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역원은 조선의 외국어 교육 전문 기관으로 『경국대전』에는 사역원 사학(四學) 즉 한학(漢學), 몽학(蒙學), 왜학(倭學), 여진학(女眞學) 등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 초기부터 사역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73101
2012
Korean
사역원의 사학(四學) ; 여진학 ; 청학 ; 『노걸대』 ; 『첩해신어』 ; 역관 ; Sahak(四學) in Sayeokwon(司譯院) ; Waehak(倭學) ; Yeojinhak(女眞學) ; Cheonghak(淸學) ; Nogeoldae(老乞大) ; Cheophaesineo(捷解新語).
KCI등재
학술저널
51-93(4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사역원은 조선의 외국어 교육 전문 기관으로 『경국대전』에는 사역원 사학(四學) 즉 한학(漢學), 몽학(蒙學), 왜학(倭學), 여진학(女眞學) 등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 초기부터 사역원...
사역원은 조선의 외국어 교육 전문 기관으로 『경국대전』에는 사역원 사학(四學) 즉 한학(漢學), 몽학(蒙學), 왜학(倭學), 여진학(女眞學) 등이 명시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 초기부터 사역원의 사학이 정립된 것은 아니었다. 조선 초기에는 한학과 몽학만으로 사역원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후 왜학과 여진학이 차례로 설치되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여진학은 청학으로 바뀌었으며, 사역원 내에서의 서열도 조선 초기에는 한학, 몽학, 왜학, 여진학이었으나 청이 동아시아의 강자로 군림한 이후에는 한학, 청학, 왜학, 몽학으로 바뀌었다. 이와 같이 사역원의 성립에서부터 사학의 성립 과정, 여진학이 청학으로 바뀌는 현상, 사역원 서열의 변화는 모두 조선을 둘러싼 정세의 변화와 관계가 있다.
한편 사역원의 교재를 역학서라 불러왔는데 역학서 중에는 다른 역학서와는 달리 편찬부터 사역원이 폐지되는 구한말까지 계속 쓰이면서 영향력을 발휘한 역학서들이 있다. 한학서에서는 『노걸대』와 『박통사』가, 왜학서에서는 『첩해신어』가 그런 종류의 역학서에 해당한다. 특히 『노걸대』는 고려 말에 편찬된 이후 사역원이 폐지될 때까지 600여 년 간 한학서의 역학서로 사용되었다.
한편 기존의 논의에서 조선의 외국어 교육의 특징은 첫째 유학생 파견, 둘째 원어민 교사의 채용, 셋째 역관들의 모국어 사용을 통제하는 것 등이 지적되었다. 그런데 17세기 이후의 역관 가계에 주목하면 여기에 역관의 세습화와 외국어 조기 교육이 조선의 외국어 교육의 특징으로 추가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Sayeokwon(司譯院) has founded in the late of Koryeo Dynasty, it has continued existence as a special institution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during about 600 years. It established Sahak(四學) which was composed of Hanhak(漢學), Monghak(...
Since Sayeokwon(司譯院) has founded in the late of Koryeo Dynasty, it has continued existence as a special institution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during about 600 years. It established Sahak(四學) which was composed of Hanhak(漢學), Monghak(蒙學), Waehak(倭學) and Yeojinhak(女眞學). Sahak was, however, not established from in the early period of Choseon. When Sayeokwon was founded at that time, it was composed of only Hanhak and Monghak. From that time Waehak and Yeojinhak were added in 1414 and in King Sejo"s period in turn. But Yeojinhak was changed into Cheonghak(淸學) after the Imjinwaeran,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Byeongjahoran,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On the other hand, the rank of Sahak was change into Hanhak, Cheonghak, Waehak, and Monghak as soon as Cheong held hegemony in East Asia.
We has called the foreign language textbooks in Sayeokwon as Yeokhakseos (譯學書). Few Yeokhakseos survived but some of them existed and had influence up to now. They are Nogeoldae(老乞大) and Paktongsa(朴通事) among Hanhakseos (漢學書) and Cheophaesineo(捷解新語) among Waehakseos(倭學書). Although we do not know its writer or editor Nogeoldae was written with the writer"s abundant experience. Nogeoldae was translated into Mongolian and Japanese language. Cheophaesineo was written by Kang Woo-seong(康遇聖) who has made a living during about 10 years in Japan and mastered the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This book has, therefore, had an effect on the other Waehakseos. Nogeoldae has showed the history of Chinese languages between Haeryanyu(漢兒言語) during Yuan dynasty, Nanj?ng Gu?nhua(南京官話) during Ming dynasty and Beijing Gu?nhua(北京官話) during Qing dynast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Choseon dynasty, Cheong(2002) has present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the dispatch of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the utilization of the native-speaker teachers, and the prohibiton of the usage of the mother tongue. I think they are correct but I would like to add up two more points; the hereditary eduction of the Chosoen interpreters and the early education on foreign languages on which we can confirm through Cheollyeong Hyeon clan(川寧玄氏).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광, "吏文과 漢吏文" 구결학회 (16) : 27-70, 2006
2 鄭丞惠, "麗末鮮初의 漢語 敎育과 元代의 童蒙 敎育-老乞大 朴通事의 學堂 風景을 通하여-" 2 : 67-93, 2011
3 韓在永, "老乞大類의 綜合的 檢討,In 譯學書 硏究의 現況과 課題" 87-97, 2010
4 杉山豊, "老乞大新釋, 老乞大新釋諺解의 成立 過程에 對하여-關聯史料 및 文獻 內的 根據를 通하여-,In 譯學書 硏究의 現況과 課題" 162-186, 2010
5 "한글디지털박물관"
6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7 정승혜, "한국에서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중언어학회 (21) : 285-312, 2002
8 "한국고전번역원"
9 박정민, "태종대 제1차 여진정벌과 동북면 여진관계" 백산학회 80 : 237-264, 2007
10 梁伍鎭, "초기 漢學書에 보이는 몽고어성분" 한국중어중문학회 31 : 75-96, 2002
1 정광, "吏文과 漢吏文" 구결학회 (16) : 27-70, 2006
2 鄭丞惠, "麗末鮮初의 漢語 敎育과 元代의 童蒙 敎育-老乞大 朴通事의 學堂 風景을 通하여-" 2 : 67-93, 2011
3 韓在永, "老乞大類의 綜合的 檢討,In 譯學書 硏究의 現況과 課題" 87-97, 2010
4 杉山豊, "老乞大新釋, 老乞大新釋諺解의 成立 過程에 對하여-關聯史料 및 文獻 內的 根據를 通하여-,In 譯學書 硏究의 現況과 課題" 162-186, 2010
5 "한글디지털박물관"
6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7 정승혜, "한국에서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역사적 고찰" 이중언어학회 (21) : 285-312, 2002
8 "한국고전번역원"
9 박정민, "태종대 제1차 여진정벌과 동북면 여진관계" 백산학회 80 : 237-264, 2007
10 梁伍鎭, "초기 漢學書에 보이는 몽고어성분" 한국중어중문학회 31 : 75-96, 2002
11 Jerry Norman, "중국 언어학 총론" 東文選 1996
12 李尙奎, "조선후기 川寧玄氏家의 譯官活動" 한일관계사학회 (20) : 2004
13 김양수, "조선후기 倭語譯官 -『譯科榜目』의 분석을 중심으로-" 역사실학회 37 : 71-124, 2008
14 金炫榮, "조선후기 中人의 家系와 經歷-譯官 川寧玄氏家 古文書의 分析-" 8 : 103-134, 1987
15 "장서각"
16 정승혜, "외국어 교재로서의 노걸대(老乞大)" 이중언어학회 (26) : 291-328, 2004
17 박미영, "역학서의 문체 특징 연구 - 시기별 노걸대와 첩해신어를 중심으로-, In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47-292, 2006
18 정광,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43-65, 2006
1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 성백인, "몽고문자와 만주문자" 국어연구소 3 : 60-76, 1985
21 "국사편찬위원회"
22 김현주, "飜譯 老乞大, 刪改 老乞大 , 老乞大諺解의 漢文原文對照, In 역학서와 국어사 연구" 태학사 293-335, 2006
23 梁伍鎭, "韓中 慣用語辭典 編纂 小考" 36-48, 2010
24 정광, "韓における日本語育の史" 동아시아일본학회 (21) : 315-333, 2007
25 田川孝三, "通文館志の編纂とその重刊について" 天理大學 朝鮮學科硏究室內 朝鮮學會 4 : 29-56, 1953
26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通文館志(영인)"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6
27 鄭光, "譯學書硏究" J&C 2002
28 金文京, "譯學書 硏究의 現況과 課題" 譯學書學會 國際學術會議 2 : 43-50, 2010
29 梁伍鎭, "蒙文直譯體의 특징과 한국 譯學書의 漢語" 한국중어중문학회 34 : 79-103, 2004
30 鄭丞惠, "漢字本 老乞大 의 新資料에 대하여 -日本 東洋文庫 및 華峯文庫 老乞大 를 中心으로-,In 譯學書 硏究의 現況과 課題" 187-200, 2010
31 金良洙, "朝鮮後期 譯官들의 軍備講究" 19 (19): 343-380, 2001
32 金良洙, "朝鮮後期 中人집안의 活動硏究(下)" 2 : 41-62, 1992
33 金良洙, "朝鮮後期 中人집안의 活動硏究(上)" 1 : 25-47, 1990
34 金良洙, "朝鮮前期의 譯官活動(下)" 8 : 5-66, 1996
35 金良洙, "朝鮮前期의 譯官活動(上)" 7 : 33-86, 1996
36 김유정, "捷解新語의 언어 교재로서의 특징과 언어 기능 분석, In 역학서와국어사 연구" 태학사 145-182, 2006
37 정승혜, "捷解新語 第2次 改修本의 刊行年代에 대하여" 동아시아일본학회 21 (21): 167-188, 2007
38 鄭光, "山氣文庫 소장 {刪改}<老乞大>에 대하여" 133 : 7-29, 2006
39 정승혜, "對馬島에서의 韓語 敎育"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7-58, 2006
40 정광, "元代 漢語"老乞大" 33 : 3-68, 2007
41 정승혜, "『隣語大方』 朝鮮刊本의 成立과 撰者에 대하여-奎章閣 韓國本 書目 『西庫書目』에 據하여-" 국어사학회 9 (9): 239-268, 2009
42 김정호, "17세기 초 조선피로인 쇄환교섭전략의 특성과 일본어역관의 역할"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253-274, 2008
43 이상규, "17세기 전반 왜학역관 康遇聖의 활동" 한일관계사학회 (24) : 101-142, 2006
44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고전국역 편집위원회, "(국역)통문관지"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조선전기 두시(杜詩) 이해의 지평과 『두시언해(杜詩諺解)』 간행의 문학사적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2-1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 -> 동악어문학외국어명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5-02-1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문학연구학회 -> 동악어문학회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Dong-ak Society of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4-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Dong-ak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Th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6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1 | 0.8 | 1.224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