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창의성을 통한 윤리적 리더십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간접 효과가 과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절적 매개 모형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05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윤리적 리더십(ethical leadership)과 고성과작업시스템(high performance work system)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각각의 효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분석하여 조직의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윤리적 리더십(ethical leadership)과 고성과작업시스템(high performance work system)에 관한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각각의 효과를 서로 독립적으로 분석하여 조직의 과정과 결과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예, Boxall & Macky 2009; Brown, Trevino & Harrison, 2005; Chughtai et al., 2015; Lepak & Shaw, 2008; Piccolo, Greenbaum, den Hartog, & Folger, 2010; Harney & Trehy, 2016; Walumbwa & Schaubroeck, 2009). 그러나 조직 내에서 찾아볼 수 있는 명시적 과정(예,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암묵적 과정(예, 윤리적 리더십)의 효과가 동시적으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연구가 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윤리적 리더십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의 관계에 관한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종업원의 직무 관련 태도와 결과에 부정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한다. 이와 같은 기대의 일반화가 갖는 문제점을 부각시키면서, 명시적 과정과 암묵적 과정의 통합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HRM과 리더십 관련 기존 문헌에 이론적, 실용적 기여를 더하고자 시도해본다. HRM과 리더십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조직의 상황적 특성에 비중을 두어왔다. 선행연구에서는 조직의 과정이 종업원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부각되어 왔지만(Folger, Cropanzano, & Goldman, 2005), 특히 창의성 및 과업 성과와 관련하여 HRM과 리더십을 함께 다룬 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아주 드문 예로 Kalshoven & Boon (2012)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이들은 HRM 수준이 낮을 때 윤리적 리더십이 종업원의 복리와 긍정적인 관계를 갖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HRM 수준이 높을 때에는 별다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윤리적 리더십 또는 HRM이 종업원 복리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이지만, 이들 두 요소가 동시에 그러하지는 않다고 보았다(Kalshoven & Boon, 2012).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조직 실행으로 인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어진 상황에 따라서는 윤리적 리더십과 고성과작업시스템간에 부정적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을 대체할 수 있는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Kerr & Jermier, 1978).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윤리적 리더십은 그 자체로서 서로 대체되지는 않는다. 사실 본 연구는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윤리적 리더십이 부정적으로 상호작용하며 고성과작업시스템은 윤리적 리더십을 대체한다기보다 보상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민간기업과 개인주의적 문화에서 발전되어 온 이론적 자원과 실용적 함의를 비서구 사회에서도 일반화할 수 있는지 여부를 토의하고자 한다(Aycan, Kanungo, Mendonca, Yu, Deller, Stahl, & Kurshid, 2000). 미래 비교연구에서는 윤리적 리더십과 고성과작업시스템간의 부정적 상호작용 효과가 종업원에 미치는 영향을 다른 문화권과 상이한 유형의 조직 상황에도 적용가능한지를 검증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모든 여건과 상황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 가설의 타당성 여부를 점검해볼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할 원자료는 우리나라의 에너지산업 분야의 대표적 공기업 한 곳으로부터 수집한 자료이다. 질문지를 사용한 조사는 2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팀원들을 대상으로 질문지조사를 수행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팀장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때 팀장들은 자신이 책임을 맡고 있는 팀 전체에 대한 평가와 팀원 개인의 성과에 대한 평가를 동시에 하도록 요청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위계적선형모델기법(hierarchial linear modelling; HLM)을 활용한다. 또한 조절적 매개모형분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절차(bootstrapping procedure)를 따를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