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체제는 김정일의 집권 이후 지속적인 경제난과 함께 인민들의 ‘생활 질’을 제대로 확보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내부적으로는 주체사상이 ‘선군사상’으로 대체과정에서 오는 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체제는 김정일의 집권 이후 지속적인 경제난과 함께 인민들의 ‘생활 질’을 제대로 확보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내부적으로는 주체사상이 ‘선군사상’으로 대체과정에서 오는 역...
북한체제는 김정일의 집권 이후 지속적인 경제난과 함께 인민들의 ‘생활 질’을 제대로 확보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내부적으로는 주체사상이 ‘선군사상’으로 대체과정에서 오는 역작용과 1당 독재체제하에서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해왔던 조선노동당의 현주소다. 오늘날에 와서는 위상 약화와 관료들의 부정부패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대내적으로 복합적인 체제위기상황을 맞고 있다. 이와 함께 핵 및 미사일 개발 등으로 인한 외교적 고립과 각종 불법행위로 인한 국제적 지탄, 인권이나 탈북자, 테러문제 등으로 인한 대외적 입지 약화가 맞물리면서 정권 수립 이래 최대의 위기국면을 맞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함 속에서도 북한은 과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통치체제가 김일성의 이름과 권위를 통해 김정일 부자권력 세습체제로 유지하였고, 이제는 김정은에게 3대 세습을 이어가려는 현대판 전체주의의 신정적 특성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북한은 김정은 공식 등장 직후 핵무기 포기 불가와 핵능력의 강화를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향후 북한의 정책방향은 김정일 시대의 유훈을 철저히 이행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김정은 후계체제의 안착을 위해 대내결속을 도모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Kim Jong-il assumed power,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not been able to guarantee reasonable quality for the lives of its people due to the continued economic hardships. This has resulted from the Korean Workers' Party's exercise of absolute...
Since Kim Jong-il assumed power,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not been able to guarantee reasonable quality for the lives of its people due to the continued economic hardships. This has resulted from the Korean Workers' Party's exercise of absolute power as one-party autocracy and from it internal transition from Juche Idea to Military-First Idea as its ruling ideology. Today the country is confronted with a complicated crisis that has been caused by a combination of the weaken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tical status and bureaucratic corruption. The situation is being deteriorated by diplomatic isola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international criticisms about its illegal activities, and weakened position in international society due to violation of human rights issues, refugees, and terrorism. The crisis seems to be most severe since the party was in power. Even during such crisis, North Korean government has maintained its modern totalitarianism through Kim Jong-un's hereditary system, just as it had transferred power to Kim Jong-il by sheer authority of Kim Il-sung decades ago. Their recent renewal of the vow not to give up nuclear weapons and to reinforce the nuclear program are consistent with these current movements in the government. It is anticipated that North Korea will continue to implement Kim Jong-il's policies and to promote domestic solidarity in order to firmly establish Kim Jong-un‘s success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석, "한반도 주변 4강의 대한반도 정책과 우리의 통일외교전략" 2 (2): 2002
2 이종흔, "주체사상의 비판적 인식에 의한 통일교육의 개선" 한국통일전략학회 4 (4): 2004
3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In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동지의 문헌집"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2
4 "조선일보 2010년 10월 10일자"
5 김정일, "조선노동당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당이다"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5
6 정천구, "제1장 북한문제의 성격과 한국 통일전략의 방향 - 인식의 코페르니쿠스적 대전환 -" 한국통일전략학회 10 (10): 9-44, 2010
7 최순옥, "선군정치는 우리 당의 위대한 혁명방식,In 철학연구 3"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1
8 최성학, "선군의 원리는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원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2
9 김정일, "사회주의는 과학이다"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4
10 김정일, "사상사업을 앞세우는 것은 사회주의 위업 수행의 필수적 요구이다"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5
1 이수석, "한반도 주변 4강의 대한반도 정책과 우리의 통일외교전략" 2 (2): 2002
2 이종흔, "주체사상의 비판적 인식에 의한 통일교육의 개선" 한국통일전략학회 4 (4): 2004
3 김정일, "주체사상에 대하여, In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일 동지의 문헌집"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2
4 "조선일보 2010년 10월 10일자"
5 김정일, "조선노동당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당이다"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5
6 정천구, "제1장 북한문제의 성격과 한국 통일전략의 방향 - 인식의 코페르니쿠스적 대전환 -" 한국통일전략학회 10 (10): 9-44, 2010
7 최순옥, "선군정치는 우리 당의 위대한 혁명방식,In 철학연구 3"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1
8 최성학, "선군의 원리는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는 원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2
9 김정일, "사회주의는 과학이다"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4
10 김정일, "사상사업을 앞세우는 것은 사회주의 위업 수행의 필수적 요구이다"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5
11 이상우, "북한정치입문-김정일정권의 특성과 작동원리" 나남출판사 1997
12 김성철, "북한이해의 길잡이:전환기의 북한사회" 박영사 1999
13 이기동, "북한의 후계구도 전망과 권력구조 변화" 국가안보전략연구소 2009
14 북한연구학회, "북한의 정치 2" 경인문화사 2006
15 현성일, "북한의 국가전략과 간부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16 정한구, "북한은 붕괴될 것인가?:사회주의 국가들의 경험과 북한의 장래" 세종연구소 5 (5): 2009
17 이상우, "북한40년" 을유문화사 1988
18 최진욱, "북한 정치체제에서 당·정관계의 변화시도와 전망" (26) : 2007
19 문일호, "북한 선군정치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 : 2004
20 정웅, "북한 사회주의체제의 형성과 변화경로에 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6 (6): 2006
21 한영진, "북한 김정은 후계세습 본격 가동, In 북한실상" 118-, 2010
22 김진하, "북한 3대 세습 후계구도 분석 및 정책변화 전망" 통일연구원 2010
23 김하중, "민족사적 입장에서 본 북한정권" 남북문제연구소 1997
24 "로동신문 2004년 8월 13일자"
25 "로동신문 1996년 10월 18일자"
26 "로동신문 1996년 1월 9일자"
27 "로동신문 1996년 1월 1일자"
28 "로동신문 1995년 10월 12일자"
29 "로동신문 1995년 10월 10일자"
30 "로동신문 1995년 10월 4일자"
31 "로동신문 1995년 8월 28일자"
32 "로동신문 1995년 1월 9일자"
33 "로동신문 2004년 9월 6일자"
34 "로동신문 2004년 7월 7일자"
35 "로동신문 2004년 6월 14일자"
36 "로동신문 1998년 5월 26일자"
37 최진욱, "김정일정권과 한반도장래"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5
38 김철우, "김정일장군의 선군정치:군사선행,군을 주력군으로 하는 정치" 평양출판사 2000
39 최진욱, "김정일 건강악화 이후 북한의 통치방식 변화와 대내외 정책" 2009
40 고유환, "김정은 후계구축 논리와 징후" 평화문제연구소 22 (22): 93-122, 2010
41 정경환, "김정은 인민군 사열(1): 소감"
42 "http://www.cfr.org/publication/23479/north_korea_tests_ us_str ategic_patience.html"
43 "http://blog.naver.com/cw3581Red"
44 Charles E.Merriam, "Political Power" The Free Press 1950
45 Chico Harlan, "Noth Korea succession : Kim Jong ll appoints Jang Song Taek caretaker for kim Jong Eun"
46 Scott A.Snyder, "North Korea Tests U.S.‘Strategic Patience'" Council on Foreign Relation 2010
47 박형중, "2006년 이래 북한의 보수적 대내정책과 장성택: 2009년의 북한을 바라보며" 통일연구원 2009
제8장 통일 이후 베트남의 지식재산권 침해에 대한 일고찰
제10장 Ein Unterschied von der politischen Freiheit in der Sued- und Nord-Gesellschaft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5 | 1.75 | 1.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05 | 1.054 | 0.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