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지 패션에 나타난 표현기법 = A Study on the Expression Technique shown in Hanji Fash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60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Hanji (“traditional paper”) is sturdy, beautiful and practical paper. In the contemporary fashion, paper is one of the important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diverse ways. Moreover, it is possible to create superb formative effect with Hanji alone thanks to the Hanji-specif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express it using diverse multiple dimensional composition, Hanji is an excellent material when it comes to fashion as well, for expressing diversity and unique id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it while using it often. As for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paper, literature on the history of Hanji, usage of Hanji and types of Hanji craft art was examined. Including the Hanji apparel that the researcher had produced and presented, expression techniques used for all types of Hanji fashion products that were introduced in the Jeonju fashion show during the last five years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ji, a fashion material with the goal of increasing its utility.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works that used traditional Korean craft art techniques. Second, there were many works that used decoration techniques. Third, there were works that made Hanbok (traditional Korean apparel) using Hanji and works that applied the Hanbok line or sewing method. Fourth, diverse techniques such as dyeing technique, digital print, knit band paint and others were used. Fifth, Hanji and other materials were mixed together to give birth to entirely different materials to use them to create works. Going forth, if we are to advance fashion design by conducting greater researches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by using Hanji, Korea's traditional material, Hanji will grow into the core material of new cultural contents.
      번역하기

      Korean Hanji (“traditional paper”) is sturdy, beautiful and practical paper. In the contemporary fashion, paper is one of the important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diverse ways. Moreover, it is possible to create superb formative effect with Han...

      Korean Hanji (“traditional paper”) is sturdy, beautiful and practical paper. In the contemporary fashion, paper is one of the important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diverse ways. Moreover, it is possible to create superb formative effect with Hanji alone thanks to the Hanji-specif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express it using diverse multiple dimensional composition, Hanji is an excellent material when it comes to fashion as well, for expressing diversity and unique id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develop it while using it often. As for the research method used for this paper, literature on the history of Hanji, usage of Hanji and types of Hanji craft art was examined. Including the Hanji apparel that the researcher had produced and presented, expression techniques used for all types of Hanji fashion products that were introduced in the Jeonju fashion show during the last five years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ji, a fashion material with the goal of increasing its utility.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any works that used traditional Korean craft art techniques. Second, there were many works that used decoration techniques. Third, there were works that made Hanbok (traditional Korean apparel) using Hanji and works that applied the Hanbok line or sewing method. Fourth, diverse techniques such as dyeing technique, digital print, knit band paint and others were used. Fifth, Hanji and other materials were mixed together to give birth to entirely different materials to use them to create works. Going forth, if we are to advance fashion design by conducting greater researches on the expression techniques by using Hanji, Korea's traditional material, Hanji will grow into the core material of new cultural cont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한지는 질기고, 아름다운 실용적인 종이이다. 현대패션에서 종이는 다양한 기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의 하나이다. 또한 한지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한지 그 자체만으로 뛰어난 조형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입체구성으로 형상화 할 수 있으므로, 한지는 패션에 있어서 다양성과 독창적인 아이디어 표현할 수 있는 좋은 소재이다. 이에 우리가 많이 애용하여 발전시켜 나가도록 노력해야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는 한지의 역사, 한지의 용도, 한지공예의 종류에 대해 문헌적 고찰을 하였으며, 연구자 본인이 제작하여 발표한 한지의상을 포함하여 최근 5년간의 전주한지 패션쇼를 비롯 각종 한지패션 작품의 표현기법을 분석해 봄으로써, 한지가 패션소재로 표현된 특성을 알아보고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통 공예기법을 활용한 작품들이 많았다. 둘째, 장식기법을 활용한 작품들이 많았다. 셋째, 한복을 그대로 소재만 한지를 사용해 만든 작품 또는 한복선이나 바느질 방법을 응용한 작품들이 나타났다 넷째. 염색기법, 디지털 프린트, 니트 핸드 페인트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한지외 다른 소재를 섞어 전혀 새로운 소재로 재탄생시켜 작품에 표현하였다. 앞으로 한국의 전통 소재인 한지를 더 많은 표현 기법연구를 통해 패션디자인을 발전시킨다면, 한지는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핵심소재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 한지는 질기고, 아름다운 실용적인 종이이다. 현대패션에서 종이는 다양한 기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의 하나이다. 또한 한지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한지 그...

      우리나라 한지는 질기고, 아름다운 실용적인 종이이다. 현대패션에서 종이는 다양한 기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 중요한 소재의 하나이다. 또한 한지만이 가지는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한지 그 자체만으로 뛰어난 조형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입체구성으로 형상화 할 수 있으므로, 한지는 패션에 있어서 다양성과 독창적인 아이디어 표현할 수 있는 좋은 소재이다. 이에 우리가 많이 애용하여 발전시켜 나가도록 노력해야한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는 한지의 역사, 한지의 용도, 한지공예의 종류에 대해 문헌적 고찰을 하였으며, 연구자 본인이 제작하여 발표한 한지의상을 포함하여 최근 5년간의 전주한지 패션쇼를 비롯 각종 한지패션 작품의 표현기법을 분석해 봄으로써, 한지가 패션소재로 표현된 특성을 알아보고 ,그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통 공예기법을 활용한 작품들이 많았다. 둘째, 장식기법을 활용한 작품들이 많았다. 셋째, 한복을 그대로 소재만 한지를 사용해 만든 작품 또는 한복선이나 바느질 방법을 응용한 작품들이 나타났다 넷째. 염색기법, 디지털 프린트, 니트 핸드 페인트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한지외 다른 소재를 섞어 전혀 새로운 소재로 재탄생시켜 작품에 표현하였다. 앞으로 한국의 전통 소재인 한지를 더 많은 표현 기법연구를 통해 패션디자인을 발전시킨다면, 한지는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핵심소재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은, "한지패션소재 개발 및 조형적 활용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2 이수정, "한지의상에 나타난 소재 표현기법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6 (6): 433-439, 2004

      3 권현주, "한지의상 디자인 및 제작현황에 관한 연구" 5 (5): 1-8, 2007

      4 허은주, "한지를 활용한 표현기법 연구 : 근대이후 한국작가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김선명, "한지를 활용한 조형작품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13

      6 백승정, "한지공예" 우용출판사 2008

      7 정연자, "한지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6 (6): 206-212, 2004

      8 이승철, "한지" 현암사 2012

      9 김병기, "한국과학사" 이우 1982

      10 이승철, "종이만들기" 학고재 2001

      1 김영은, "한지패션소재 개발 및 조형적 활용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5

      2 이수정, "한지의상에 나타난 소재 표현기법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6 (6): 433-439, 2004

      3 권현주, "한지의상 디자인 및 제작현황에 관한 연구" 5 (5): 1-8, 2007

      4 허은주, "한지를 활용한 표현기법 연구 : 근대이후 한국작가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5 김선명, "한지를 활용한 조형작품의 차별화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2013

      6 백승정, "한지공예" 우용출판사 2008

      7 정연자, "한지 패션디자인에 표현된 조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6 (6): 206-212, 2004

      8 이승철, "한지" 현암사 2012

      9 김병기, "한국과학사" 이우 1982

      10 이승철, "종이만들기" 학고재 2001

      11 김경, "이야기가 있는 종이 박물관" 김영사 2007

      12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idxno=817208"

      13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0756&cid=665&categoryId=1374"

      14 "http://cafe.naver.com/drhanji/6226"

      15 "http://blog.naver.com/xsodami9?Redirect=Log&logNo=2016397262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