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개발 패러다임을 근간으로 하여 종합적 차원에서 재난의 예방과 대비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계획으로서 재난에 강한 마을공동체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이다. 다만, 복원력 있는 공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87538
2010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속가능개발 패러다임을 근간으로 하여 종합적 차원에서 재난의 예방과 대비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계획으로서 재난에 강한 마을공동체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이다. 다만, 복원력 있는 공동...
지속가능개발 패러다임을 근간으로 하여 종합적 차원에서 재난의 예방과 대비에 초점을 맞추는 전략계획으로서 재난에 강한 마을공동체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이다. 다만, 복원력 있는 공동체는 복원력이 더 적은 지역보다 재해와 재난에 훨씬 덜 취약하다는 논의가 최근 선진국에서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즉, 선진국에서는 이미 재난 복원력이 어떻게 결정되고, 측정되며, 향상되고 유지되는지, 그리고 감소되는지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아직 재난과 복원력에 대한 논의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최근, 재난에 대한 복원력 있는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한계상황에 있는 공동체의 재난 피해를 줄이는 전략 중의 하나로 많은 연구들에서 제시되고 있다. 즉, 복원력이 강한 공동체는 재난의 피해가 덜 심각할 뿐 아니라 회복도 더 빠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재난으로 인한 공동체 붕괴의 현장을 드러내고, 그 드러난 현장을 회복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재난과 복원력을 중심으로 제시하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재난관리 정책 실무에 있어 모두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가 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과 복원력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재난피해지역의 공동체 회복 방안을 2007년 12월 태안지역에서 발생했던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 및 연구방법론으로는 사례지역의 주민, 지역공동체 복원의 참여자 및 담당자, 그리고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면담조사, 공동체 회복 정책 우선순위 조사, 공동체 회복 거버넌스의 사회적 연결망 분석 등을 실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