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여성의 能力과 職業活動에 관한 부산시민들의 의식을 남녀 성차별적 사회화, 여성의 취업과 업무수행능력, 주부의 직장생활과 가정이라는 측면에서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상 여성의 能力과 職業活動에 관한 부산시민들의 의식을 남녀 성차별적 사회화, 여성의 취업과 업무수행능력, 주부의 직장생활과 가정이라는 측면에서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
이상 여성의 能力과 職業活動에 관한 부산시민들의 의식을 남녀 성차별적 사회화, 여성의 취업과 업무수행능력, 주부의 직장생활과 가정이라는 측면에서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겠다.
① 부산시민들의 과반수가 남녀의 자질차이가 생득적으로 있다고 생각하며, 따라서 어린 시절 사회화 과정에서부터 男女차별적 사회화를(남성응답자의 88%, 여성응답자의 77.5%),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남녀구별은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② 여성의 취업과 직장에서의 업무수행능력에 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정도가 여성과 남성은 자질이 다르므로 신입사원채용에서 남성채용이 우선적이며, 여성은 집단통솔능력이 떨어지므로 집단의 지도자는 남성이어야 하고, 업무수행능력도 男·女 차이가 나므로 당연히 업무배치도 구별하고, 회사의 중대결정은 남자들이 해야한다고 보고 있다. 이같은 견해는 남성응답자에서 가장 높고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기혼의 경우에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③ 여성의 직업활동과 가정에 대해서는 여성의 직업활동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으나 막상 자신의 아내나 또는 본인이 가사를 맡고 있는 주부의 입장에서는 가사업무는 여전히 주부의 주된 몫으로서 주부의 직장생활로 해서 자녀양육과 교육, 가사에 소홀함이 없으면서 남편 및 가족들에게 휴식처가 되게 하려면 직업을 갖더라도 「집에서」 할 수 있는 일이거나 적어도 「시간제」 근무여야 한다는 의견들이다.
④ 환경문제에 대한 부산시민들의 관심은 높은 편이라 할 수 있겠다. 환경오염에 대한 책임은 먼저 개인에게, 그 다음 기업, 국가의 순으로 책임이 있다고 지적하였으며, 특히 여성응답자는 개인과 기업의 책임이 높다고 하였는데, 이는 오늘날 상당수의 환경개선운동들이 시민운동의 차원에서 특히 여성들에 의해 여성·주부들의 생활주변에서부터 구체적으로 실시, 전개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결과라 하겠다.
⑤ 우리사회의 과소비·향락문화의 주된 원인은 그같은 업소들에서 쉽게 돈을 벌 수 있고, 언론들의 무책임한 보도는 오히려 그러한 풍조를 부추기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우리사회의 문화생활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내용은 건강상식, 시사토론, 역사기록 등 건전하고 문화적인 내용을 더 많이 다루어야 하며, 한편으로 신문·방송 등이 캠페인을 벌이고, 행정당국은 강력한 단속을 통해 생활문화개선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여긴다.
⑥ 끝으로 부산시민의 문화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언론 등 각종 사회단체가 문화행사를 많이 주관하고, 부산시는 각종 문화행사에 적극 지원하면서, 도서관·박물관 등 문화시설 확충에 노력할 것을 당부하는 의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민들의 성(Gender)에 관한 시민의식은 아직도 남녀의 차별을 정당화하는 전통적 관념이 우세한 편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의식구조는 女性들의 能力과 職業活動에 대해서도 남·녀 차별적 의식구조로 나타난다 하겠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ow Pusan citizens think about the differing opportunities of occupational employment and the abilities of job-performance between men and women. Women are particularly disadvantaged in the occupational world, that...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ow Pusan citizens think about the differing opportunities of occupational employment and the abilities of job-performance between men and women.
Women are particularly disadvantaged in the occupational world, that means, working women have been suffered from lower pay (about less one third of men's), inferior position, and unequal, lesser opportunities in the promotion stakes than men.
Women, by virtue of their gender, should be categorized as subordinate to men and dependent on their husband, and defined their place in the home. These derogatory attitudes to women and to women's abilities in work performance are the consequences of traditional gender discriminated socialization which was justified by patriarchal ideology.
It must be recognized that the gender discriminated bias to sex-roles hinder women to contributing to socie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our traditional consciousness about the stereo-typed gender role and system must be changed as well as facilitating the improvement to the legislations on equal pay and anti-gender discrimination at work.
Data were collected, by systematic sampling, from 598 residents (287 male- and 306 female-respondants) in Pusan, in August, 1993.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biological determinism of gender role and abilities is approved by the large proportion of respondants as taken for granted and gender discriminated role ideology which rationalizes and justifies the male oriented society is permeated among our societies.
Second, many respondants regard as natural that women, by virtue of their gender situation, are disadvantaged inequally in the occupational world in various ways (wage, position, and opportunities in promotion etc.) and that the abilities of work performance of women are inferior to men.
Third, it seemed that the large proportion of male respondants and aged women themselves want to prefer work in home or part-time job rather than full-time employment. They want more flexible working hours for domestic work and emotional support to family members.
As a whole, it seemed that the gender discriminated tendency in all area of the responses about the different abilities between men and women may be closely related to gender, age, marital status, and educational experiences of respondan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