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과정의 법적 근거와 관련 규정의 비교 고찰 : = Comparative analysis of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606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을 비롯한 외국의 교육과정 개정 기반으로 작용하는 법규 현황과 특징을 탐색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관련 법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각국의 법규 현황은 한국의 경우는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일본은 교육기본법, 학교교육법, 학교교육법시행규칙, 영국은 교육법 2002, 캘리포니아 주는 캘리포니아 주 교육법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모든 사항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에 위임하고 있지만, 다른 국가에서 는 교육과정 관련 사항, 예컨대 교육목적을 비롯하여 교육목표, 교과목 및 교과목 시 수, 교과목 내용,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에 관한 지침을 법규로 규정하고 있었다. 각 국의 교육과정 관련 법규 분석에서 볼 때, 교육과정에 대한 권한이 전적으로 교육과 학기술부 장관에 위임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수시 개정 체제에 따라 최근 단위 학교의 혼란과 학교 교육과정의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의 일부를 법규로 규정하는 방안을 논의할 시점이 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육과 정의 법적 지위를 명료화하고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의 연계성을 높이면서 단위 학교 의 보다 안정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을 비롯한 외국의 교육과정 개정 기반으로 작용하는 법규 현황과 특징을 탐색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관련 법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각국의 법규 현황...

      이 연구는 한국을 비롯한 외국의 교육과정 개정 기반으로 작용하는 법규 현황과 특징을 탐색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 관련 법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각국의 법규 현황은 한국의 경우는 교육기본법, 초·중등교육법,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일본은 교육기본법, 학교교육법, 학교교육법시행규칙, 영국은 교육법 2002, 캘리포니아 주는 캘리포니아 주 교육법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는 모든 사항을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에 위임하고 있지만, 다른 국가에서 는 교육과정 관련 사항, 예컨대 교육목적을 비롯하여 교육목표, 교과목 및 교과목 시 수, 교과목 내용,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에 관한 지침을 법규로 규정하고 있었다. 각 국의 교육과정 관련 법규 분석에서 볼 때, 교육과정에 대한 권한이 전적으로 교육과 학기술부 장관에 위임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수시 개정 체제에 따라 최근 단위 학교의 혼란과 학교 교육과정의 불안정성을 초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의 일부를 법규로 규정하는 방안을 논의할 시점이 되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교육과 정의 법적 지위를 명료화하고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의 연계성을 높이면서 단위 학교 의 보다 안정적인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curriculum between in Korea and in some other countries, and draw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our law system from that.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goal,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many different kinds of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curriculum such as the 「Basic Law of Educati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Law」, 「Enforcement ordinance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Law」in Korea, 「Law of School Education」, 「Regulation of School Education Law」in Japan, 「Education Act 2002」in the U.K., 「California Education Laws」in the U.S.A. After the careful and considerate analysis, we found out that all the other countries have laws and regulation regarding curriculum (including educational goals, subject matter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etc.), while Korea entrust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full powers over curriculum matters without stipulating them in laws and regulations. This makes Korean curriculum unstable and be changed irregularly, which gives much confusion to school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stipulate all the curriculum matters into laws and regula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curriculum between in Korea and in some other countries, and draw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our law system from that. In order to ac...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aws and regulations regarding curriculum between in Korea and in some other countries, and draw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our law system from that.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goal,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many different kinds of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curriculum such as the 「Basic Law of Educati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Law」, 「Enforcement ordinance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al Law」in Korea, 「Law of School Education」, 「Regulation of School Education Law」in Japan, 「Education Act 2002」in the U.K., 「California Education Laws」in the U.S.A. After the careful and considerate analysis, we found out that all the other countries have laws and regulation regarding curriculum (including educational goals, subject matter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etc.), while Korea entrust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ith full powers over curriculum matters without stipulating them in laws and regulations. This makes Korean curriculum unstable and be changed irregularly, which gives much confusion to school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stipulate all the curriculum matters into laws and regula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문제설정 및 연구목적
      • Ⅱ. 각국의 교육과정 관련 법규 현황
      • Ⅲ. 국가 간 교육과정 관련 법규 비교 논의
      • Ⅳ. 시사점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문제설정 및 연구목적
      • Ⅱ. 각국의 교육과정 관련 법규 현황
      • Ⅲ. 국가 간 교육과정 관련 법규 비교 논의
      • Ⅳ. 시사점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