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시대 八關會를 통한 국제교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56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려 팔관회에서 행해진 조하(朝賀)의식은 고려 왕실과 외국상인간 양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진헌(進獻)과 교역품 인정이 고도로 세련된 의전으로 변환된 것이었다. 외국인조하의식이 상례화(常例化)되었던 것은, 동아시아 여러나라와 종족들 사이에 물자를 교역하고 사회문화적인 교류를 나눌 공식적인 기회가 마련된 것이었다. 고려 팔관회의 음악공연은 국내적으로는 개경은 물론 지방의 신하들과 함께 이를 관람함으로써 국왕의 권위를 과시하고 위계질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주변국의음악연주를 통해서 고려와 여러 민족간 음악은 물론이고 연주자·악기 등 사회·문화적인교류까지도 충분히 짐작해볼 수 있었다. 특히, 구정(毬庭)의 공연 가운데 산대잡극(山臺 雜劇)에 송나라 등 주변국의 기예자(技藝者)가 참여하였던 것은 가무(歌舞)·잡희(雜戱) 의 교류뿐 아니라 해당 기예자들의 인적 교류까지도 짐작해볼 수 있었다.
      번역하기

      고려 팔관회에서 행해진 조하(朝賀)의식은 고려 왕실과 외국상인간 양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진헌(進獻)과 교역품 인정이 고도로 세련된 의전으로 변환된 것이었다. 외국인조하의식이 상례...

      고려 팔관회에서 행해진 조하(朝賀)의식은 고려 왕실과 외국상인간 양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진헌(進獻)과 교역품 인정이 고도로 세련된 의전으로 변환된 것이었다. 외국인조하의식이 상례화(常例化)되었던 것은, 동아시아 여러나라와 종족들 사이에 물자를 교역하고 사회문화적인 교류를 나눌 공식적인 기회가 마련된 것이었다. 고려 팔관회의 음악공연은 국내적으로는 개경은 물론 지방의 신하들과 함께 이를 관람함으로써 국왕의 권위를 과시하고 위계질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한 주변국의음악연주를 통해서 고려와 여러 민족간 음악은 물론이고 연주자·악기 등 사회·문화적인교류까지도 충분히 짐작해볼 수 있었다. 특히, 구정(毬庭)의 공연 가운데 산대잡극(山臺 雜劇)에 송나라 등 주변국의 기예자(技藝者)가 참여하였던 것은 가무(歌舞)·잡희(雜戱) 의 교류뿐 아니라 해당 기예자들의 인적 교류까지도 짐작해볼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ha (朝賀) conducted at Palkwanhoe in Goryeo was a highly sophisticated ceremony converted from the acceptance of offerings to the King and trade goods based on the mutual interest between the Goryeo royal family and foreign traders. A routine Joha ceremony conducted by foreigners at Goryeo Palkwanhoe was the official way for the trading of goods and socio-cultural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and peoples in East Asia. The music performance held at Goryeo Palkwanhoe showed the King’s authority and confirmed the hierarchy between sovereigns and subjects. This was done by the King’s viewing the performance with subjects who were from Gaekyeong and local areas. The socio-cultural exchanges of Goryeo, neighboring countries and other peoples were evident during performances by musicians, their instruments as well as the music itself. Particularly in Sandaejabguk (山臺雜劇) held at Gujeong (毬庭),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foreign performers accompanied by a trade delegation participating in Sandaejabguk at Palkwanhoe. This would be conducted by various performers from Song and other neighboring countries. There was a wide exchange of songs and dances and Japi (雜戱) human exchange of the performers between Goryeo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번역하기

      Joha (朝賀) conducted at Palkwanhoe in Goryeo was a highly sophisticated ceremony converted from the acceptance of offerings to the King and trade goods based on the mutual interest between the Goryeo royal family and foreign traders. A routine Joha...

      Joha (朝賀) conducted at Palkwanhoe in Goryeo was a highly sophisticated ceremony converted from the acceptance of offerings to the King and trade goods based on the mutual interest between the Goryeo royal family and foreign traders. A routine Joha ceremony conducted by foreigners at Goryeo Palkwanhoe was the official way for the trading of goods and socio-cultural exchanges with foreign countries and peoples in East Asia. The music performance held at Goryeo Palkwanhoe showed the King’s authority and confirmed the hierarchy between sovereigns and subjects. This was done by the King’s viewing the performance with subjects who were from Gaekyeong and local areas. The socio-cultural exchanges of Goryeo, neighboring countries and other peoples were evident during performances by musicians, their instruments as well as the music itself. Particularly in Sandaejabguk (山臺雜劇) held at Gujeong (毬庭),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foreign performers accompanied by a trade delegation participating in Sandaejabguk at Palkwanhoe. This would be conducted by various performers from Song and other neighboring countries. There was a wide exchange of songs and dances and Japi (雜戱) human exchange of the performers between Goryeo and its neighboring coun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외국인 朝賀와 物産의 교역
      • Ⅲ. 毬庭공연과 사회·문화적 교류
      • Ⅳ. 맺는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외국인 朝賀와 物産의 교역
      • Ⅲ. 毬庭공연과 사회·문화적 교류
      • Ⅳ.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혜구, "한국중세사회의 음악문화 : 고려시대편" 2002

      2 김종명, "한국 중세의 불교의례 :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지성사 2001

      3 안지원, "팔관회의 의례 내용과 사회적성격"

      4 홍윤식, "불교행사의 성행" 국사편찬위원회 16 : 1994

      5 한흥섭, "백희가무를 통해 본 고려시대 팔관회의 실상 - 팔관회는 불교의례인가?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47 : 347-388, 2007

      6 안지원, "고려의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7 김철웅, "고려와 大食의 교역과 교류" 한국문화사학회 (25) : 129-145, 2006

      8 노명호, "고려시대의 다원적 천하관과 해동천자" 105 : 1999

      9 전영준, "고려시대 팔관회의 설행과 국제문화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 : 213-243, 2010

      10 안지원, "고려시대 국가 불교의례 연구 : 연등·팔관회와 제석도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 이혜구, "한국중세사회의 음악문화 : 고려시대편" 2002

      2 김종명, "한국 중세의 불교의례 :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 문학과지성사 2001

      3 안지원, "팔관회의 의례 내용과 사회적성격"

      4 홍윤식, "불교행사의 성행" 국사편찬위원회 16 : 1994

      5 한흥섭, "백희가무를 통해 본 고려시대 팔관회의 실상 - 팔관회는 불교의례인가?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47 : 347-388, 2007

      6 안지원, "고려의 불교의례와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7 김철웅, "고려와 大食의 교역과 교류" 한국문화사학회 (25) : 129-145, 2006

      8 노명호, "고려시대의 다원적 천하관과 해동천자" 105 : 1999

      9 전영준, "고려시대 팔관회의 설행과 국제문화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 : 213-243, 2010

      10 안지원, "고려시대 국가 불교의례 연구 : 연등·팔관회와 제석도장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9

      11 최윤영, "고려시대 '팔관산대잡극'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12 김혜숙, "고려 팔관회의 내용과 기능" 9 : 2000

      13 변동명, "고려 팔관회에서의 외국인조하와 국제교류" 전남대 이순신문화연구소 5 : 2010

      14 김인호, "고려 관인사회의 잔치와 축제" 국학연구원 129 : 97-137, 2005

      15 이은봉, "高麗時代의 佛敎와 土着信仰과의 接觸關係 : 燃燈會·八關會의 宗敎儀禮 機能을 中心으로" 6 : 1990

      16 이진한, "高麗時代 宋商 貿易의 再照明" 역사교육연구회 104 : 49-82, 2007

      17 金炯雨, "高麗時代 國家的 佛敎行事에 대한 연구"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3

      18 里道德雄, "高麗佛敎における八關會の構造" 東洋大 東洋學硏究所 17 : 1983

      19 二宮啓任, "高麗の八關會について" 9 : 1956

      20 奧村周司, "高麗における八關會的秩序と國際關係" 16 : 1979

      21 한정수, "高麗 太祖代 八關會 설행과 그 의미" 대동문화연구원 (86) : 195-228, 2014

      22 김기대, "高麗 八關會에 대한 硏究" 西江大學校 大學院 1989

      23 안계현, "韓國佛敎思想史硏究" 東國大出版部 1983

      24 三品彰英, "朝鮮における佛敎と民族信仰" 13 : 1954

      25 도광순, "八關會와 風流徒" 79 : 1995

      26 안계현, "八關會攷" 4 : 1956

      27 안계현, "佛敎行事의 盛行" 국사편찬위원회 6 : 1975

      28 김기덕, "10~14세기 아시아의 상호 교류와 협력" 강화고려역사재단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9 0.42 0.64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