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식민지시기 염상섭의 장편소설에서 전통 한옥과 외래 건축양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중적 구조(dual structure)의 공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자세히 말해,『광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34874
2014
Korean
건축 ; 도시공간 ; 비동시적인 것의 동시성 ; 식민지 도시 ; 염상섭 ; 이중성 ; 이중적 구조 ; 이중도시 ; 전유 ; appropriation ; architecture ; city space ; colonial city ; duality ; dual city ; dualstructure ; synchronicity of the non-synchronous ; Yeom Sang-seop
KCI등재
학술저널
83-117(35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식민지시기 염상섭의 장편소설에서 전통 한옥과 외래 건축양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중적 구조(dual structure)의 공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자세히 말해,『광분...
이 글은 식민지시기 염상섭의 장편소설에서 전통 한옥과 외래 건축양식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중적 구조(dual structure)의 공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자세히 말해,『광분』의 민병천 가옥, 『삼대』의 산해진, 『무화과』의 조일사진관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의미와 그 소설적 재현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중적 구조의 건축이란, 특정한 공간 내부에 두 스타일의 건축이 양립하고 있는 양상을 지칭한다. 『광분』에서 민병천 가옥은 양옥과 한옥이 분리된 생활공간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삼대』의 산해진은 일본식 상가 내부에 한식 거주공간이 은폐되어 있다. 조일사진관은 복층구조의 외래 건축물과 한옥이 한 필지 안에 존재하고 있다. 이들은 모두 일본 및 서구로부터 신식의 건축양식이 도래함에 따라 나타난 급격한 도시경관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다.
이때 이중적 구조의 건축은 우선 전통적 도시체제를 해체하는 근대화의 영향력을 상징한다. 하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이 건축물들은 간단없이 진행되고 있는 식민지배와 근대화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도시체제와 그 조직이 나름의 관성을 가진 채 살아남았음을 반증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염상섭 소설에서 이러한 이중적 구조의 건축들은 하나같이 식민지배에 저항하는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산해진과 조일사진관은 모두 사회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는 공간이다. 『삼대』의 병화는 산해진을 일종의 보호색으로 활용하여 모종의 사업을 꾸미고 있거니와,『무화과』의 조일사진관은 ‘주의자’들에 의한 폭탄제조가 이루어지고 있는 공간이다. 민병천 가옥에는 진태가 조선박람회에서 살포할 선전물을 보관해두었다. 즉 식민자의 우세성이 드러나고 있는 이 공간들은 모두 반식민주의적인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이때 염상섭의 소설은 일본의 식민지배가 결코 경성이라는 공간을 완전히 장악할 수 없었음을 드러내고 있다. 세 편의 소설에서 가시화되고 있는 것은 결코 지배적인 요소 내부로 통합되지 않는 반대 요소의 존재이다. 이중적 구조의 건축들은 경성의 전역에서 신구(新舊) 스타일의 대립을 통해 식민지적인 것과 피식민지적인 것, 근대적인 것과 전통적인 것의 양립을 가시화시켰다. 그럼으로써 식민지도시 경성 내부에 존재하는 ‘비동시성’을 관측 가능한 수준으로 물질화시켰다. 이렇게 통합되지 않는 존재들의 이질적 공존을 재현함으로써, 염상섭은 식민지도시 경성의 진정한 축도(縮圖)를 그릴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s aim to make clear the meaning of the architecture of dual structure in Yeom Sang-seop"s novels. For this purpose, ‘Min"s house’ in Rampage, ‘Sanhaejin’ in The three generations, ‘Cho-Il studio’ in Fig have been chosen as illust...
This papers aim to make clear the meaning of the architecture of dual structure in Yeom Sang-seop"s novels. For this purpose, ‘Min"s house’ in Rampage, ‘Sanhaejin’ in The three generations, ‘Cho-Il studio’ in Fig have been chosen as illustrations.
A dual structure is a construction containing two different styles. In Rampage, Min"s house is depicted as a combination of Western architecture and a traditional Korean wooden house. Sanhaejin is combined of Japanese style and Korean style architecture. Lastly, Cho-Il studio contains two separated houses, a foreign style two story construction and a Korean single story structure. These three representations can be misunderstood as eclecticism architecture which is characterized as hybrid style. However, while eclecticism is likely to unite two different style and harmonize them, dual architecture shows vivid contrast between the styles which are foreign to each other.
They are demonstrations of the power which modernization projects. However, they are also counterevidence of remaining inertia of the old city system. This is because they are survivers which overcome the inevitable invasion of the colonization and modernization.
In addition, they all were used as a strongpoint resisting the colonist government. In other words, the space showing influence of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appropriated as anti-colonial place.
It is obvious Yeom"s novels showing the fact that the Japanese colonist never took over Korea in complete scale. His three novels make visible the very existence of a minority which refuses to be part of the dominant. By doing so, Yeom finally draw the true map of the colonial city Kyeong Seo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2 "종로구지 上" 종로구 1994
3 "조선일보"
4 강상훈,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온돌개량" 대한건축학회 22 (22): 253-260, 2006
5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화과정 연구" 일지사 1996
6 권석영, "온돌의 근대사" 일조각 2010
7 유승미, "식민지 경성, 그 상실된 장소의 소설적 재현 -염상섭의 『광분』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1) : 67-93, 2013
8 김종근,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학연구소 (38) : 1-68, 2010
9 염상섭, "삼대" 문학과지성사 2004
10 염상섭, "삼대" 민음사 1987
1 김백영, "지배와 공간" 문학과지성사 2009
2 "종로구지 上" 종로구 1994
3 "조선일보"
4 강상훈,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온돌에 대한 인식변화와 온돌개량" 대한건축학회 22 (22): 253-260, 2006
5 손정목, "일제강점기 도시화과정 연구" 일지사 1996
6 권석영, "온돌의 근대사" 일조각 2010
7 유승미, "식민지 경성, 그 상실된 장소의 소설적 재현 -염상섭의 『광분』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1) : 67-93, 2013
8 김종근,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학연구소 (38) : 1-68, 2010
9 염상섭, "삼대" 문학과지성사 2004
10 염상섭, "삼대" 민음사 1987
11 염상섭, "무화과" 동아출판사 1995
12 "매일신보"
13 "동아일보"
14 이보영, "난세의 문학" 예림기획 2001
15 염상섭, "광분" 프레스21 1996
16 윤대석, "경성의 공간분할과 정신분열" 국어국문학회 (144) : 91-112, 2006
17 "경성상업회의소 통계연보"
18 조은주, "경성부 남대문통과 태평통의 이층한옥상가에 관한 연구" 서울학연구소 (30) : 99-138, 2008
19 이경아, "경성 동부 문화주택지 개발의 성격과 의미" 서울학연구소 (37) : 47-82, 2009
20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나남 2003
21 "朝鮮と建築"
22 임명진, "『三代』에 나타난 ‘자본’의 문제" 한국비평문학회 (43) : 249-280, 2012
23 Hamlin, T, "The Rise of Eclecticism in New York" 1952
24 Fredric Jameson, "POSTMODERNISM" Duke University Press 1991
25 조은주, "1920~30년대 서울 도심 상업가로변의 한옥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26 安鍾和, "(初等)大韓地誌" 鑛學書鋪 19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2-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5-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4-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 | 1.224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