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교육과정 성과분석 고도화 근거기반 실제(evidence-based practices) 융합 쟁점 = Evidence-based Practices Convergence Issues for Advancement of Performance Analysis of Duksung Women's University Extracurricular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08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vergence explor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for the advancement o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an expert meeting procedure along with a procedure for analyzing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university'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field of pedagogy.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presenting some facts that should be based on evidence for the advancement o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Duksung Women's University. And in practices, the development and diagnostic analysis of tools for diagnosing extracurricular customized learning capabilities, data-based multidimensional analysis (IR system), continuous monitoring analysis through extracurricular certification, and analysis based on feedback tools were presented in a convergence perspective and contex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vidence-based practices for the advancement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guarantees the validity and stability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and has a close influence on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work of other universities analyzed as possibl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vergence explor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for the advancement o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an expert me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nvergence exploration of evidence-based practices for the advancement o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an expert meeting procedure along with a procedure for analyzing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university's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 field of pedagogy.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presenting some facts that should be based on evidence for the advancement o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enter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Duksung Women's University. And in practices, the development and diagnostic analysis of tools for diagnosing extracurricular customized learning capabilities, data-based multidimensional analysis (IR system), continuous monitoring analysis through extracurricular certification, and analysis based on feedback tools were presented in a convergence perspective and contex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vidence-based practices for the advancement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guarantees the validity and stability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of th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t Duksung Women's University, and has a close influence on the extracurricular education work of other universities analyzed as possib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관현, "협업능력 및 사고력 개발을 위한 기숙형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5-130, 2018

      2 김소영, "학습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CTL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기반의 학습역량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소 9 (9): 109-129, 2019

      3 김영준, "비교과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습 자기효능감 차이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학습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689-698, 2021

      4 김영준,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프로그램 품질관리 인증평가제 도입 검토: 상시 모니터링(continuous monitoring) 융합 기반 사후인증체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49-60, 2021

      5 김영준,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교육과정 환류체계 구축 및 고도화 방안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107-122, 2021

      6 김광선, "대학의 교과, 비교과 및 현장실습이 대학생의 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예비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0 (30): 283-305, 2018

      7 문성동, "대학에서 비교과영역의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 20 (20): 147-160, 2015

      8 김현우, "대학생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스마트러닝기반 비교과교육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7-35, 2018

      9 최애경, "대학생 경력개발을 위한 e-포트폴리오 시스템구축과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13 : 169-192, 2006

      10 김영준, "대학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식당취업기술에 미치는 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136-144, 2021

      1 여관현, "협업능력 및 사고력 개발을 위한 기숙형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105-130, 2018

      2 김소영, "학습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CTL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기반의 학습역량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소 9 (9): 109-129, 2019

      3 김영준, "비교과프로그램 참여 대학생의 학습 자기효능감 차이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학습 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689-698, 2021

      4 김영준,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프로그램 품질관리 인증평가제 도입 검토: 상시 모니터링(continuous monitoring) 융합 기반 사후인증체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49-60, 2021

      5 김영준, "덕성여자대학교 비교과교육과정 환류체계 구축 및 고도화 방안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2 (12): 107-122, 2021

      6 김광선, "대학의 교과, 비교과 및 현장실습이 대학생의 역량 향상에 미치는 영향: 예비 청소년교육 전문 인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30 (30): 283-305, 2018

      7 문성동, "대학에서 비교과영역의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공학회 20 (20): 147-160, 2015

      8 김현우, "대학생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스마트러닝기반 비교과교육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7-35, 2018

      9 최애경, "대학생 경력개발을 위한 e-포트폴리오 시스템구축과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상업교육학회 13 : 169-192, 2006

      10 김영준, "대학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식당취업기술에 미치는 효과" 중소기업융합학회 11 (11): 136-144, 2021

      11 이한샘, "대학 인성교육 비교과 프로그램운영 현황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75-396, 2017

      12 김영준, "대학 인성교육 교과-비교과 간 융합체계 개발 기초연구" 한국융합학회 9 (9): 193-202, 2018

      13 오미자, "대학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인증 지표 설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81-102, 2020

      14 임명희, "교직수업에서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사례를 통한 핵심역량 효과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053-1068, 2020

      15 윤지영, "교육 프로그램 성과관리를 위한 S대학 핵심역량 진단도구 개발 연구" 교육연구소 26 (26): 243-266,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