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잔나비’의 형태 및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form and meaning about ‘JANNAB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어 문헌 자료에서 ‘원숭이’는 18세기 말부터, ‘납’은 15세기부터 쓰인 명칭으로 확인된다. 17세기부터는 ‘납/납이/나비’와 함께 ‘/  /  / 잣 /잔’이 결합된 ‘/  납 ’ 형태가쓰였다. 선행 요소 ‘/  /  / 잣 /잔’은 결합 초기에는 ‘납’에 어떤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결합된 것이었을 테지만, 그 어형이 굳어져 곧 ‘납’과 ‘잔납’은 同義語처럼 쓰였던 것으로확인된다. ‘잔나비’의의미를규명하는과정에서문제가되는 것은선행요소인 ‘ᄌ’과‘’ 이 같은시대의문헌들에서확인된다는것이다. 선행연구중에‘’ 의 형태를설명하기 위해 ‘잔나비’의 의미를 “灰색 원숭이(잿빛 원숭이)”라고 밝힌 것도 있으나 그 형태변화나 변천 과정에 대하여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였기에 ‘납’의 선행요소의 정체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선행 요소인 ‘잔’ 관련 어형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통시적 자료들을 살피며, 유사한 음운 변화를 보이는 다른 단어들의 변천을 함께 고찰하여 그 어원적 실체를 밝힌다. 형태적으로, ‘나 비 ’가‘잔나비’가되기까지의과정을생각해보았을때, 가장문제가되는 것은 ‘ ’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우선은, 명사의 수식형인가, 용언의 관형형인가를 밝혀야 한다. 본고에서는 ‘- ’이 ‘- ’가 되는 것을 설명한다. 이는 ‘/ㄹ/→/j/’ 음운 변화현상의 한 예로, ‘대구’의 俗地名이 ‘달구(벌)’임을 밝힌 선행 연구에 기대어 설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 ’의 ‘ㅅ’의 문제이다. 이 ‘ㅅ’은 일종의 ‘수식 표지’로서 차자표기 및 언해 본 자료에서도 확인되었던 것으로, 명사나 용언을 수식할 때 쓰였던 형태이다. 이 또한기존의 ‘ㅅ’형 수식 표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수용하여 설명한다. 이렇게 ‘- ’이 ‘- ’가 되 고, 여기에 수식 표지 ‘ㅅ’이 결합하여 ‘- +ㅅ+납+-이〉납 이 ’가 된 것이다. ‘- ’의 수식형인 ‘- ’과 ‘- ’의 수식형인 ‘- ’은 , 하향성 이중모음()과 단모음( · /ㅏ)의 공존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 - →  - /  - → 만들-’, ‘ - →아끼-’, ‘기리 -→기다리-’ 등의 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음운 현상이다. 의미적으로는, 한문소설이나 한시에서 ‘잔나비’와 관련된 표현이 풍부한 만큼 그것이 갖는 의미도 다양하다. 원숭이의 울음소리를 이미지화하여 “如怨如慕함”이나 “애절함”을 드러내기도 하고, 얼굴 생김새는 “못생기거나 모자란 인간”에 빗대어지고, 신체(팔의 길이)는 “호걸”에 비유되었다. 또, 행동거지의 빠름과 날렵함이 부각되어 “輕擧妄動”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문헌 자료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의미와 이미지는 현대국어의 속담이나 관용구, 속어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활용되고 있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즉, ‘- ’은 “[小], [些], [細]” 등의 구체적 지시물로서의 중심의미에서, 긍정적으로는 폭넓은 “[親愛]”의 의미를 나타내고, 부정적으로는 광범위한 “[輕視]”의 의미로 확장되어 쓰였음을 국어사적 문헌 자료들을 통해 확인한다. ‘잔나비’는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에서도 확인되는 단어이기 때문에 국어교육적 차원에서도 그 형태와 의미가 규명되어야 할 단어이다.
      번역하기

      한국어 문헌 자료에서 ‘원숭이’는 18세기 말부터, ‘납’은 15세기부터 쓰인 명칭으로 확인된다. 17세기부터는 ‘납/납이/나비’와 함께 ‘/  /  / 잣 /잔’이 결합된 ‘ɫ...

      한국어 문헌 자료에서 ‘원숭이’는 18세기 말부터, ‘납’은 15세기부터 쓰인 명칭으로 확인된다. 17세기부터는 ‘납/납이/나비’와 함께 ‘/  /  / 잣 /잔’이 결합된 ‘/  납 ’ 형태가쓰였다. 선행 요소 ‘/  /  / 잣 /잔’은 결합 초기에는 ‘납’에 어떤 추가적인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 결합된 것이었을 테지만, 그 어형이 굳어져 곧 ‘납’과 ‘잔납’은 同義語처럼 쓰였던 것으로확인된다. ‘잔나비’의의미를규명하는과정에서문제가되는 것은선행요소인 ‘ᄌ’과‘’ 이 같은시대의문헌들에서확인된다는것이다. 선행연구중에‘’ 의 형태를설명하기 위해 ‘잔나비’의 의미를 “灰색 원숭이(잿빛 원숭이)”라고 밝힌 것도 있으나 그 형태변화나 변천 과정에 대하여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하지 못하였기에 ‘납’의 선행요소의 정체는 여전히 문제로 남아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선행 요소인 ‘잔’ 관련 어형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통시적 자료들을 살피며, 유사한 음운 변화를 보이는 다른 단어들의 변천을 함께 고찰하여 그 어원적 실체를 밝힌다. 형태적으로, ‘나 비 ’가‘잔나비’가되기까지의과정을생각해보았을때, 가장문제가되는 것은 ‘ ’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우선은, 명사의 수식형인가, 용언의 관형형인가를 밝혀야 한다. 본고에서는 ‘- ’이 ‘- ’가 되는 것을 설명한다. 이는 ‘/ㄹ/→/j/’ 음운 변화현상의 한 예로, ‘대구’의 俗地名이 ‘달구(벌)’임을 밝힌 선행 연구에 기대어 설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 ’의 ‘ㅅ’의 문제이다. 이 ‘ㅅ’은 일종의 ‘수식 표지’로서 차자표기 및 언해 본 자료에서도 확인되었던 것으로, 명사나 용언을 수식할 때 쓰였던 형태이다. 이 또한기존의 ‘ㅅ’형 수식 표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수용하여 설명한다. 이렇게 ‘- ’이 ‘- ’가 되 고, 여기에 수식 표지 ‘ㅅ’이 결합하여 ‘- +ㅅ+납+-이〉납 이 ’가 된 것이다. ‘- ’의 수식형인 ‘- ’과 ‘- ’의 수식형인 ‘- ’은 , 하향성 이중모음()과 단모음( · /ㅏ)의 공존현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는 ‘ - →  - /  - → 만들-’, ‘ - →아끼-’, ‘기리 -→기다리-’ 등의 예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음운 현상이다. 의미적으로는, 한문소설이나 한시에서 ‘잔나비’와 관련된 표현이 풍부한 만큼 그것이 갖는 의미도 다양하다. 원숭이의 울음소리를 이미지화하여 “如怨如慕함”이나 “애절함”을 드러내기도 하고, 얼굴 생김새는 “못생기거나 모자란 인간”에 빗대어지고, 신체(팔의 길이)는 “호걸”에 비유되었다. 또, 행동거지의 빠름과 날렵함이 부각되어 “輕擧妄動”을 나타내기도 하였다. 문헌 자료에서 확인되는 이러한 의미와 이미지는 현대국어의 속담이나 관용구, 속어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활용되고 있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즉, ‘- ’은 “[小], [些], [細]” 등의 구체적 지시물로서의 중심의미에서, 긍정적으로는 폭넓은 “[親愛]”의 의미를 나타내고, 부정적으로는 광범위한 “[輕視]”의 의미로 확장되어 쓰였음을 국어사적 문헌 자료들을 통해 확인한다. ‘잔나비’는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실린 문학 작품들에서도 확인되는 단어이기 때문에 국어교육적 차원에서도 그 형태와 의미가 규명되어야 할 단어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that one called ‘납 is gray monkeys’ in previous studies.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wordform mixed in the same representation ‘납’, ralated to the name of animals. Secondly, to study the relation among ‘납’, ‘나비’, ‘ 납’, ‘납 ’, ‘잔납이’, ‘잔나비’, ‘원숭이’ and to explain these. Thirdly, regarding ‘잔나비’, the word form of ‘납 , 납 , 납 , 잣납, 잔납’ is investigated and the meaning of ‘잔나비’ is figured out. In order to trace an origin of ‘잔나비’,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analyze the dialectal form and word form which have been showed in literature since Pre-Modern of Korean. There is little preceding study about ‘잔나비’. However ‘잔나비’ has been used informally as the meaning of ‘원숭이’(as the one of Chinese Zodiac sign). There, the study of origin and meaing of ‘잔나비’ is highly required at this point of time. ‘나 비 ’ is ‘- ’ a s the result changed to ‘- ’, which is described by the phonological process of ‘/ㄹ/→/j/’. This is an example of the same kind, 'Dalgubeol' as another name for the 'Daegu'. ‘납 → 잣납’, ‘납 → 잔납’ were monophthongization of diphthongs, i. e. ‘→ㅏ’. These are examples that coexist in the same period. Semantically, ‘납’ and ‘잔납’ are synonymous and ‘- ’ i s Polysemy. ‘-’ is an adjective representing a meaning, such a "[小], [些], [細]". And, a central meaning is positively extended to the showed the meaning of “[親愛]”, negative has been expanded by means of the “[輕視]”. ‘JANNABI' is a word that can be identified form and meaning in Korean educational level. This is because it is a word that is confirmed by the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번역하기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that one called ‘납 is gray monkeys’ in previous studies.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wordform mixed in the same representation ‘납’, ralated to the name of animals. Secondly, ...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that one called ‘납 is gray monkeys’ in previous studies. The first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wordform mixed in the same representation ‘납’, ralated to the name of animals. Secondly, to study the relation among ‘납’, ‘나비’, ‘ 납’, ‘납 ’, ‘잔납이’, ‘잔나비’, ‘원숭이’ and to explain these. Thirdly, regarding ‘잔나비’, the word form of ‘납 , 납 , 납 , 잣납, 잔납’ is investigated and the meaning of ‘잔나비’ is figured out. In order to trace an origin of ‘잔나비’,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analyze the dialectal form and word form which have been showed in literature since Pre-Modern of Korean. There is little preceding study about ‘잔나비’. However ‘잔나비’ has been used informally as the meaning of ‘원숭이’(as the one of Chinese Zodiac sign). There, the study of origin and meaing of ‘잔나비’ is highly required at this point of time. ‘나 비 ’ is ‘- ’ a s the result changed to ‘- ’, which is described by the phonological process of ‘/ㄹ/→/j/’. This is an example of the same kind, 'Dalgubeol' as another name for the 'Daegu'. ‘납 → 잣납’, ‘납 → 잔납’ were monophthongization of diphthongs, i. e. ‘→ㅏ’. These are examples that coexist in the same period. Semantically, ‘납’ and ‘잔납’ are synonymous and ‘- ’ i s Polysemy. ‘-’ is an adjective representing a meaning, such a "[小], [些], [細]". And, a central meaning is positively extended to the showed the meaning of “[親愛]”, negative has been expanded by means of the “[輕視]”. ‘JANNABI' is a word that can be identified form and meaning in Korean educational level. This is because it is a word that is confirmed by the literature published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劉昌惇, "李朝語辭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2 조영언, "한국어 어원사전" 다솜출판사 2004

      3 박재연, "필사본 고어대사전 권1-권7" 학고방 2010

      4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5 조선어학회, "조선말큰사전" 을유문화사 1947

      6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4 : 옛말이두" 한글학회 1991

      7 백문식,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 한국어 어원사전" 삼광출판사 2006

      8 박일환, "우리말 유래 사전" 우리교육 1994

      9 문세영, "우리말 辭典" 조선어사전간행회 1938

      10 김민수, "우리말 語源辭典" 태학사 1997

      1 劉昌惇, "李朝語辭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0

      2 조영언, "한국어 어원사전" 다솜출판사 2004

      3 박재연, "필사본 고어대사전 권1-권7" 학고방 2010

      4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5 조선어학회, "조선말큰사전" 을유문화사 1947

      6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4 : 옛말이두" 한글학회 1991

      7 백문식,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서 : 한국어 어원사전" 삼광출판사 2006

      8 박일환, "우리말 유래 사전" 우리교육 1994

      9 문세영, "우리말 辭典" 조선어사전간행회 1938

      10 김민수, "우리말 語源辭典" 태학사 1997

      11 이병근, "어휘사" 태학사 2004

      12 문세영, "수정증보 朝鮮語辭典" 조선어사전간행회 1940

      13 신기철, "새 우리말 큰사전" 삼성출판사 1974

      14 홍윤표, "살아있는 우리말의 역사" 태학사 2009

      15 寄周行, "근대국어 조어론 연구(1)" 태학사 1994

      16 송철의,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태학사 1992

      17 박진호, "국어사 연구와 자료" 태학사 211-224, 2007

      18 홍사만, "국어 어휘 의미의 사적 변천" 한국문화사 2003

      19 서정범, "국어 어원사전" 보고사 2000

      20 李家源, "東亞 漢韓大辭典" 東亞出版社 1997

      21 小倉進平, "本草綱目啓蒙의 朝鮮動植鑛物名" 10 : 1932

      22 조선총독부, "朝鮮語辞典" 조선총독부 1920

      23 南廣祐, "敎學古語辭典" 敎學社 1997

      24 金履浹, "平北方言辭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25 정재영, "國語史와 借字表記" 國語史와 借字表記

      26 황선엽, "‘강아지풀(莠)’의 어휘사" 한국어학회 45 : 421-446, 2009

      27 이승재, "‘ㄱ’ 弱化脫落의 通時的 考察 : 南權熙本 楞嚴經의 口訣資料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28 : 49-79, 1996

      28 Greimas, A. J., "Structural Semantics:An Attempt at a Method"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5

      29 홍윤표, "17세기 국어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