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전 다시 쓰기와 문화 리텔링: 한국과 중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847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제1부 서사와 재현.
      이 저술의 제1부에서는 고전 서사와 재현방식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이들을 지칭하는 전문적인 용어인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이라는 용어의 출현 이후,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되어 왔고 또 어떠한 의미변화를 겪어왔는지에 기존의 논의를 종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고전 서사 콘텐츠는 블루오션으로 각광받아 왔으나, 긍정적 측면과 동시에 부정적 측면 또는 위험 요소도 포함하고 있음도 간과할 수 없다. 이 저술의 제1부에서는 고전 서사 콘텐츠 리텔링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제2부 재현된 서사, 복원된 서사, 전복된 서사.
      이 저술의 제2부에서는 본격적으로 리텔링 된 이야기들의 리텔링 전략과 구체적 과정, 결과를 살펴볼 것이다. 리텔링의 대상이 되었던 고전 서사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것이 어떠한 장르와 매체로 재현(리텔링)되었는지 현황을 탐색할 것이다. 제2부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원래의 이야기(신화나 설화의 경우, 원형에 가까운 이야기)나 원작과의 비교를 통해 작가(또는 기획자)의 의도 철학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되고 어떠한 파급력을 갖게 되는지에 대해 논할 것이다.
      제3부 픽션, 팩트, 팩션.
      이 저술의 제3부에서는 역사 서사를 콘텐츠로 한 리텔링의 현황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역사는 과거에 대한 사실의 진위 여부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대한 해석이라는 E.H.카의 주장은 역사가 과거의 단편적인 사실을 복원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나간 것의 의미와 진실을 찾는 데 있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역사나 과거에 관심이 덜한 현대인들에게 역사를 알린다는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역사 리텔링은 다소 간의 위험성을 내포한다. 작가(또는 기획자)의 의도적 방향 설정에 따라 판타지 서사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예술의 형태로 표현되는 리텔링이 선점한 상상력, 허구성, 창의성에 기인한다. 이때 상상력과 허구의 개입은 약이 되거나 독이 될 수도 있다. 낯선 역사를 쉽게 알린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욕구, 기획자의 의도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리텔링 된 서사물이 큰 인기를 끌 때마다 진위여부에 대한 논의가 촉발되는 것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저술에서는 다양한 매체로 리텔링 된 작품을 통해 리텔링의 문화적 자리와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제4부 도시문화 다시쓰기와 문화도시의 탄생
      본 저술의 제4부에서는 리텔링이 현대 사회에서 과연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 스토리텔링을 통해 문화도시로 거듭난 한․중 네 도시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도시는 삶과 이미지, 기억, 꿈이 공존하고 과거․현재․미래가 거미줄처럼 연결된 공간이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와 문화산업, 스토리텔링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종합한 후 스토리텔링이 덧입혀진 네 도시에 대한 저술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리텔링을 통해 거듭난 문화도시에 대한 연구는 향후 고전 서사와 과학기술의 만남이라는 의미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문화전략을 기획, 수립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제5부 리텔링의 문화적 가치와 전망.
      본 저술의 제5부에서는 제4부까지의 내용을 종합함으로써 리텔링의 문화적 가치와 의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철학이 부재한 매체는 온전히 기능하기 어렵다. 이 저술은 작금의 문화현상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될 뿐만 아니라, 미래 문화산업의 한 축을 이루게 될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에 대한 일종의 미래보고서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후속 학문의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번역하기

      제1부 서사와 재현. 이 저술의 제1부에서는 고전 서사와 재현방식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이들을 지칭하는 전문적인 용어인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이라는 용어의 출현 이후, 이들이 어떠한 방...

      제1부 서사와 재현.
      이 저술의 제1부에서는 고전 서사와 재현방식에 대해 서술할 것이다. 이들을 지칭하는 전문적인 용어인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이라는 용어의 출현 이후, 이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해되어 왔고 또 어떠한 의미변화를 겪어왔는지에 기존의 논의를 종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고전 서사 콘텐츠는 블루오션으로 각광받아 왔으나, 긍정적 측면과 동시에 부정적 측면 또는 위험 요소도 포함하고 있음도 간과할 수 없다. 이 저술의 제1부에서는 고전 서사 콘텐츠 리텔링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데 중점을 둔다.
      제2부 재현된 서사, 복원된 서사, 전복된 서사.
      이 저술의 제2부에서는 본격적으로 리텔링 된 이야기들의 리텔링 전략과 구체적 과정, 결과를 살펴볼 것이다. 리텔링의 대상이 되었던 고전 서사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것이 어떠한 장르와 매체로 재현(리텔링)되었는지 현황을 탐색할 것이다. 제2부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이해를 심화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원래의 이야기(신화나 설화의 경우, 원형에 가까운 이야기)나 원작과의 비교를 통해 작가(또는 기획자)의 의도 철학이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되고 어떠한 파급력을 갖게 되는지에 대해 논할 것이다.
      제3부 픽션, 팩트, 팩션.
      이 저술의 제3부에서는 역사 서사를 콘텐츠로 한 리텔링의 현황을 진단하고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역사는 과거에 대한 사실의 진위 여부를 가리는 것이 아니라 사실에 대한 해석이라는 E.H.카의 주장은 역사가 과거의 단편적인 사실을 복원하는 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나간 것의 의미와 진실을 찾는 데 있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역사나 과거에 관심이 덜한 현대인들에게 역사를 알린다는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역사 리텔링은 다소 간의 위험성을 내포한다. 작가(또는 기획자)의 의도적 방향 설정에 따라 판타지 서사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예술의 형태로 표현되는 리텔링이 선점한 상상력, 허구성, 창의성에 기인한다. 이때 상상력과 허구의 개입은 약이 되거나 독이 될 수도 있다. 낯선 역사를 쉽게 알린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대중의 욕구, 기획자의 의도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리텔링 된 서사물이 큰 인기를 끌 때마다 진위여부에 대한 논의가 촉발되는 것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저술에서는 다양한 매체로 리텔링 된 작품을 통해 리텔링의 문화적 자리와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제4부 도시문화 다시쓰기와 문화도시의 탄생
      본 저술의 제4부에서는 리텔링이 현대 사회에서 과연 어떠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 스토리텔링을 통해 문화도시로 거듭난 한․중 네 도시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도시는 삶과 이미지, 기억, 꿈이 공존하고 과거․현재․미래가 거미줄처럼 연결된 공간이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와 문화산업, 스토리텔링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종합한 후 스토리텔링이 덧입혀진 네 도시에 대한 저술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리텔링을 통해 거듭난 문화도시에 대한 연구는 향후 고전 서사와 과학기술의 만남이라는 의미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문화전략을 기획, 수립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제5부 리텔링의 문화적 가치와 전망.
      본 저술의 제5부에서는 제4부까지의 내용을 종합함으로써 리텔링의 문화적 가치와 의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철학이 부재한 매체는 온전히 기능하기 어렵다. 이 저술은 작금의 문화현상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될 뿐만 아니라, 미래 문화산업의 한 축을 이루게 될 ‘스토리텔링과 리텔링’에 대한 일종의 미래보고서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후속 학문의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