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の文章は、なぜ1920年代の朝鮮文壇に自然主義文學が形成され、また、なぜそれがプロ文學の强力な理論的背景と共存し得たのかということを根本的な問題として設定しつつ、自然主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この文章は、なぜ1920年代の朝鮮文壇に自然主義文學が形成され、また、なぜそれがプロ文學の强力な理論的背景と共存し得たのかということを根本的な問題として設定しつつ、自然主義...
この文章は、なぜ1920年代の朝鮮文壇に自然主義文學が形成され、また、なぜそれがプロ文學の强力な理論的背景と共存し得たのかということを根本的な問題として設定しつつ、自然主義文學が近代朝鮮という問題狀況の中で構築されることを踏まえ、その文學史的意義を再考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1920年代は、社會の諸般の構造が完全に變貌した時期である。それを反映するための積極的な手段としての文學を、運動の形態に導いていくという認識基盤がこの頃形成されていたが、特に自然主義文學と新傾向派文學は、自身が屬する社會秩序、その原理と矛盾が錯綜した經濟體制、そしてそこに屬する自信を表現する文學の精神的展開が、一つの有機的な同一性を形成しながら否定の精神を表出したという点で、植民地という狀況的文脈を基盤として共存していた。廉想涉は、個人、自立、自我、覺醒、個性、現實の客觀的描寫、事實、自然科學などの槪念をすべて自然主義という一つの觀念に收斂させることにより、近代的な個人の主體性を最終審級に位置づけるなど、「眞の近代小說」を定着させたという文學史的意義を獲得している。このような点で「朝鮮の自然主義文學」とは、近代的個人の自律的な主體意識の所産であった。したがって、その時代の朝鮮の現實を暴露することによって社會的. 精神的な基礎を整えた否定的リアリズムとしての近代文學を定着させた最大の功罪は自然主義の文學に求められるべきだが、それが結局、冷笑を極大化させる中で行動が去勢された行動主義へとなり下がった部分は、結局「文學への回歸」という予定調和的な手續きをしか踏み得なかった。つまり「時代閉塞の狀況」で、朝鮮の自然主義文學は單純に「文學」をしたのであり、まさにここに近代文學を擔った最初の世代のエ一トスが存在するのである。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2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99
3 김윤식, "한국 자연주의문학론고에 대한 비판 : 한국 현대문예비평사 연구(3)" 국어국문학회 29 : 1965
4 권보드래,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소명출판 2000
5 김명인, "한국 근대 문학개념의 형성과정-‘비애의 감각’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2 (12): 171-201, 2005
6 "학지광"
7 "창조"
8 김태준, "조선한문학사" 한성도서주식회사 1931
9 "조선중앙일보"
10 "조선일보"
1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69
2 김윤식, "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일지사 1999
3 김윤식, "한국 자연주의문학론고에 대한 비판 : 한국 현대문예비평사 연구(3)" 국어국문학회 29 : 1965
4 권보드래, "한국 근대소설의 기원" 소명출판 2000
5 김명인, "한국 근대 문학개념의 형성과정-‘비애의 감각’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2 (12): 171-201, 2005
6 "학지광"
7 "창조"
8 김태준, "조선한문학사" 한성도서주식회사 1931
9 "조선중앙일보"
10 "조선일보"
11 "조선문단"
12 염상섭, "조선 文士의 연애관" 설화서관 1926
13 강인숙, "자연주의문학론 : 염상섭과 자연주의" 고려원 1991
14 임화, "임화문학예술전집 2 문학사" 소명출판 2009
15 이광수, "이광수전집 16" 삼중당 1962
16 이광수, "이광수전집 1" 삼중당 1962
17 이경덕, "욕망과 서사" (봄) : 1993
18 이어령, "오해와 모순의 여울목 : 그 역사와 특성" 11 (11): 1963
19 서영채, "염상섭의 초기 문학의 성격에 대한 한 고찰, In 염상섭 문학의 재조명" 새미 1998
20 권영민, "염상섭의 비평활동 : 리얼리스트의 신념과 민족의식, In 염상섭전집 12" 민음사 1987
21 장사선, "염상섭 절충론의 무절충성, In 염상섭 문학연구" 민음사 1987
22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23 백철, "신문학사조사" 신구문화사 2003
24 "신문계"
25 "신동아"
26 "서울신문"
27 "사상계"
28 아르놀트 하우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창작과비평사 1999
29 "문예공론"
30 "문예"
31 "동아일보"
32 "대한흥학보"
33 김윤식, "근대한국문학연구" 일지사 1973
34 백철, "국문학전서" 신구문화사
35 고바야시 히데오, "고바야시 히데오 평론집" 소화 2003
36 이명원, "계몽과 창조의 혼성담론: 염상섭의 「개성과 예술」(1922)론" 반교어문학회 15 : 2003
37 "개벽"
38 長谷川天溪, "長谷川天溪文藝全集" 岩波書店 1955
39 柄谷行人, "戰前の思考" 文芸春秋社 1994
40 염상섭, "[단행본] 염상섭 전집" 민음사 1987
41 Fredric Jameson, "The Political Unconscious : Narrative as a Socially Symbolic Act" 1981
학부 발간 『보통학교용 국어독본』(1907) 연구 -`교과서의 위상`에 따른 특징을 중심으로
『유년필독』의 출간 배경과 논리 -국가주의 역사관의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염상섭의 중도적 민족노선 -1922년부터 1960년까지
염상섭 문학과 공간의 문화정치 -『사랑과 죄』와 1920년대 경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10-13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국제어문외국어명 :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 | 0.7 | 0.7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76 | 1.32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