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呪詞에 타나난 時間觀 考察 - 鼻荊郞詞ㆍ志鬼詞ㆍ處容歌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00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비형랑사>, <지귀사>, <처용가> 등의 呪詞에 나타난 시간관을 살펴보았다. <비형랑사>에서 脫時間을 드러내는 용어는 ‘魂’과 ‘鬼衆’이라는 표현이다. 초...

      이 논문에서는 <비형랑사>, <지귀사>, <처용가> 등의 呪詞에 나타난 시간관을 살펴보았다. <비형랑사>에서 脫時間을 드러내는 용어는 ‘魂’과 ‘鬼衆’이라는 표현이다. 초현실적인 존재이기에 현실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집이란 사람들이 거처하는 곳이지만 유독 <비형랑사>에서는 귀신들이 머물지 못하도록 명령하는 것은 庶出로써 ‘귀신을 쫓는다’(鄕俗帖此詞而辟鬼)는 한 맺힌 원리가 작용한 것이라고 본다. 즉, 以夷制夷의 방식으로 귀신에 대처하는 민중의식을 살필 수 있다고 본다. <비형랑사>는 비형랑이 유복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의 영혼을 위로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진 설화로 본다. <지귀사>는 술파가 설화가 애초에 불교수행에 방해가 되는 여인들을 멀리하는 교화적인 설화였음에도 불구하고, 신라에 들어와 지귀가 선덕여왕을 사모하고, 여왕이 이에 너그럽게 대응하는 로맨스로 변용시킨 것은 신라인들의 설화수용 방식이 매우 포용적이고 낭만적이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 설화는 혜공스님의 우려와 같이 세속인의 애정행각이 성스러운 사찰을 오염시킬 수 없다는 신성관념을 드러내는 설화로 보는 것이 옳다고 본다. 지귀가 못 이룬 염정을 불태우며 세속에서 불의 신으로 받들어진 것도 중요하지만, 이면에는 수도승들에게 수행에 방해가 되는 남녀의 염정문제에 대해 경계하는 의미 또한 내재한다고 본다. 이미 신으로 좌정한 고려 <처용가>에서의 처용아비의 모습은 매우 위력적이고, 무시무시하다. 그는 이미 향가 <처용가>에서 보여준 관용의 화신이 아니라 열병신을 쫓는 무서운 신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인간 처용으로서의 한계와 갈등을 드러낸 존재가 아니라, 시공간을 초월한 신격으로 변신하여 민중들의 마음속에 좌정한 존재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hor do considers narratives not folklore but stories in which historical truths were exaggerated, augmented, or reduced to be circulated. The fact that ancient Korean novels(古代小說) added moral factors (interest) to historical truths may ...

      The author do considers narratives not folklore but stories in which historical truths were exaggerated, augmented, or reduced to be circulated. The fact that ancient Korean novels(古代小說) added moral factors (interest) to historical truths may reflect such viewpoint. Inquiring the origin narratives in the study of ancient novels, or habitual configuration of time, region, and characters in the beginning of novels is a method of pretending to be historical truths. Three Jusas (songs of spell) in ancient poetry were selected to be considered of their time perspective. ‘Bihyungrangsa(鼻荊郞詞),’ ‘Jiguisa(志鬼詞),’ and ‘Cheoyongga(處容歌)’ are individually worthy of controversy, and have factors with which literature, history, and tradition (folk customs) can be investigated. All the three works shared the basis of ‘Byek-sa-jin-kyung(辟邪進慶 : defeating evil and celebrating happiness)’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folklor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Once a historical event is included in folklore, it undergoes a process through which it is settled in the mentality of the public by way of Entzeitlichung(‘out of time’). In Bihyungrangsa(鼻荊郞詞), ‘a spirit’ and ‘group of ghosts’ represent its Entzeitlichung. They are distant from reality in some extent because they are surreal beings. Houses are a place where people live, but in Bihyungrangsa, ghosts are ordered not to stay in houses because a deplorable principle of ‘expelling ghosts’ by an illegitimate may be applied. Therefore, it shows the public awareness about treating ghosts through ‘defeating enemy by using of other enemy.’ Bihyungrangsa as a narrative may have been created for comforting Bihyungrang's spirit because he was a posthumous child (or his father was the spirit of King Jinjee<眞智王>). The origin of Jiguisa(志鬼詞) is India's Sulpaga(術波伽) narrative for educating Buddhist trainees that women should be avoided because they disturb learning, while Jiguisa, a Silla's narrative, is transformed to be a romance in which Jigui(志鬼) yearns after Queen Sundeuk(善德女王) and the Queen is tolerant for him. Therefore, it shows the way Silla received foreign narratives was greatly tolerating and romantic. However, Jiguisa should be considered a narrative showing sanctity that a love of the vulgar should not contaminate sacred temples, as represented by the anxiety of Monk Haekong(釋 惠空). In Goryeo's Cheoyongga(高麗 處容歌), Cheoyong-abi(處容) is greatly powerful and gruesome. He is already no more an incarnation of tolerance as in the Hyangga ‘Cheoyongga(鄕歌 處容歌),’ but is a frightful divinity who dispels demons of fever. While he represented the limitation and struggle as a male named Cheoyong (as shown in witnessing the sexual intercourse of his wife and the god of smallpox and appeasing his anger to the god), he is transformed to be a divinity transcending time and space and is settled in the mentality of the publi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時ㆍ空間으 槪念
      • II. 脫時間의 意味와 方法
      • III. 時ㆍ空間觀의 背景論脫
      • 1. 陰陽五行說의 循環論
      • 국문초록
      • I. 時ㆍ空間으 槪念
      • II. 脫時間의 意味와 方法
      • III. 時ㆍ空間觀의 背景論脫
      • 1. 陰陽五行說의 循環論
      • 2. 尙古主義的 歷史觀
      • 3. 包括主義的 計量意識
      • IV. 呪詞의 形成背景 및 傳承의 變異
      • 1. 鼻荊朗詞
      • 2. 志鬼詞
      • 3. 鄕歌 <處容歌>와 高麗 <處容歌>
      • V. 結語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