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기우라 고헤이, "형태의 탄생" 안그라픽스 2001
2 이순녀, "폭군의 머리통을 발로 찼다...축구가 됐다"
3 노권용, "진공, 묘유와 공, 원, 정의 종교적 의의" 7 : 75-, 2001
4 김용운, "재미있는 수학여행Ⅰ" 김영사 1990
5 이선영, "장용선-잠재성, 실재의 새로운 차원"
6 마이클 슈나이더, "자연, 예술, 과학의 수학적 원형" 경문사 2002
7 Carl G. Jung, "인간과 상징" 집문당 1983
8 장순관, "역사를 바꾼 작은 공 ‘베어링’, 마찰과 회전력의 과학"
9 엘리 마오, "아름다운 기하학" 교우 2018
10 박만철, "아르날도 포모도로(Arnaldo pomodoro) 작품연구 : 공공조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1 스기우라 고헤이, "형태의 탄생" 안그라픽스 2001
2 이순녀, "폭군의 머리통을 발로 찼다...축구가 됐다"
3 노권용, "진공, 묘유와 공, 원, 정의 종교적 의의" 7 : 75-, 2001
4 김용운, "재미있는 수학여행Ⅰ" 김영사 1990
5 이선영, "장용선-잠재성, 실재의 새로운 차원"
6 마이클 슈나이더, "자연, 예술, 과학의 수학적 원형" 경문사 2002
7 Carl G. Jung, "인간과 상징" 집문당 1983
8 장순관, "역사를 바꾼 작은 공 ‘베어링’, 마찰과 회전력의 과학"
9 엘리 마오, "아름다운 기하학" 교우 2018
10 박만철, "아르날도 포모도로(Arnaldo pomodoro) 작품연구 : 공공조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11 J. C. Cooper, "세계문화 상징사전" 도서출판 까치 1994
12 Jack Tresidder, "상징 이야기" 도솔출판사 2007
13 "삼성미술관 리움 전시 서평. 아니쉬 카푸어전"
14 김형근, "비누방울 속에 수학과 자연의 신비가 숨어 있어"
15 박태봉, "동·서양 사상에 나타난 圓의 의미 고찰" 원불교사상연구원 (78) : 263-300, 2018
16 가나다 야스마사, "도형으로 배우는 수학" 뉴턴코리아 2010
17 조민식, "구의 수수께끼" 14 (14): 24-, 1998
18 이진숙, "[이진숙이 만난 우리 시대 미술가] 조각가 이재효"
19 이광식, "[이광식의 천문학+] 별들은 왜 개성없이 모두 공처럼 둥글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