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불안정 애착 아동의 공감 신경망 가소성 연구 :아동 및 부모대상 뇌기반 접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76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생애 초기 양육자와의 애착(attachment)은 어린 개체의 사회신경망 조성 및 발달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동을 대상으로 이러한 사실을 증명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 연구는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아동이 정서정보에 대한 낮은 수용성과 개방성을 보이는 특성이, 타인의 정서에 대한 공명에 관여하는 공감신경망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 애착의 질과 공감신경망의 기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서정보에 대한 수용성과 개방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아동에게 적용한 뒤, 아동의 정서정보처리 특성과 공감신경망 기능이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결과,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은 뇌의 정서정보 처리영역을 중심으로 기능의 차이를 보였다.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아동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무위상태에서 띠이랑을 중심으로 기능적 연결의 증가를 보인 반면, 부정적 정서정보 처리 시에는 정서정보 처리영역의 신경활성이 오히려 감소하고 지각정보처리에 관여하는 쐐기앞소엽(precuneus)의 신경활성이 증가하였다. 이는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동이 평소 불안 수준이 높고 정서정보에 각성되어 있으나, 실제 정서정보에 맞닥뜨리면 과하게 억제하거나 저항하는 기제를 통해 정서정보를 수용하지 못하는 특성을 설명한다. 특히 띠이랑은 공감신경망의 핵심 구조물로, 부모와의 애착이 정서정보에 대한 억제와 저항 기제를 발달시켜 뇌의 공감신경망 기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2) 이 연구에서는 불안정애착과 공감신경망 기능의 관계에 대한 뇌신경학적 증거에 기초하여 뇌기반 접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개방성과 수용성을 높일 목적으로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아동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공감능력점수도 소폭 상승되었다. 또한 정서정보를 처리할 때 뇌의 정서정보 처리기제는 억제되고 지각정보 처리기제가 활성화되던 양상이 사라졌으며 미약하게나마 띠이랑에서 신경활성의 양상이 관찰되었다(uncorrected p<.05). 단기연구 특성상 참여자 수가 제한적이고 처치기간이 짧아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나 아동기 뇌신경망의 재조직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공감신경망의 핵심구조물인 띠이랑의 변화 가능성은, 생애 초기 애착이 공감신경망의 조성에 끼치는 영향력이 아동기 새로운 환경 조성과 개입을 통해 중재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번역하기

      생애 초기 양육자와의 애착(attachment)은 어린 개체의 사회신경망 조성 및 발달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동을 대상으로 이러한 사실을 증명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 연구는 불안...

      생애 초기 양육자와의 애착(attachment)은 어린 개체의 사회신경망 조성 및 발달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동을 대상으로 이러한 사실을 증명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 연구는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아동이 정서정보에 대한 낮은 수용성과 개방성을 보이는 특성이, 타인의 정서에 대한 공명에 관여하는 공감신경망의 기능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 애착의 질과 공감신경망의 기능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서정보에 대한 수용성과 개방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아동에게 적용한 뒤, 아동의 정서정보처리 특성과 공감신경망 기능이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결과, 안정애착과 불안정애착은 뇌의 정서정보 처리영역을 중심으로 기능의 차이를 보였다. 불안정애착을 형성한 아동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무위상태에서 띠이랑을 중심으로 기능적 연결의 증가를 보인 반면, 부정적 정서정보 처리 시에는 정서정보 처리영역의 신경활성이 오히려 감소하고 지각정보처리에 관여하는 쐐기앞소엽(precuneus)의 신경활성이 증가하였다. 이는 불안정 애착을 형성한 아동이 평소 불안 수준이 높고 정서정보에 각성되어 있으나, 실제 정서정보에 맞닥뜨리면 과하게 억제하거나 저항하는 기제를 통해 정서정보를 수용하지 못하는 특성을 설명한다. 특히 띠이랑은 공감신경망의 핵심 구조물로, 부모와의 애착이 정서정보에 대한 억제와 저항 기제를 발달시켜 뇌의 공감신경망 기능에 영향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2) 이 연구에서는 불안정애착과 공감신경망 기능의 관계에 대한 뇌신경학적 증거에 기초하여 뇌기반 접근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아동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개방성과 수용성을 높일 목적으로 총 12회기로 구성되었다. 불안정한 애착을 형성한 아동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공감능력점수도 소폭 상승되었다. 또한 정서정보를 처리할 때 뇌의 정서정보 처리기제는 억제되고 지각정보 처리기제가 활성화되던 양상이 사라졌으며 미약하게나마 띠이랑에서 신경활성의 양상이 관찰되었다(uncorrected p<.05). 단기연구 특성상 참여자 수가 제한적이고 처치기간이 짧아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나 아동기 뇌신경망의 재조직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공감신경망의 핵심구조물인 띠이랑의 변화 가능성은, 생애 초기 애착이 공감신경망의 조성에 끼치는 영향력이 아동기 새로운 환경 조성과 개입을 통해 중재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eural substrates of children’s attachment styles in an fMRI environment and the possibility of its changes after a brain-based intervention program. Initially, a total of 208 boys in the 3rd and 4th grade was assessed on their attachment styles. Finally, 44 children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2 groups; the secure attachment group and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Using fMRI, this study assessed neural responses during attachment-related scenes requiring emotional processing and functional connectivity in resting state. After that,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was divided into 2 groups. Experimental group attended a brain-based intervention program that was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Control group waited for experimental group to finish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fMRI before beginning their trial. After 12 sessions, this study assessed again children's neural responses during emotional processing and functional connectivity for investigating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 sess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terior and midcingulate gyrus were activated in the secure attachment group more than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during emotional processing. Whereas, the functional connectivity on the cingu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eural substrates of children’s attachment styles in an fMRI environment and the possibility of its changes after a brain-based intervention program. Initially, a total of 208 boys in the 3rd and 4th gra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eural substrates of children’s attachment styles in an fMRI environment and the possibility of its changes after a brain-based intervention program. Initially, a total of 208 boys in the 3rd and 4th grade was assessed on their attachment styles. Finally, 44 children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2 groups; the secure attachment group and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Using fMRI, this study assessed neural responses during attachment-related scenes requiring emotional processing and functional connectivity in resting state. After that,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was divided into 2 groups. Experimental group attended a brain-based intervention program that was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Control group waited for experimental group to finish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fMRI before beginning their trial. After 12 sessions, this study assessed again children's neural responses during emotional processing and functional connectivity for investigating the changes between pre and post sess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terior and midcingulate gyrus were activated in the secure attachment group more than the insecure attachment group during emotional processing. Whereas, the functional connectivity on the cingu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