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대장 병변 절제에 있어 점막하 박리술 및 올가미 절제술 병용 치료의 유용성 = Combine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and Snaring for the Resection of Colorectal Les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40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Aims: Endoscopic en-bloc resection of the large colorectal lesions is technically difficul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bine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and snare resection for treating colorectal lesions. Methods: We enrolled 23 patients (M:F=14:9, age range: 46∼76 years) with 25 colo rectal tumors that were around or above 20 mm in diameter. A combined treatment of ESD and snare resection was performed. Results: The mean size of the 25 lesions was 22.6 8.2 mm (range: 15.0∼44.0 mm). Ten lesions were laterally spreading tumors and 15 lesions were found in the rectum. On the histopathologic examination, 16 lesions were adenocarcinoma, 2 lesions were villous adenoma, 1 lesion was a villotubular adenoma, 5 lesions were tubular adenoma and 1 lesion was a hyperplastic polyp. The mean resection time was 27 22 min (range: 10∼91 min). En bloc resection was possible for 19 lesions (76%). Of these, 18 specimens showed clear resection margins and 1 showed a positive deep resection margin. Of the 6 piecemeal resection cases, 2 showed positive lateral resection margins. Therefore, an 88% tumor free resection rate was obtained. Conclusions: Combined ESD and snare resection may be an effective and safe modality for the resection of large colorectal lesion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12-19)
      번역하기

      Background/Aims: Endoscopic en-bloc resection of the large colorectal lesions is technically difficul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bine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and snare resection for treating colorectal ...

      Background/Aims: Endoscopic en-bloc resection of the large colorectal lesions is technically difficul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ombine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and snare resection for treating colorectal lesions. Methods: We enrolled 23 patients (M:F=14:9, age range: 46∼76 years) with 25 colo rectal tumors that were around or above 20 mm in diameter. A combined treatment of ESD and snare resection was performed. Results: The mean size of the 25 lesions was 22.6 8.2 mm (range: 15.0∼44.0 mm). Ten lesions were laterally spreading tumors and 15 lesions were found in the rectum. On the histopathologic examination, 16 lesions were adenocarcinoma, 2 lesions were villous adenoma, 1 lesion was a villotubular adenoma, 5 lesions were tubular adenoma and 1 lesion was a hyperplastic polyp. The mean resection time was 27 22 min (range: 10∼91 min). En bloc resection was possible for 19 lesions (76%). Of these, 18 specimens showed clear resection margins and 1 showed a positive deep resection margin. Of the 6 piecemeal resection cases, 2 showed positive lateral resection margins. Therefore, an 88% tumor free resection rate was obtained. Conclusions: Combined ESD and snare resection may be an effective and safe modality for the resection of large colorectal lesions. (Korean J Gastrointest Endosc 2006;33:12-19)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대장 선종 및 일부 조기 대장암은 내시경 절제가 치료의 원칙이다. 그러나, 크기가 큰 병변은 전통적인 점막절제술로 일괄 절제하기 힘들어 병리 검토 및 추후 치료 방침 결정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대장 병변에 대한 점막하 박리술 및 올가미 절제술 병용 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대장 용종 절제를 위해 서울아산병원을 방문한 환자 중 20 mm 전후 크기이면서 기존의 점막절제술로 일괄 절제가 힘들어 보이는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병변에 대해 생리식염수 또는 hyaluronate 용액의 점막하 주입 후 절개도를 이용해 충분히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올가미로 병변을 죄어 절제하였다. 결과: 23명의 환자(남:여=14:9, 46~76세)에서 모두 25 병변에 대해 병용 치료가 시행되었다. 병변은 평균 22.6±8.2 mm (15.0~44.0 mm)였으며, 측방 발육형이 10예로 가장 많았다. 병변의 위치는 직장이 15예로 가장 흔했다. 절제된 병변의 병리조직 진단은 16 병변이 선암, 2 병변은 융모 선종, 1 병변은 관상융모 선종, 5 병변은 관상 선종, 1 병변은 과형성 용종이었다. 병변의 절제 소요 시간은 평균 27±22분(10~91분)이었다. 19 병변(76%)에서 일괄 절제되었으며 그 중 18 병변은 병리 검사에서 절제연에 종양이 없었다. 6 병변(24%)에서 분할 절제되었는데, 이 중 2 병변에서는 종양은 일괄 절제하고 주위 정상 점막 일부가 남아 재절제한 경우로 병리 검사에서 절제연에 종양은 없었으며, 나머지 4 병변은 종양 자체가 분할 절제되었고 이 중 2 병변은 외측 절제연 양성이었다. 전체적으로 88%의 절제연 병변 음성률을 보였다. 시술 후 의미 있는 출혈이나 복막염을 동반한 천공은 없었다. 결론: 기존의 점막절제술로 절제가 힘든 대장 병변에 대해 점막하 박리술과 올가미 절제술을 병용하는 방법은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인 것으로 생각한다.
      번역하기

      목적: 대장 선종 및 일부 조기 대장암은 내시경 절제가 치료의 원칙이다. 그러나, 크기가 큰 병변은 전통적인 점막절제술로 일괄 절제하기 힘들어 병리 검토 및 추후 치료 방침 결정이 어려...

      목적: 대장 선종 및 일부 조기 대장암은 내시경 절제가 치료의 원칙이다. 그러나, 크기가 큰 병변은 전통적인 점막절제술로 일괄 절제하기 힘들어 병리 검토 및 추후 치료 방침 결정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저자들은 이러한 대장 병변에 대한 점막하 박리술 및 올가미 절제술 병용 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대장 용종 절제를 위해 서울아산병원을 방문한 환자 중 20 mm 전후 크기이면서 기존의 점막절제술로 일괄 절제가 힘들어 보이는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병변에 대해 생리식염수 또는 hyaluronate 용액의 점막하 주입 후 절개도를 이용해 충분히 점막하 박리술을 시행하였다. 이후 올가미로 병변을 죄어 절제하였다. 결과: 23명의 환자(남:여=14:9, 46~76세)에서 모두 25 병변에 대해 병용 치료가 시행되었다. 병변은 평균 22.6±8.2 mm (15.0~44.0 mm)였으며, 측방 발육형이 10예로 가장 많았다. 병변의 위치는 직장이 15예로 가장 흔했다. 절제된 병변의 병리조직 진단은 16 병변이 선암, 2 병변은 융모 선종, 1 병변은 관상융모 선종, 5 병변은 관상 선종, 1 병변은 과형성 용종이었다. 병변의 절제 소요 시간은 평균 27±22분(10~91분)이었다. 19 병변(76%)에서 일괄 절제되었으며 그 중 18 병변은 병리 검사에서 절제연에 종양이 없었다. 6 병변(24%)에서 분할 절제되었는데, 이 중 2 병변에서는 종양은 일괄 절제하고 주위 정상 점막 일부가 남아 재절제한 경우로 병리 검사에서 절제연에 종양은 없었으며, 나머지 4 병변은 종양 자체가 분할 절제되었고 이 중 2 병변은 외측 절제연 양성이었다. 전체적으로 88%의 절제연 병변 음성률을 보였다. 시술 후 의미 있는 출혈이나 복막염을 동반한 천공은 없었다. 결론: 기존의 점막절제술로 절제가 힘든 대장 병변에 대해 점막하 박리술과 올가미 절제술을 병용하는 방법은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인 것으로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Usefulness of follow-up colonoscopy in laterally spreading tumor resected by endoscopic piecemeal mucosal resection" 2 : 186-191, 2003

      2 "Treatment of elderly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by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using an insulated-tip diathermic knife" 44 : 1033-1038, 2005

      3 "The prevalence of colorectal neoplasms and the role of screening colonoscopy in asymptomatic Korean adults" 2 : 179-185, 2003

      4 "Successful endoscopic en bloc resection of a large laterally spreading tumor in the rectosigmoid junction by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63 : 178-183, 2006

      5 "Successful en-bloc resection of large superficial tumors in the stomach and colon using sodium hyaluronate and small-caliber-tip transparent hood" 35 : 690-694, 2003

      6 "Success rate of curative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 circumferential mucosal incision assisted by submucosal injection of sodium hyaluronate" 56 : 507-512, 2002

      7 "Risk factors of lymph node metastasis in submucosally invasive colorectal carcinoma" 22 : 411-418, 2001

      8 "Reducing mortality from colorectal cancer by screening for fecal occult blood.Minnesota Colon Cancer Control Study" 328 : 1365-1371, 1993

      9 "Randomised study of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with faecal-occult-blood test" 348 : 1467-1471, 1996

      10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faecal-occult-blood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348 : 1472-1477, 1996

      1 "Usefulness of follow-up colonoscopy in laterally spreading tumor resected by endoscopic piecemeal mucosal resection" 2 : 186-191, 2003

      2 "Treatment of elderly patients with early gastric cancer by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using an insulated-tip diathermic knife" 44 : 1033-1038, 2005

      3 "The prevalence of colorectal neoplasms and the role of screening colonoscopy in asymptomatic Korean adults" 2 : 179-185, 2003

      4 "Successful endoscopic en bloc resection of a large laterally spreading tumor in the rectosigmoid junction by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63 : 178-183, 2006

      5 "Successful en-bloc resection of large superficial tumors in the stomach and colon using sodium hyaluronate and small-caliber-tip transparent hood" 35 : 690-694, 2003

      6 "Success rate of curative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 circumferential mucosal incision assisted by submucosal injection of sodium hyaluronate" 56 : 507-512, 2002

      7 "Risk factors of lymph node metastasis in submucosally invasive colorectal carcinoma" 22 : 411-418, 2001

      8 "Reducing mortality from colorectal cancer by screening for fecal occult blood.Minnesota Colon Cancer Control Study" 328 : 1365-1371, 1993

      9 "Randomised study of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with faecal-occult-blood test" 348 : 1467-1471, 1996

      10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faecal-occult-blood screening for colorectal cancer" 348 : 1472-1477, 1996

      11 "Prospective evaluation of colorectal polyps in 1,683 consecutive colonoscopies" 19 : 887-896, 1999

      12 "Prevention of colorectal cancer by col onoscopic polypectomy.The National Polyp Study Workgroup" 329 : 1977-1981, 1993

      13 "New indication for endoscopic treatment of colorectal carcinoma with submucosal invasion" 19 : 48-55, 2004

      14 "Mucosectomy in the colon with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37 : 764-768, 2005

      15 "Long-term follow-up of large flat colorectal tumors resected endoscopically" 35 : 845-849, 2003

      16 "Histoclinical analysis of early colorectal cancer" 24 : 1029-1035, 2000

      17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using sodium hyaluronate for large superficial tumors in the colon" 16 : 178-181, 2004

      18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early gastric cancer" 6 : 119-121, 2005

      19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of flat and depressed types of early colorectal cancer" 25 : 455-461, 1993

      20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for colonic non-polypoid neoplasms" 100 : 2174-2179, 2005

      21 "Endorectal ultrasonography and treatment of early stage rectal cancer" 24 : 1061-1068, 2000

      22 "Efficacy in standard clinical practice of colonoscopic polypectomy in reducing colorectal cancer incidence" 48 : 812-815, 2001

      23 "Determining depth of invasion by VN pit pattern analysis in submucosal colorectal carcinoma" 9 : 1005-1008, 2002

      24 "Correlations between lymph node metastasis and depth of submucosal invasion in submucosal invasive colorectal carcinoma" 39 : 534-543, 2004

      25 "Clinicopathologic features and endoscopic treatment of superficially spreading colorectal neoplasm larger than 20 mm" 54 : 62-66, 2001

      26 "A novel method of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using sodium hyaluronate" 50 : 251-256, 1999

      27 "A new sinker-assiste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for colorectal cancer" 62 : 297-301,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