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실시 방안에 대한 인식 및 요구 = A Survey of Recognition and Demand on Compul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278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f recognition and demand on compul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based on this survey data, to suggest basic guidelines and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by mailing the questionnaire to 1478 people. They are consisted of the 353 directors and 304 special education teachers, 373 general education teachers, 298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150 superviso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 the most expected thing and the first thing to implement, 2) the range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ompulsory education, 3) difficulties and needed supports for the day care centers and private preschools when the compulsory educ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the present study includes several political suggestions; 1) having enough education facilities, 2) plac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implementing the compulsory education and functioning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4) child finding, identifying children who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placing and providing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procedures for administrative support, and 5) public awaren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f recognition and demand on compul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based on this survey data, to suggest basic guidelines and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 The present study co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f recognition and demand on compulsor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based on this survey data, to suggest basic guidelines and future educational policy direc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by mailing the questionnaire to 1478 people. They are consisted of the 353 directors and 304 special education teachers, 373 general education teachers, 298 parents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150 supervisor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1) the most expected thing and the first thing to implement, 2) the range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compulsory education, 3) difficulties and needed supports for the day care centers and private preschools when the compulsory education i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the present study includes several political suggestions; 1) having enough education facilities, 2) placing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3) implementing the compulsory education and functioning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4) child finding, identifying children who eligible for special education, placing and providing educ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procedures for administrative support, and 5) public aware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의무교육 실시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전국단위의 유치부 설치 특수학교, 국ㆍ공ㆍ사립 유치원, 장애전담 및 통합 어린이집의 기관장,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와 각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특수교육, 유아교육 담당 전문직 등 총 1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별 설문 참여자는 장애유아 학부모 298명, 기관장 353명, 일반교사 373명, 특수교사 304명, 장학사 150명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참여자를 대상으로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이 실행될 경우 가장 기대되는 바와 그에 따라 최우선으로 추진되어야 할 내용, 의무교육 실행을 위한 행ㆍ재정적 지원 범위, 사립기관 및 보육시설에서의 의무교육 시행 시 애로사항 및 필요한 지원 등의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 시행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정책적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의무교육 기관 확보 (2) 유아특수교사 배치, (3) 의무교육 실시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 (4) 대상자 발견 및 특수교육 대상자 판정, 배치, 교육 실시와 행정적 지원 절차, (5) 홍보방안.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의무교육 실시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

      본 연구는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을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의무교육 실시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전국단위의 유치부 설치 특수학교, 국ㆍ공ㆍ사립 유치원, 장애전담 및 통합 어린이집의 기관장, 특수교사, 일반교사, 학부모와 각 시ㆍ도 및 지역 교육청의 특수교육, 유아교육 담당 전문직 등 총 14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별 설문 참여자는 장애유아 학부모 298명, 기관장 353명, 일반교사 373명, 특수교사 304명, 장학사 150명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참여자를 대상으로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이 실행될 경우 가장 기대되는 바와 그에 따라 최우선으로 추진되어야 할 내용, 의무교육 실행을 위한 행ㆍ재정적 지원 범위, 사립기관 및 보육시설에서의 의무교육 시행 시 애로사항 및 필요한 지원 등의 내용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 시행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정책적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1) 의무교육 기관 확보 (2) 유아특수교사 배치, (3) 의무교육 실시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 (4) 대상자 발견 및 특수교육 대상자 판정, 배치, 교육 실시와 행정적 지원 절차, (5) 홍보방안.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경, "특수교육법 해설"

      2 이정현, "장애영아 무상교육 지원모형 개발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9

      3 이소현, "장애 영유아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정책 및 포괄적 지원 모형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351-379, 2007

      4 박현옥,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 실행을 위한 질적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209-239, 2010

      5 Federal Register, "Rules and regulations"

      1 김원경, "특수교육법 해설"

      2 이정현, "장애영아 무상교육 지원모형 개발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9

      3 이소현, "장애 영유아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정책 및 포괄적 지원 모형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351-379, 2007

      4 박현옥, "유치원과정 특수교육대상자 의무교육 실행을 위한 질적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0 (10): 209-239, 2010

      5 Federal Register, "Rules and regul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