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도민을 중심으로 “꼰대문화가 유행하는 사회현상”을 알아보고, 분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또한 이들을 설문을 통해 꼰대라는 표현이 유행하는 이들의 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96844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07-31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도민을 중심으로 “꼰대문화가 유행하는 사회현상”을 알아보고, 분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또한 이들을 설문을 통해 꼰대라는 표현이 유행하는 이들의 독...
본 연구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도민을 중심으로 “꼰대문화가 유행하는 사회현상”을 알아보고, 분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또한 이들을 설문을 통해 꼰대라는 표현이 유행하는 이들의 독특한 문화에 대해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흥미로운 시사점은 “라떼는 말이야”라는 표현과 꼰대문화가 유행하는 사회현상에 대해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꼰대문화에서 기인한 세대간 소통단절 문제나, 사회현상에 대한 답변을 살펴보면, 세대 간의 이해와 대화를 통한 소통과 해결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분석결과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social phenomena in which the culture of Kkondae is popular” centering on the residents of Gyeonggi-do. In addition, through a questionnaire, we study the unique culture of those in which the ex...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social phenomena in which the culture of Kkondae is popular” centering on the residents of Gyeonggi-do. In addition, through a questionnaire, we study the unique culture of those in which the expression of Kkondae is popular. There is a purpose. Interesting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re the expression “latte is a horse” and the response to intergenerational communication disconnection and social phenomena that respondents think about the social phenomena in which Kkondae culture is popula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준석, "꼰대주의 선향도: 권력주의 사회의 문화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2018
2 남보람, "꼰대와 인지 부조화" 495 : 2020
3 아거, "꼰대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67 (67): 2020
1 서준석, "꼰대주의 선향도: 권력주의 사회의 문화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2018
2 남보람, "꼰대와 인지 부조화" 495 : 2020
3 아거, "꼰대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67 (67): 2020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유스트레스 사용자 경험 모델 연구
A Study on Necessity of an Introduction to Urban Agriculture System in Vietnam
모바일 웰니스 콘텐츠의 온보딩이 브랜드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효과적인 COVID19 정보 제공을 위한 모바일 웹 UI 디자인 연구 -국내외 모바일 웹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 | 0.6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2 | 0.5 | 0.73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