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맞벌이의 증대와 핵가족화로 출산율의 급격한 저하에 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자녀의 조기교육 열풍으로 유아교육과정의 질적 제고가 다각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교육열의 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95488
2011
Korean
375
학술저널
1-15(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맞벌이의 증대와 핵가족화로 출산율의 급격한 저하에 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자녀의 조기교육 열풍으로 유아교육과정의 질적 제고가 다각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교육열의 극...
현대사회는 맞벌이의 증대와 핵가족화로 출산율의 급격한 저하에 처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자녀의 조기교육 열풍으로 유아교육과정의 질적 제고가 다각적으로 논의되고 있다. 교육열의 극대화는 교과교육 영역에 대한 관심으로 집중되며, 유아기에 수학이나 국어와 같은 교과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시대의 도래를 통해 수리적 사고를 통한 사회 조직과 시스템의 선진화를 꾀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수학능력이 중시되고 있고,앞으로는 여러 학문의 영역과의 접목을 통해 수학능력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홍혜경, 2010).
그러나 실제 수학이나 국어와 같은 교과교육에 대한 교육이 유치원이나 어린 이집과 같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근거한 공교육에서 체계적으로 접근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부모들은 채워지지 않는 부분을 사설 학습지나 학원에서 보충하고자 하는 현상까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과 관련하여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은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를 교육과정 개정의 중요한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초등학교 수학교육과 연계하여 유치원에서 수학적 사고를 위한 교육 실제를 위한 논의가 다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초등교육과 연계되면서 유아기 삶과 일상에 적합한 생활로서의 수학교육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신념이 중요하다. 수학 교수학습에 대한 신념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수학을 가르치기 위해 어떠한 전략과 방법을 사용하고, 학생들은 어떻게 배우는지에 대한 믿음으로 규정할 수 있다(김지영, 2010). 특히 교육과정에서 유아수학교육의 실제가 어떠해야 하며, 어떻게 접근될 수 있을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나 신념은 실제 교육 실천과정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면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수학교육의 인식에 관련된 논의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현행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연구는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어왔다. 유아의 수학적 개념, 태도, 능력에 관련된 연구들은(김지현, 이정욱,2004; 박영신, 2002; 이정욱, 2005) 유아의 수학적 사고의 발달과 관련 활동의 태도에 대한 접근들이 논의되어왔다. 그러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나 교육적 역할에 대한 논의도 있어온 것은 사실이다.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이나 교육적 역할들이 논의된 연구들(김지영, 2010; 이정욱 ? 이소정,2010; 임주영, 2009; 최혜진 · 이혜은, 2006) 은 교사의 경력에 따라 수학교육의 질이나 교사의 수학적 태도와 효능감, 인식이나 신념 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유치원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유아교사의 역할, 연수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현장의 현실적 인식의 제한 등에 대해 논의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교사들의 교육과정적 측면에서의 좀 더 심층적 의견이나 실태에 대한 분석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유아교육 현장의 실제를 현상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육과정에서 수학교육의 문제와 접근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추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수학교육의 현실적 모색을 위한 의미있는 접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질적 차원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수학교육과정을 교육의 의미 및 중요성, 교육의 내용, 교육의 방법, 교육환경의 차원을 초등수학교육과 비교하여 어떻게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유아수학교육과정의 교사 인식에 근거한 실행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는 추후 유아수학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미있는 연구과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유아의 손가락 길이 비율(2D:4D)과 행동특성간의 상관
지역아동센터 아동 대상의 사회정서적 지지프로그램의 효과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