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가교육과정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탐색: 정책적 활용성을 중심으로 = Meta-Synthesis of National Curriculum Studies: Focusing 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72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책적 활용성이라는 측면에서 국내 국가교육과정 관련 연구를 분석해 보고 그 동향을 파악하였다. 정책 의사결정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연구의 양적 및 질적 성장을...

      본 연구는 정책적 활용성이라는 측면에서 국내 국가교육과정 관련 연구를 분석해 보고 그 동향을 파악하였다. 정책 의사결정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 연구의 양적 및 질적 성장을 위한 기초작업으로, 최근 30년의 기간 동안 국가교육과정과 관련하여 발행된 학술 논문 541편을 분석하였다. 질적 메타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정책 단계와 연구결과의 성격에 초점을 맞춰 분석기준을 개발하고 코딩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 교육과정 관련 연구의 분포는 정책 단계별로 고르지 않게 나타났으며, 정책 형성단계와 산출물에 편중되어 있다. 또한, 개선안 제시보다 실태 파악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비중이 월등히 높으며, 실태 파악 연구의 대상은 교육과정을 개정하는 국면이나 교육과정 문서(document)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정책형성단계 연구에서의 다양한 접근, 문서 자체의 분석이 아닌 교육과정 문서가 활용되는 국면에 대한 실태 파악, 교육 정책 관련자들의 체계적인 평가 연구 선도와 지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rends in national curriculum literature focusing 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This foundational study evaluated 541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last three decades to explore their potential for ev...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rends in national curriculum literature focusing 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This foundational study evaluated 541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last three decades to explore their potential for evidence-based policy decision-making. The method of meta-synthesis was used with an emphasis on the policy process and research findings. The analysis revealed that existing literatures are un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policy process; articles were concentrated on policy formation and policy output stages. Additionally, descriptive research exceedingly outnumbered prescriptive research; most descriptive research focus on curriculum making or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diversifying curriculum policy formation studies, drawing research attention to the study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policy actors' leading role in expanding the number of curriculum evaluation stud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남진,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99-128, 2015

      2 장인실, "한국 교육과정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51-70, 2006

      3 노화준, "학문적시각" 박영사 2012

      4 오철진,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 2005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337-362, 2015

      5 이주호, "초,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재난안전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방안 –전문가 대상AHP분석 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32 (32): 175-192, 2015

      6 이정우, "중학생의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일반사회 영역 학업성취 특성 - 2012~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85-207, 2015

      7 강진웅, "중등 사회 교육과정과 국가 정체성 교육의 변천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45-59, 2017

      8 김용, "주기적, 일시적, 전면적 교육과정 개정 방식: 기능과 존속의 조건"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275-293, 2002

      9 한혜정, "일반 고등학교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방안과 2015 국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정책 제언"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37-161, 2014

      10 소경희, "우리 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에 대한 고찰" 18 (18): 201-218, 2000

      1 백남진,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제시 방식 탐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99-128, 2015

      2 장인실, "한국 교육과정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내용 분석 연구: '교육과정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51-70, 2006

      3 노화준, "학문적시각" 박영사 2012

      4 오철진,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 2005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337-362, 2015

      5 이주호, "초,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재난안전교육의 필요성과 활성화방안 –전문가 대상AHP분석 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32 (32): 175-192, 2015

      6 이정우, "중학생의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일반사회 영역 학업성취 특성 - 2012~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7 (47): 185-207, 2015

      7 강진웅, "중등 사회 교육과정과 국가 정체성 교육의 변천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56 (56): 45-59, 2017

      8 김용, "주기적, 일시적, 전면적 교육과정 개정 방식: 기능과 존속의 조건"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275-293, 2002

      9 한혜정, "일반 고등학교 직업교육 지원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방안과 2015 국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정책 제언"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137-161, 2014

      10 소경희, "우리 나라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총론과 각론의 괴리 문제에 대한 고찰" 18 (18): 201-218, 2000

      11 장경숙, "영어과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 목록" 한국영어교육학회 62 (62): 331-353, 2007

      12 조철기, "영국 국가지리교육과정 개정과 지식 논쟁" 대한지리학회 49 (49): 456-471, 2014

      13 이흔정,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교육종합연구소 8 (8): 151-171, 2010

      14 박창언, "단위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한 학교자치의 법적 기반과 과제"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405-426, 2009

      15 장인실, "다문화교육 실행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45-70, 2015

      16 김소영, "뉴스 기사를 통해 본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의 쟁점과 과제" 교육발전연구소 25 (25): 91-112, 2015

      17 원민서, "뉴 컨버전스 시대의 창의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디자인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4 (14): 229-244, 2016

      18 박대원, "국가수준 체육과교육과정의 연구 성과 및 향후 과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 (19): 65-92, 2012

      19 유정애, "국가수준 체육과 교육과정 개발 책임자의 개정 부담에 대한 셀프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 (17): 1-20, 2010

      20 박순경, "국가수준 교육과정 질 관리의 개념화와 교육과정 행정의 개선 방향" 한국교육학회 40 (40): 10-230, 2002

      21 이병호, "국가교육과정기준 문서 체제 개선방안"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21-45, 2009

      22 백경선, "국가교육과정기준 개발에서 사회적 요구 반영 체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37-62, 2007

      23 김숙자, "국가고시 유치원 교육과정에 기초한 경험학습 중심의 공동체적 유아 경제생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1-33, 2011

      24 이인제, "국가 수준의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방식의 개선" 21 (21): 69-91, 2003

      25 김종건,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 (1): 141-158, 2007

      26 김평국, "국가 교육과정의 적용 단계에서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와 전문성 신장: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2 (32): 95-122, 2014

      27 김재춘, "국가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제7차 교육과정 연구·개발 체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0 (20): 77-97, 2002

      28 소경희(蘇京姬), "국가 교육과정 개혁 과제 탐색:‘2007 교육과정’의 검토와 반성" 교육연구소 8 (8): 135-159, 2007

      29 황규호, "국가 교육과정 개정과 학교 교육의 질"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27-52, 2013

      30 장인실, "교재분석을 통한 교육과정학의 영역과 발전 동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17-37, 2005

      31 장수빈, "교육정책의 정당화: 2015 국가 교육과정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31-58, 2016

      32 박창언, "교육과정심의회의 법적 성격과 역할"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37-156, 2007

      33 김숙, "교육과정 정렬에 근거한 중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7 (27): 111-139, 2009

      34 박민정, "교육과정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 2000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25-46, 2011

      35 윤광보, "교육과정 실행 방안에 관한 연구" 1 (1): 65-86, 2000

      36 이윤미, "교육과정 실행 관점 국내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79-100, 2015

      37 남미경,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유아다문화교육 내용의 연결망 비교 분석: 2009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와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 11 (11): 189-210, 2015

      38 한혜정, "교육 목적으로서 ‘일반 능력’ 설정에 대한 논의 고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의 관계에 주는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18, 2016

      39 박희경, "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숙의 과정의 개선 과제: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85-208, 2016

      40 Stern, P. N, "Women's health and the self-care paradox : A model to guide self-care readiness" 6 : 151-163, 1985

      41 Dye, T, "Understanding public policy" Prentice-Hall 1984

      42 Oxman, A. D, "The science of reviewing research" 703 : 125-133, 1993

      43 Allen, M, "The role of meta-analysis for connecting critical and scientific approaches : The need to develop a sense of collaboration" 16 (16): 373-379, 1999

      44 Cooper, H,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Russell Sage Foundation 2009

      45 Wixson, K. K, "The challenge of developing content standards" 27 : 69-107, 2004

      46 Alessandro Liberati,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Public Library of Science (PLoS) 6 (6): e1000100-, 2009

      47 Sivesind, K, "State-based curriculum-making, Part I" 48 (48): 744-756, 2016

      48 Bernstein, B, "Pedagogy, symbolic control and identity : Theory, research, critique" Taylor & Francis 1996

      49 Westbury, I, "Organizing curriculum change : An introduction" 48 (48): 729-743, 2016

      50 Walsh, D, "Meta-synthesis method for qualitative research : Aliterature review" 50 (50): 204-211, 2005

      51 Jann, W, "Handbook of public policy analysis: Theory, politics and methods" Boca Raton 43-62, 2007

      52 Cooper, B. S,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 Theories and applications" Pearson 2004

      53 강지영,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1-27, 2016

      54 조광희, "2009 개정 물리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사용된 서술어의 특징" 교과교육연구소 17 (17): 1405-1420, 2013

      55 허수미,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특성간의 정합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7 (17): 109-127,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81 2.81 2.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65 2.69 3.561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