia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uxury jewelry market trend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pattern of MZ gener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wo brand's formative characteristic. design is a medium that conveys brand-specific identity and val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uxury jewelry market trend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pattern of MZ gener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wo brand's formative characteristic. design is a medium that conveys brand-specific identity and value, and studies of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luxury jewelry brands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identify recent jewerly market trends. The reserch method is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iffany & Co. and Cartier's design and types of luxury jewelry brand. The research scope is Tiffany & Co. and Cartier, which are highly regarded in the ranking of brand value indicators, and analyze the high jewelry and jewelry collections from 2015 to 2020, to examine and compare desig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Tiffany & Co. and Cartier's high jewelry collection commonly influenced by Romanticism, developed through Art Nouveau and Art Deco, and the jewelry collection featured modernism and minimalist designs, respectively. Second, In high jewelry, Tiffany & Co. observ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frontal composition using precious stone. Cartier has cubic composition of geometric and regular arrangement using exotic-colored fine stones. Thirdly, In jewelry collection, both brands revealed a Unisex design that emphasized simplicity and lowered material costs for popularity and commercia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따른 명품 주얼리 시장의 트렌드를 살펴보기 위해,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의 디자인 사례로부터 도출한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자인은 브랜드 고유의 아이덴티티 및 가치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대표적인 명품 주얼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는 최근 주얼리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은 명품 주얼리 브랜드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의 디자인 유형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 범위는 브랜드 가치 지표 순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의 2015년부터 2020년까지 하이 주얼리 및 주얼리 컬렉션을 대상으로 디자인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의 하이 주얼리 컬렉션은 로맨티시즘의 영향을 받아 각각 아르누보와 아르데코를 통해 발전하였으며, 주얼리 컬렉션은 각각 모더니즘과 미니멀리즘 디자인이 나타났다. 둘째, 하이 주얼리 컬렉션에서 티파니 앤 코는 프레셔스 스톤을 활용한 정면 구성 디자인이 관찰되었고, 까르띠에는 이국적 색채의 파인 스톤을 활용한 기하학적이고 규칙적인 배열의 입체 구성이 나타났다. 셋째, 주얼리 컬렉션에서 두 브랜드 모두 대중성 및 상업성을 위해 소재의 종류와 보석의 비율을 축소하고, 유니섹스 디자인을 선보였다. 티파니 앤 코는 유니섹스 디자인의 핵심으로 체인을 선택하고, 기존의 젠더 특성을 바탕으로 각각의 성별을 타깃으로 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까르띠에는 장식의 배제로 단순성을 극대화 한 젠더리스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이와 같이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는 브랜드 전통성을 기반으로 고급 재료와 고도의 세공 기술을 이용한 하이엔드 주얼리와 상업적 성격의 주얼리 컬렉션을 통해 디자인 콘셉트에 따른 명확한 지향점을 가지고 예술적 양식을 차용하거나 실용성을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따른 명품 주얼리 시장의 트렌드를 살펴보기 위해,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의 디자인 사례로부터 도출한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

      본 연구는 MZ세대의 소비 패턴에 따른 명품 주얼리 시장의 트렌드를 살펴보기 위해,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의 디자인 사례로부터 도출한 조형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디자인은 브랜드 고유의 아이덴티티 및 가치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대표적인 명품 주얼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는 최근 주얼리 시장 트렌드를 파악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방법은 명품 주얼리 브랜드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의 디자인 유형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 범위는 브랜드 가치 지표 순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의 2015년부터 2020년까지 하이 주얼리 및 주얼리 컬렉션을 대상으로 디자인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의 하이 주얼리 컬렉션은 로맨티시즘의 영향을 받아 각각 아르누보와 아르데코를 통해 발전하였으며, 주얼리 컬렉션은 각각 모더니즘과 미니멀리즘 디자인이 나타났다. 둘째, 하이 주얼리 컬렉션에서 티파니 앤 코는 프레셔스 스톤을 활용한 정면 구성 디자인이 관찰되었고, 까르띠에는 이국적 색채의 파인 스톤을 활용한 기하학적이고 규칙적인 배열의 입체 구성이 나타났다. 셋째, 주얼리 컬렉션에서 두 브랜드 모두 대중성 및 상업성을 위해 소재의 종류와 보석의 비율을 축소하고, 유니섹스 디자인을 선보였다. 티파니 앤 코는 유니섹스 디자인의 핵심으로 체인을 선택하고, 기존의 젠더 특성을 바탕으로 각각의 성별을 타깃으로 한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까르띠에는 장식의 배제로 단순성을 극대화 한 젠더리스 디자인을 완성하였다. 이와 같이 티파니 앤 코와 까르띠에는 브랜드 전통성을 기반으로 고급 재료와 고도의 세공 기술을 이용한 하이엔드 주얼리와 상업적 성격의 주얼리 컬렉션을 통해 디자인 콘셉트에 따른 명확한 지향점을 가지고 예술적 양식을 차용하거나 실용성을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아, "파인 매스티지 전략을 통한 국내 주얼리 브랜드 명품화 연구" 가야대학교 대학원 2017

      2 이형규, "커머셜 주얼리(Commercial Jewelry)의 온라인 구매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 제품, 쇼핑몰 및 소비자 특성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3 월곡연구소, "주얼리 시장 동향_해외 주요 주얼리 브랜드 매출 동향"

      4 이윤정, "이미지(형, 크기, 컬러)의 시지각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263-274, 2012

      5 월곡연구소, "세계 속 럭셔리주얼리 시장! 미국의 럭셔리 시장과 유럽의 럭셔리 시장을 파헤쳐보자!"

      6 남화경, "브랜드 티파니(Tiffany & Co.)주얼리에 나타난 아르누보 양식의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201-213, 2010

      7 김기홍, "명품학" 대왕사 2010

      8 신혜나, "명품브랜드 요소와 명품 선호도 결정요인: 해외패션 명품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9 (29): 13-28, 2011

      9 石仙花, "명품 주얼리의 브랜드 분석과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경영, "명품 주얼리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9

      1 김경아, "파인 매스티지 전략을 통한 국내 주얼리 브랜드 명품화 연구" 가야대학교 대학원 2017

      2 이형규, "커머셜 주얼리(Commercial Jewelry)의 온라인 구매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 제품, 쇼핑몰 및 소비자 특성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3 월곡연구소, "주얼리 시장 동향_해외 주요 주얼리 브랜드 매출 동향"

      4 이윤정, "이미지(형, 크기, 컬러)의 시지각 반응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263-274, 2012

      5 월곡연구소, "세계 속 럭셔리주얼리 시장! 미국의 럭셔리 시장과 유럽의 럭셔리 시장을 파헤쳐보자!"

      6 남화경, "브랜드 티파니(Tiffany & Co.)주얼리에 나타난 아르누보 양식의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6 (16): 201-213, 2010

      7 김기홍, "명품학" 대왕사 2010

      8 신혜나, "명품브랜드 요소와 명품 선호도 결정요인: 해외패션 명품브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상품학회 29 (29): 13-28, 2011

      9 石仙花, "명품 주얼리의 브랜드 분석과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1

      10 김경영, "명품 주얼리 디자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09

      11 허두영, "명품 불멸의 법칙" 도서출판 들녘 2018

      12 김대영, "명품 마케팅" 미래의 창 2004

      13 원현정, "까르띠에 디자인 분석을 통한 현대 장신구 연구 : 아르데코 양식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산업디자인대학원 2001

      14 윤성욱, "고객 가치에 근거한 명품 소비자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탐험적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19 (19): 135-159, 2008

      15 Catherine Kovesi, "What is the Luxury?: The Rebirth of a concept in the Early modern world" 2 (2): 25-40, 2015

      16 Silverstein, M, J., "Tranding Up" Portfolio 2003

      17 Dubois, B, "Prestige Brands or Luxury Brands? An Exploratory Inquiry on Consumer Perceptions" 1-9, 1999

      18 Okonkwo, U., "Luxury Fashion Brandin : Trends, Tactics, Techniques" Palgrave Macmillan 2007

      19 Interbrand, "Best Global Brands 2020"

      20 홍지연, "20세기 초 까르띠에의 이국적 디자인의 색상 특성" 복식문화학회 25 (25): 509-518,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