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자기신세 조망양식으로서팔자(八字)의 이야기 분석과 통제신념과의 관계 분석 = Palzha (八字) as Lay People's Mode of Self-View on Negative Life Events and History in Korean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0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Palzha and investigate Palzha inference as mode of self-view. In general, people would like to attribute their unhappy and unfortunate life events or histories to Palzha which is given by the supernatural being. According to analysis of interviews and open-ended responses concerning on Plazha, Palzha indicated 'luck', 'uncontrollable situation', or 'fate' given by the supernatural being. In study 2,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belief and Palzha attribution. More having external control belief, more tending to attributing the rugged life events or histories, and unexpected fortunate events to Palzha. Consequently, Palzha as mode of self-view on everyday events or life-events indicated it is likely to be another dimension of attribution on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life events in Korean culture.
      번역하기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Palzha and investigate Palzha inference as mode of self-view. In general, people would like to attribute their unhappy and unfortunate life events or histories to Palzha which is given by the supernatural being. Accordi...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Palzha and investigate Palzha inference as mode of self-view. In general, people would like to attribute their unhappy and unfortunate life events or histories to Palzha which is given by the supernatural being. According to analysis of interviews and open-ended responses concerning on Plazha, Palzha indicated 'luck', 'uncontrollable situation', or 'fate' given by the supernatural being. In study 2,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ocus of control belief and Palzha attribution. More having external control belief, more tending to attributing the rugged life events or histories, and unexpected fortunate events to Palzha. Consequently, Palzha as mode of self-view on everyday events or life-events indicated it is likely to be another dimension of attribution on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life events in Korean cul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문화에서 상식적 귀인이자 자기신세조망양식으로서의 팔자에 관한 경험적 연구로, 기존의 탈맥락적이고 탈사회적인 규범적 귀인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팔자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한국문화에서는 기구한 인생이나 삶을 산 사람들, 특히 한(恨)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인생을 회고하고 그러한 인생을 살게 된 자신의 신세를 제 3 자적 관점에서 조망해 볼 때 팔자귀인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의 팔자타령하는 상황, 이유와 심리적 기능, 통제신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인 연구와 양적인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팔자타령을 언제 하는지, 왜 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해 면접을 실시하였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팔자타령을 듣거나 경험하였던 상황과 이유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2에서는 팔자귀인과 통제신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1의 분석결과, 팔자타령은 기구하거나 한 많은 삶을 살았을 때 그리고 운이 없을 때 마음을 달래기 위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외적 통제신념이 높은 사람들일이 기구한 운명적 삶이나 사건에 대해 팔자귀인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인의 팔자타령은 심리적 위안을 얻기 위해 부정적 사건이나 삶에 대한 신세한탄이라는 정서적 반응과 인과 추론이 복합적으로 연결된 신세조망양식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문화에서 상식적 귀인이자 자기신세조망양식으로서의 팔자에 관한 경험적 연구로, 기존의 탈맥락적이고 탈사회적인 규범적 귀인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화심리학...

      본 연구는 한국문화에서 상식적 귀인이자 자기신세조망양식으로서의 팔자에 관한 경험적 연구로, 기존의 탈맥락적이고 탈사회적인 규범적 귀인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문화심리학적 관점에서 팔자의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한국문화에서는 기구한 인생이나 삶을 산 사람들, 특히 한(恨)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인생을 회고하고 그러한 인생을 살게 된 자신의 신세를 제 3 자적 관점에서 조망해 볼 때 팔자귀인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의 팔자타령하는 상황, 이유와 심리적 기능, 통제신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질적인 연구와 양적인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팔자타령을 언제 하는지, 왜 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해 면접을 실시하였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팔자타령을 듣거나 경험하였던 상황과 이유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2에서는 팔자귀인과 통제신념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1의 분석결과, 팔자타령은 기구하거나 한 많은 삶을 살았을 때 그리고 운이 없을 때 마음을 달래기 위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외적 통제신념이 높은 사람들일이 기구한 운명적 삶이나 사건에 대해 팔자귀인을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인의 팔자타령은 심리적 위안을 얻기 위해 부정적 사건이나 삶에 대한 신세한탄이라는 정서적 반응과 인과 추론이 복합적으로 연결된 신세조망양식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인의 통제유형"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105-120, 1992

      2 "한국인의 일상문화" 도서출판 한울 1996

      3 "한국인의 의식구조" 1977

      4 "한국인의 신세조망양식 팔자귀인을 중심으로" 70-71, 2001

      5 "한국인의 신세조망양식" 10-22, 2000

      6 "한국인 화병의 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327-338, 1995

      7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0

      8 "통제신념과 팔자 팔자는 통제불가능한 것인가" 98-112, 2002

      9 "의식구조상으로 본 한국인" 현암사 1984

      10 "서편제 속의 ‘한’심리학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4-93, 1993

      1 "한국인의 통제유형"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105-120, 1992

      2 "한국인의 일상문화" 도서출판 한울 1996

      3 "한국인의 의식구조" 1977

      4 "한국인의 신세조망양식 팔자귀인을 중심으로" 70-71, 2001

      5 "한국인의 신세조망양식" 10-22, 2000

      6 "한국인 화병의 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327-338, 1995

      7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0

      8 "통제신념과 팔자 팔자는 통제불가능한 것인가" 98-112, 2002

      9 "의식구조상으로 본 한국인" 현암사 1984

      10 "서편제 속의 ‘한’심리학 중앙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4-93, 1993

      11 "사회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앞으로의 연구에 대한 전망 및 과제" 시그마프레스 1-38, 1999

      12 "규범적 귀인에서 상식적 귀인에 이르는 통합적 귀인 모형의 탐색" 4 (4): 11-32, 1989

      13 "고사성어 속담사전" 성문사 1998

      14 "‘한’의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339-350, 1991

      15 "Why are the poor always with us? Explanation for poverty in Britain" 21 : 311-322, 1982b

      16 "The self-serving bias in attribution as a coping strategy:A cross-cultural study" 17 : 83-97, 1986

      17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ley 1958

      18 "Some methodological pitfalls in attribution research" 75 : 548-573, 1983

      19 "Social cognition." 51-75, 1997

      20 "Rethinking validity and reliability in content analysis" 27 : 258-284, 1999

      21 "Perceived effective problem solvers' attributions concerning success and failure of a simulated real-life problem" 21 (21): 341-354, 1997

      22 "Palzha as self-reflective mode and attributional dimension for Korean women's rugged life story" 17-29, 2002

      23 "Ordinary explanation in conversation:Casual structure and their defence" 15 : 213-230, 1985

      24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Harvard University Press 1978

      25 "Locus of control and performance in a stress sett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446-451, 1977

      26 "Locus of control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1976

      27 "Lay people's attribution style for negative and positive events in Korea:Based on fate and Palza" july 16-21 : 2000

      28 "Indigenous form of lamentation in Korea Chung Ang Journal of Social Sciences" 1993185-205

      29 "Implication for cognition" 224-253, 1991

      30 "Generalized expectancies of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1966

      31 "Exploring the cultural values and assumption underlying theory and research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in press

      32 "Explanations for unemployment in Britain" 12 : 335-352, 1982a

      33 "Effects of amount of helplessness training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on mood and performance" 37 : 39-47, 1979

      34 "Culture and psychology"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1996

      35 "Control beliefs and faith as stress moderators for Korean American versus caucasian American protestant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61-72, 1997

      36 "Children' feeling of personal control as related to social class and ethnic group" 31 : 482-490, 1963

      37 "Casual attribution across cultures" Variation and universality & (&): 47-63, 1999

      38 "Attributions and behavior in marital interaction" 63 : 613-628, 1992

      39 "Attribution theory in social psychology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Lincoln 1967

      40 "Are they controllable? Paper presented at the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2001

      41 "An external orientation to the study of causal beliefs application to Chinese populations and comparative research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60-186, 2000

      42 "American and Chinese attributions for social and physical ev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49-971, 1994

      43 "Activism and powerful others:Distinctions within the concept of internal-external control" 38 : 377-383, 1974

      44 "A study and meta-analysis of lay attribution of curse for overcoming specific psychological problem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315-320,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