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uccession Politics in North Korea, 1964-1974: A Combination of Mobilization and Collab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85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process of Kim Jong Il's succession was carried on and what the roles of the top leadership and sub-elites were in the period between 1964 and 1974. This paper argues for the three points. First, Kim Jong Il's succession succeeded thanks mainly to Kim Il Sung's mobilization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WPK) in the early stage of that period, Kim Jong Il's use of the military and propaganda apparatus in the middle phase and collaboration of Kim Il Sung, Kim Jong-il and anti-Japanese veteran revolutionaries at the end. Second, the Three-Revolution Teams and the League of Socialist Working Youth were mobilized for the successful power transition in the late state of the period. Third, in the light of Kim Jong Il's succession, it is expected that the mobilization of the military and WPK and a 'co-project of Kim family and the top officials' will act as the key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the new Kim Jong Un regime.
      번역하기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process of Kim Jong Il's succession was carried on and what the roles of the top leadership and sub-elites were in the period between 1964 and 1974. This paper argues for the three points. First, Kim Jong Il's succession...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process of Kim Jong Il's succession was carried on and what the roles of the top leadership and sub-elites were in the period between 1964 and 1974. This paper argues for the three points. First, Kim Jong Il's succession succeeded thanks mainly to Kim Il Sung's mobilization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WPK) in the early stage of that period, Kim Jong Il's use of the military and propaganda apparatus in the middle phase and collaboration of Kim Il Sung, Kim Jong-il and anti-Japanese veteran revolutionaries at the end. Second, the Three-Revolution Teams and the League of Socialist Working Youth were mobilized for the successful power transition in the late state of the period. Third, in the light of Kim Jong Il's succession, it is expected that the mobilization of the military and WPK and a 'co-project of Kim family and the top officials' will act as the key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solidating the new Kim Jong Un regi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정일 권력승계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1964년에서 1974년이다. 이 시기권력승계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당시 북한 최고지도부와 하부 엘리트는 각각 구체적 단계별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등은 이후 북한사회를 규정하는데, 그리고 김정은 권력승계에 대한 함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은 이 기간 동안 북한 권력승계와 관련한 다양한 집단의 세력관계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를 주장한다.
      첫째, 이 기간 동안의 승계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김정일 권력승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세력은 초기에는 김일성, 중기에는 김정일 자신, 말기에는 김일성과 김정일, 그리고 항일 빨치산의 연합세력이다. 김일성은 초기 조선노동당을 철저하게 동원함으로써 김정일 승계의 기틀을 다졌고, 김정일은 이를 이어 군과 선전선동시스템을 특별히 활용하면서 후계자의 위치를 사실상 굳혔으며, 1970년대 들어서는 항일 빨치산 세력이 전면에 나서고 이들이 김일성, 김정일과 공고한 협업체제를 구축하면서 김정일의 승계를 내부적으로 매듭지은 것이다.
      둘째, 3대혁명소조와 사회주의노동청년동맹은 1970년대 초반 북한 사회 전반으로부터 김정일 승계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들 조직은 세대교체와 김일성 유일사상체계의 당위가 북한 사회에 정착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김정일 승계의 성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였다.
      셋째, 김정일 승계의 과정에 비추어 보아 김정은 승계의 공고화 과정도 김정일 친족과 북한정권내 엘리트의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정은 군과 당을 중심으로 실행되어 왔고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김정일 승계의 주요 시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세분화해 핵심행위자와 그들의 동원세력, 그들간의 협업의 동학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김정일 체제 수립과정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현재를 파악하며, 그에 따른 대북정책 수립에 일정한 함의를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김정일 권력승계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1964년에서 1974년이다. 이 시기권력승계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당시 북한 최고지도부와 하부 엘리트는 각각 구체적 단계별로 어...

      김정일 권력승계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1964년에서 1974년이다. 이 시기권력승계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당시 북한 최고지도부와 하부 엘리트는 각각 구체적 단계별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등은 이후 북한사회를 규정하는데, 그리고 김정은 권력승계에 대한 함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논문은 이 기간 동안 북한 권력승계와 관련한 다양한 집단의 세력관계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를 주장한다.
      첫째, 이 기간 동안의 승계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김정일 권력승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세력은 초기에는 김일성, 중기에는 김정일 자신, 말기에는 김일성과 김정일, 그리고 항일 빨치산의 연합세력이다. 김일성은 초기 조선노동당을 철저하게 동원함으로써 김정일 승계의 기틀을 다졌고, 김정일은 이를 이어 군과 선전선동시스템을 특별히 활용하면서 후계자의 위치를 사실상 굳혔으며, 1970년대 들어서는 항일 빨치산 세력이 전면에 나서고 이들이 김일성, 김정일과 공고한 협업체제를 구축하면서 김정일의 승계를 내부적으로 매듭지은 것이다.
      둘째, 3대혁명소조와 사회주의노동청년동맹은 1970년대 초반 북한 사회 전반으로부터 김정일 승계에 대한 지지를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들 조직은 세대교체와 김일성 유일사상체계의 당위가 북한 사회에 정착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해 김정일 승계의 성공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였다.
      셋째, 김정일 승계의 과정에 비추어 보아 김정은 승계의 공고화 과정도 김정일 친족과 북한정권내 엘리트의 공동 프로젝트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정은 군과 당을 중심으로 실행되어 왔고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김정일 승계의 주요 시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세분화해 핵심행위자와 그들의 동원세력, 그들간의 협업의 동학을 심층 분석함으로써 김정일 체제 수립과정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의 현재를 파악하며, 그에 따른 대북정책 수립에 일정한 함의를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Rush, Myron, "The Problem of Succession in Communist Regimes" 32 (32): 1978

      2 Pyongyangchulpansa, "Seonguntaeyang Kim Jong Iljanggun 2" Pyongyangchulpansa 2006

      3 Bialer, Seweryn, "Seccession and Turnover of Soviet Elites" 32 (32): 1978

      4 Lee, Jong-seok, "Saerosseunhyundaebukhanuiyihae" Yeoksabipyeonsa 2000

      5 Holmes, Leslie, "Politics in the Communist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6 Beck, Carl, "Political Succession in Eastern Europe" 9 (9): 1976

      7 Gonzalez, Edward, "Political Succession in Cuba" 9 (9): 1976

      8 Kim Il Sung, "Our Young People Must Take Over the Revolution and Carry It Forward (June 24, 1971), In Kim Il Sung Works 26"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9 Kim Il Sung, "On Increasing the Vitality of the Work of the League of Socialist Working Youth to Suit the Character of Young People (February 3, 1971), In Kim Il Sung Works 26"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10 Kim, Il Sung, "On Improving Party Work and Implementing the Decisions of the Party Coference (March 17-24, 1967), In Kim Il Sung Works 21"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1 Rush, Myron, "The Problem of Succession in Communist Regimes" 32 (32): 1978

      2 Pyongyangchulpansa, "Seonguntaeyang Kim Jong Iljanggun 2" Pyongyangchulpansa 2006

      3 Bialer, Seweryn, "Seccession and Turnover of Soviet Elites" 32 (32): 1978

      4 Lee, Jong-seok, "Saerosseunhyundaebukhanuiyihae" Yeoksabipyeonsa 2000

      5 Holmes, Leslie, "Politics in the Communist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86

      6 Beck, Carl, "Political Succession in Eastern Europe" 9 (9): 1976

      7 Gonzalez, Edward, "Political Succession in Cuba" 9 (9): 1976

      8 Kim Il Sung, "Our Young People Must Take Over the Revolution and Carry It Forward (June 24, 1971), In Kim Il Sung Works 26"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9 Kim Il Sung, "On Increasing the Vitality of the Work of the League of Socialist Working Youth to Suit the Character of Young People (February 3, 1971), In Kim Il Sung Works 26"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10 Kim, Il Sung, "On Improving Party Work and Implementing the Decisions of the Party Coference (March 17-24, 1967), In Kim Il Sung Works 21"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11 Kim Il Sung, "Let Us Train Young People and Children To Be Builders of Socialism and Communism, Who Are Qualified Intellectually, Morally and Physically (February 28, 1973), In Kim Il Sung Works 28"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12 Kim Il Sung, "Let Us Promote the Building of Socialism by Vigorously Carrying out the Three Revolutions (March 3, 1975), In Kim Il Sung Works 30"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7

      13 Lee,Joo-cheol, "Kim Jong Iluisaenggakilkki" Jisikgongjakso 2000

      14 Yisikawa, Shyo, "Kim Jong Ilseogisonohitotozyoseki" Oyamagakushyutban 1987

      15 Chosunnodongdangchulpansa, "Kim Jong Ildongjiyakjeon" Chosunnodongdangchulpansa 2009

      16 Chosunnodongdangchulpansa, "Kim Jong Ildongjiyakjeon" Chosunnodongdang Chulpansa 1999

      17 Han, Jae-man, "Kim Jong Il: ingan, sasang and ryeongdo" Pyongyangchulpansa 1994

      18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Kim Jong Il: Short Biography" Foreign Languages Publishing House 2001

      19 Shin, Pyeong-gil, "Kim Jong Il gwadaenamgongjak III" 1995

      20 Shin, Pyeong-gil, "Kim Jong Il gwadaenamgongjak II" 1995

      21 Son,Gwang-joo, "Kim Jong Il Report" Badachulpansa 2003

      22 Tak, Jin, "Kim Gang-il and Park Hong-je,Kim Jong Iljidoja II" Pyongyangchulpansa 1994

      23 Tak, Jin, "Kim Gang-il and Park Hong-je,Kim Jong Iljidoja I" Pyongyangchulpansa 1994

      24 Sahwigwahakchulpansa, "Juchesasanguisahwiyeoksawolli" Sahwigwahakchulpansa 1983

      25 Kim, Jin-gye, "Joguk" Hyunjangmunhaksa 1990

      26 Suh, Dae-sook, "Hyeondaebukhanuijidoja: Kim Il Sung gwa Kim Jong Il" Eulyumunhwasa 2000

      27 Rush, Myron, "How Communist States Change Their Rulers" Cornell University Press 1974

      28 Kim, Il Sung, "Concluding Speech Delivered to the Fifth Plenary Meeting of the Fifth Central Committee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October 23-26, 1972), In Kim Il Sung Works 27"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29 Lee, Jong-seok, "Chosunnodongdangyeongu: jidosasanggwagujobyeonwhareuljungsimeuro" Yeoksabipyeongsa 1995

      30 Kim, Il Sung, "Chosungnodongdang Je5chadaehwieseohan JungangwiwonhwiSaeopchonghwaBogo" Jungangjeongbobu 1974

      31 Jung, Chang-hyun, "CEO of DPRK Kim Jong Il" Joongangbooks 2007

      32 Hwang, Il-ho, "Bonttaero Kim Jung-rinkukcheong, yuiljidochejeguthyeotda" Wolganjoongang 1994

      33 Kim Il Sung, "An Open Letter to the Voters in All Constituencies (December 1, 1972), In Kim Il Sung Works 27"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34 Kim Il Sung, "A Speech Delivered to the Newly-appointed Officials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League of Socialist Working Youth and Chairmen of Its Provincial Committee (December 16, 1972), In Kim Il Sung Works 27" Foreign Language Publishing House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