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COSD의 현황을 COSD의 자원과 활동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COSD의 역할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설문조사 및 전화․서면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COSD의 현황을 COSD의 자원과 활동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COSD의 역할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설문조사 및 전화․서면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
본 연구는 COSD의 현황을 COSD의 자원과 활동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고 COSD의 역할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설문조사 및 전화․서면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표준을 다루는 독립조직에서 다수 기관이 다른 업무와 표준을 병행하고 있어 표준의 전문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둘째, COSD의 표준역량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셋째, COSD 표준인력은 평균 6명이었고, 표준인력의 경력기간은 평균 8년이었으나 기관별로 상당한 격차가 있었다. 넷째, COSD의 표준인력은 KS 관리, TC 관리, 전문위원회 관리, 표준제정, 부합화제정, 개정, 폐지와 상관관계가 없어 표준인력의 적절한 업무배분에 한계를 보였다. COSD의 역할 제고를 위한 시사점으로 첫째, COSD간 격차해소, 적절한 인력배치를 위한 직무표준화, 위탁부처 COSD 업무통일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COSD 기관의 업무를 정리한 업무매뉴얼 제작을 제시하였고, 둘째, 현재 표준실무교육에 추가로 표준역량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표준위탁부처 COSD의 교육 의무화, 셋째, COSD의 기관 규모와 역량에 따른 지원 차별화, 산업표준심의회 중심으로 전 부처 COSD의 통합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SD in terms of COSD's resources and activities to derive its problems and to suggest ways to enhance the role of COSD.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ly, there was a limit ...
This study conducted surveys and interview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SD in terms of COSD's resources and activities to derive its problems and to suggest ways to enhance the role of COSD. To summarize the results, firstly, there was a limit to the expertise of standards as many institutions were doing other tasks and independent organizations dealing with standards. Second, awareness of COSD's organizational capabilities, financial capabilities, human capabilities, and standard capabilities were relatively low. Third, the average number of COSD standard personnel was six, from 2 to 14, and the average career period of standard personnel was 8 years, but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COSDs. Fourth, COSD's standard manpower was not correlated with KS management, TC management, professional committee management, standardization, conformity enactment, revision, and abolition, showing limitations in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of standard manpower. First, a work manual was produced to bridge the gap between COSDs, ensure job standardization for appropriate manpower placement, and uniformity of COSD work. Second, a standard competency program was developed in addition to the current standard practice. A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role of COSD, firstly, it was suggested to produce a work manual that summarizes the work of COSD organizations in order to resolve the gap between COSDs, standardize jobs for appropriate staffing, and ensure uniformity of COSD work. Second, in addition to the current standard practical training, a standard competency program was developed and training was made mandatory for the COSD. Third, a plan was presented to differentiate support according to the size and capabilities of COSD, and to integrate management of COSD across all ministries centered on the Industrial Standards Council.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지은 ; 송위진, "혁신환경 변화에 대응한 표준 정책 및 거버넌스 개편 방안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365-387, 2017
2 김찬우 ; 정병기, "표준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사회적 인식과 요건: 온라인 뉴스 기사에 나타난 표준 관련 인식에 대한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71-193, 2017
3 송용찬 ; 최은호 ; 홍상기 ; 강명구 ; 채예린 ; 이광열, "표준정책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32 (32): 109-136, 2018
4 박순애 ; 박치성, "중앙부처간 협력・갈등관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국가표준업무 관련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6 (46): 207-234, 2008
5 이용규, "주요 10개 국가의 국가표준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적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45-170, 2017
6 송용찬, "산업표준심의회 역할 개선 방안 연구 - 플랫폼 접근을 중심으로 -" 표준인증안전학회 12 (12): 61-77, 2022
7 조태준 ; 송용찬, "산업표준심의회 성과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표준인증안전학회 10 (10): 51-67, 2020
8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민간주도의 국가표준개발을 위한 표준개발협력기관의 발전방안 연구" 국가기술표준원 2014
9 이종원, "거버넌스 논의의 이론과 실제: 참여민주주의의 이상" 2005
10 조성한, "거버넌스 개념의 재정립" 2005
1 성지은 ; 송위진, "혁신환경 변화에 대응한 표준 정책 및 거버넌스 개편 방안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365-387, 2017
2 김찬우 ; 정병기, "표준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사회적 인식과 요건: 온라인 뉴스 기사에 나타난 표준 관련 인식에 대한 분석"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71-193, 2017
3 송용찬 ; 최은호 ; 홍상기 ; 강명구 ; 채예린 ; 이광열, "표준정책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소 32 (32): 109-136, 2018
4 박순애 ; 박치성, "중앙부처간 협력・갈등관계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국가표준업무 관련 중앙부처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6 (46): 207-234, 2008
5 이용규, "주요 10개 국가의 국가표준 거버넌스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적 연구" 한국공공관리학회 31 (31): 145-170, 2017
6 송용찬, "산업표준심의회 역할 개선 방안 연구 - 플랫폼 접근을 중심으로 -" 표준인증안전학회 12 (12): 61-77, 2022
7 조태준 ; 송용찬, "산업표준심의회 성과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표준인증안전학회 10 (10): 51-67, 2020
8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민간주도의 국가표준개발을 위한 표준개발협력기관의 발전방안 연구" 국가기술표준원 2014
9 이종원, "거버넌스 논의의 이론과 실제: 참여민주주의의 이상" 2005
10 조성한, "거버넌스 개념의 재정립" 2005
11 Farrell, Joseph, "Economic Issues in Standardization. Management in the 1990s" MIT 1990
12 Auriol, Emmanuelle, "Convergence and oscillation in standardization games. Source" 15 (15): 39-55, 2001
13 Robinson, Gary S., "ANSI’s role in standards development" 1997
14 송용찬, "4차 산업혁명 표준화 협업대응을 위한국가표준체계 및 심의회 개선방안 연구" 한국공공관리연구원 2019
15 국가기술표준원, "2022 국가기술표준백서"
생태법인 제도 도입을 위한 주요 요소 도출과 표준화 방향 제안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기반한 어린이제품 사용에 따른 중대사고 발생 요인별 영향 연구
우수물류기업인증제도와 외부환경요인이 물류산업 양적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