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球)의 형태와 의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 and Meaning of Sphe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57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rtists in various fields expressed sphere, which are the core of all formative works, as artworks. Everything in nature is valid as a motive of art expression, but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source of the form by revealing that the beginning of it originated in the form of a circle and the sphere.
      Since the scope of the study of sphere is very wide,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to analysis from a formative perspective. Among the circular shapes that make up a sphere, those that have the same context as this study we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tudy. As a research method,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ircles, which are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sphere, and examine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ircle and sphere geometrically and religiously. In order to analyze the shape and meaning of the sphere, the shape of the sphere existing in natural objects and the shape of the sphere applied to object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most beautiful and perfect form since the birth of mankind was the sphere, and the symbolism of the sphere was revealed by giving various meanings to the sphere even in the religious viewpoints.
      From a formative point of 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the sphere shape was expressed as a religious symbol, the smallest form that is the essence and origin of existence, the expression of the order and circulation of nature, and the potential infinite possibilities that exist in the round sphere shape. It had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the shape of a sphere is the core of everyth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rtists in various fields expressed sphere, which are the core of all formative works, as artworks. Everything in nature is valid as a motive of art expression, but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rtists in various fields expressed sphere, which are the core of all formative works, as artworks. Everything in nature is valid as a motive of art expression, but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source of the form by revealing that the beginning of it originated in the form of a circle and the sphere.
      Since the scope of the study of sphere is very wide,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to analysis from a formative perspective. Among the circular shapes that make up a sphere, those that have the same context as this study we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tudy. As a research method,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circles, which are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sphere, and examined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ircle and sphere geometrically and religiously. In order to analyze the shape and meaning of the sphere, the shape of the sphere existing in natural objects and the shape of the sphere applied to object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most beautiful and perfect form since the birth of mankind was the sphere, and the symbolism of the sphere was revealed by giving various meanings to the sphere even in the religious viewpoints.
      From a formative point of view,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the sphere shape was expressed as a religious symbol, the smallest form that is the essence and origin of existence, the expression of the order and circulation of nature, and the potential infinite possibilities that exist in the round sphere shape. It had a common characteristic that the shape of a sphere is the core of everyth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모든 조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구를 어떻게 예술작품으로 표현했는지 살펴봄으로써 자연의 모든 것이 예술표현의 모티브로 유효하지만, 그 시작은 원과 구 형태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밝히며 이를 통해 조형의 원천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를 연구한 학문의 범위가 매우 넓어 본 연구에서는 조형적 관점에서의 분석으로 그 범위를 한정하며 구를 이루는 원형(圓形)의 형태 중에서도 본 연구와 그 맥락이 같은 것은 연구범위에 포함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구의 개념과 함께 구를 구성하는 요소인 원의 특징을 고찰하여 기하학적, 종교적으로 원과 구가 어떤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구의 형태와 의미 분석을 위해 자연물에 존재하는 구의 형태와 사물에 적용된 구의 형태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인류가 탄생한 이후로 가장 아름답고 완벽한 형태가 바로 구라는 것이 입증되었고 종교적인 차원에서도 구에 대해 다양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구가 가진 상징성이 드러났다. 조형적 관점에서 본, 구의 형태가 갖는 의미는 종교적 상징, 존재의 본질과 근원인 가장 작은 형태, 자연의 질서와 순환의 표현 그리고 둥근 구 형태에 존재하는 잠재된 무한한 가능성으로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구의 형태가 모든 것의 핵심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모든 조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구를 어떻게 예술작품으로 표현했는지 살펴봄으로써 자연의 모든 것이 예술표현의 모티브로 유효하지만, 그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이 모든 조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구를 어떻게 예술작품으로 표현했는지 살펴봄으로써 자연의 모든 것이 예술표현의 모티브로 유효하지만, 그 시작은 원과 구 형태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밝히며 이를 통해 조형의 원천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를 연구한 학문의 범위가 매우 넓어 본 연구에서는 조형적 관점에서의 분석으로 그 범위를 한정하며 구를 이루는 원형(圓形)의 형태 중에서도 본 연구와 그 맥락이 같은 것은 연구범위에 포함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구의 개념과 함께 구를 구성하는 요소인 원의 특징을 고찰하여 기하학적, 종교적으로 원과 구가 어떤 상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았고 구의 형태와 의미 분석을 위해 자연물에 존재하는 구의 형태와 사물에 적용된 구의 형태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인류가 탄생한 이후로 가장 아름답고 완벽한 형태가 바로 구라는 것이 입증되었고 종교적인 차원에서도 구에 대해 다양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구가 가진 상징성이 드러났다. 조형적 관점에서 본, 구의 형태가 갖는 의미는 종교적 상징, 존재의 본질과 근원인 가장 작은 형태, 자연의 질서와 순환의 표현 그리고 둥근 구 형태에 존재하는 잠재된 무한한 가능성으로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구의 형태가 모든 것의 핵심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스기우라 고헤이, "형태의 탄생" 안그라픽스 2001

      2 이순녀, "폭군의 머리통을 발로 찼다...축구가 됐다"

      3 노권용, "진공, 묘유와 공, 원, 정의 종교적 의의" 7 : 75-, 2001

      4 김용운, "재미있는 수학여행Ⅰ" 김영사 1990

      5 이선영, "장용선-잠재성, 실재의 새로운 차원"

      6 마이클 슈나이더, "자연, 예술, 과학의 수학적 원형" 경문사 2002

      7 Carl G. Jung, "인간과 상징" 집문당 1983

      8 장순관, "역사를 바꾼 작은 공 ‘베어링’, 마찰과 회전력의 과학"

      9 엘리 마오, "아름다운 기하학" 교우 2018

      10 박만철, "아르날도 포모도로(Arnaldo pomodoro) 작품연구 : 공공조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1 스기우라 고헤이, "형태의 탄생" 안그라픽스 2001

      2 이순녀, "폭군의 머리통을 발로 찼다...축구가 됐다"

      3 노권용, "진공, 묘유와 공, 원, 정의 종교적 의의" 7 : 75-, 2001

      4 김용운, "재미있는 수학여행Ⅰ" 김영사 1990

      5 이선영, "장용선-잠재성, 실재의 새로운 차원"

      6 마이클 슈나이더, "자연, 예술, 과학의 수학적 원형" 경문사 2002

      7 Carl G. Jung, "인간과 상징" 집문당 1983

      8 장순관, "역사를 바꾼 작은 공 ‘베어링’, 마찰과 회전력의 과학"

      9 엘리 마오, "아름다운 기하학" 교우 2018

      10 박만철, "아르날도 포모도로(Arnaldo pomodoro) 작품연구 : 공공조각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11 J. C. Cooper, "세계문화 상징사전" 도서출판 까치 1994

      12 Jack Tresidder, "상징 이야기" 도솔출판사 2007

      13 "삼성미술관 리움 전시 서평. 아니쉬 카푸어전"

      14 김형근, "비누방울 속에 수학과 자연의 신비가 숨어 있어"

      15 박태봉, "동·서양 사상에 나타난 圓의 의미 고찰" 원불교사상연구원 (78) : 263-300, 2018

      16 가나다 야스마사, "도형으로 배우는 수학" 뉴턴코리아 2010

      17 조민식, "구의 수수께끼" 14 (14): 24-, 1998

      18 이진숙, "[이진숙이 만난 우리 시대 미술가] 조각가 이재효"

      19 이광식, "[이광식의 천문학+] 별들은 왜 개성없이 모두 공처럼 둥글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