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가 인간이 살아가는 장소라고 할 때, 그것을 움직이는 주체들의 구체적인 삶에 대한 천착은 사회학의 존재 이유가 된다. 그러나 막상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실존적 삶을 연구하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17457
2006
Korean
일상 ; 일상생활 ; 일상성 ; 일상문화 ; 일상생활의 사회학 ; everyday ; everyday-life ; everydayness ; everyday-culture ; sociology of everyday-life
학술저널
91-122(32쪽)
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회가 인간이 살아가는 장소라고 할 때, 그것을 움직이는 주체들의 구체적인 삶에 대한 천착은 사회학의 존재 이유가 된다. 그러나 막상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실존적 삶을 연구하는 ...
사회가 인간이 살아가는 장소라고 할 때, 그것을 움직이는 주체들의 구체적인 삶에 대한 천착은 사회학의 존재 이유가 된다. 그러나 막상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실존적 삶을 연구하는 사회학에서 사람들의 구체적인 일상생활을 잘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은 대단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의 사회학은 구체적 현실과의 긴밀한 연관성을 가지지 못하고 현학적이고 수사적인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일상생활의 사회학은 이러한 사회학의 문제점을 인식해 사회학을 새롭게 해석하고자 하는 관점이며, 이를 통해 만들어진 새로운 사회학의 영역이다. 일상생활의 사회학은 우리의 구체적인 삶에 천착한다. 구체적이지 않은 학문은 죽은 학문이 되어버릴 수밖에 없다. 사회에 대한 연구와 문화에 대한 연구도 마찬가지이다. 구체적이지 않은 사회학과 문화학은 우리의 삶과 연관성을 찾을 수 없을 때 죽은 학문이 될 수밖에 없다.
한국 사회에 ‘일상생활’이란 단어가 들어간 연구회가 탄생한 지 이제 15년이 지났다. 사회학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 ‘일상생활의 사회학’은 편향된 한국의 지적 풍토에 균형 감각과 학문적 다양성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앞으로 더 크게 일조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ology, as a science of human beings and society, should concern every aspect of its structure, even the micro level. However, sociology has seldom studied man’ everyday-life in detail so far. Most of the sociological researches have focused o...
Sociology, as a science of human beings and society, should concern every aspect of its structure, even the micro level.
However, sociology has seldom studied man’ everyday-life in detail so far. Most of the sociological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macro level of social structure -for instance, politics, economy, culture, etc. Consequently, sociology has lacked the systematic perspective of everyday-life.
Sociology of everyday-life is a somewhat new line of how to analyze society. Abstract and empty discussion without concrete search of reality doesn't mean anything at all. It is only ‘dead science’. Sociological studies should b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everyday aspect of life.
Sociology of everyday-life is expected to bring more diversified and balanced perspective to us.
목차 (Table of Content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2-1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Journal of Cultural Sociology | ![]() |
201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7 | 1.27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4 | 1.5 | 1.70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