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학 : 중국에서의 한글 외래어표기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 현행 외래어 표기법 중 중국의 인명,지명 표기를 중심으로- =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 about notating Hangeul with foreign words in china -Focus on Chinese person`s name, the name of a place among the existing foreign word notation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70027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or searching the better direction of solving these kind of problems, which is up to now how to generate Chinese person`s name and the name of a place using Hangeul in china, in addition what kind of problem does exist in notating them. The author bases on multi-angle analysis of the problem, caused by notating Chinese person`s name and place name using the existing Hangeul with foreign words notation. By respecting the history as well as minimizing the contradictions, the proposal is the use of Chinese words used to notate directly, just in the case of minority nationalities, the person`s name and the name of a place needs to be notated according to pronunciation requirement of minority nationalities languag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or searching the better direction of solving these kind of problems, which is up to now how to generate Chinese person`s name and the name of a place using Hangeul in china, in addition what kind of problem does exist i...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for searching the better direction of solving these kind of problems, which is up to now how to generate Chinese person`s name and the name of a place using Hangeul in china, in addition what kind of problem does exist in notating them. The author bases on multi-angle analysis of the problem, caused by notating Chinese person`s name and place name using the existing Hangeul with foreign words notation. By respecting the history as well as minimizing the contradictions, the proposal is the use of Chinese words used to notate directly, just in the case of minority nationalities, the person`s name and the name of a place needs to be notated according to pronunciation requirement of minority nationalities languag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국어연구원, "한국어문규정집 in: 외래어 표기법" 182-186, 2002

      2 중국조선어사정 위원회, "조선말 규범집 in: 한자단어의 조선말 표기법" 연변인민출판사 64-68, 2007

      3 중국조선어사정 위원회, "조선말 규범집 in: 조선말어휘규범" 연변인민 출판사 47-, 2007

      4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 "외국말 적기법 in: 중국말 단어를 우리글자로 적는 법과학" 백화사전 출판사 4-6, 1985

      5 전홍렬, "실용 중ㆍ한 번역사전" 중국당대민족, 민족 출판사 400-403, 2004

      6 월간중앙, "세계민족사전" 중앙일보사 83-101, 1992

      7 정인갑, "‘연변’과 ‘옌변’ in: 문학과 예술" 연변인민출판사 193-198, 2007

      1 국립국어연구원, "한국어문규정집 in: 외래어 표기법" 182-186, 2002

      2 중국조선어사정 위원회, "조선말 규범집 in: 한자단어의 조선말 표기법" 연변인민출판사 64-68, 2007

      3 중국조선어사정 위원회, "조선말 규범집 in: 조선말어휘규범" 연변인민 출판사 47-, 2007

      4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국어사정위원회, "외국말 적기법 in: 중국말 단어를 우리글자로 적는 법과학" 백화사전 출판사 4-6, 1985

      5 전홍렬, "실용 중ㆍ한 번역사전" 중국당대민족, 민족 출판사 400-403, 2004

      6 월간중앙, "세계민족사전" 중앙일보사 83-101, 1992

      7 정인갑, "‘연변’과 ‘옌변’ in: 문학과 예술" 연변인민출판사 193-198,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8 1.0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