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과 인식: 사회학습효과의 검증 = The roles of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edia reports of suicides in social learning effe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004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dia reports of suicides has been found to increase suicide cases that were temporally and spacially proximal to the reports, bu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social learning, underlying the negative effects was not directly test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processes of social learning that media reports of suicides, especially positive contents toward suicides, might change people's perception, memory, and attitudes toward suicides positively and subsequently increase subsequent suicide intentions and behaviors. Through an internet survey, 300 adults reported their perception, memory, and attitudes toward news reports of suicides, and rated whether the suicides were described positively or negatively in the reports. Finally they reported their suicide intentions and behavi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people tended to remember more the contents of suicide reports suggested to increase copycat suicides. Also, people were found to have an ironic view to suicide reports of media that they acknowledged the dangers of suicides reports and approached the reports with curiosity. More importantly, the perception of the positive reward that suicides might achieved through suicides was related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suicide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suicides. The present findings was discussed in the social learning understanding of copycat suicid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uicide-prevention strategies.
      번역하기

      Media reports of suicides has been found to increase suicide cases that were temporally and spacially proximal to the reports, bu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social learning, underlying the negative effects was not directly tested. The present stud...

      Media reports of suicides has been found to increase suicide cases that were temporally and spacially proximal to the reports, bu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social learning, underlying the negative effects was not directly tested.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ognitive processes of social learning that media reports of suicides, especially positive contents toward suicides, might change people's perception, memory, and attitudes toward suicides positively and subsequently increase subsequent suicide intentions and behaviors. Through an internet survey, 300 adults reported their perception, memory, and attitudes toward news reports of suicides, and rated whether the suicides were described positively or negatively in the reports. Finally they reported their suicide intentions and behavi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people tended to remember more the contents of suicide reports suggested to increase copycat suicides. Also, people were found to have an ironic view to suicide reports of media that they acknowledged the dangers of suicides reports and approached the reports with curiosity. More importantly, the perception of the positive reward that suicides might achieved through suicides was related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suicides and behavioral intention to suicides. The present findings was discussed in the social learning understanding of copycat suicid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suicide-prevention strateg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존의 논문들은 미디어의 자살보도와 시․공간적으로 근접한 자살사건 간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그 영향에서의 사회학습적 효과를 제안했지만, 구체적인 심리적 과정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의 자살보도가 우리나라 성인들의 지각, 기억,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자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변화시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게 된다는 사회학습과정에서의 인지적 기제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300명의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 기억, 태도, 그리고 자살보도의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반인들은 보도내용 중에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용들을 더 많이 기억하고 있었으며, 자살보도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국민의 알권리에 대한 이중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자살보도로 인해서 자살자가 얻는 보상에 대한 지각이 모방자살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태도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모방자살에서의 사회학습적 기제의 역할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미디어의 자살보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의 방향과 자살보도의 제한에 대한 함의점을 논하였다.
      번역하기

      기존의 논문들은 미디어의 자살보도와 시․공간적으로 근접한 자살사건 간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그 영향에서의 사회학습적 효과를 제안했지만, 구체적인 심리적 과정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기존의 논문들은 미디어의 자살보도와 시․공간적으로 근접한 자살사건 간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그 영향에서의 사회학습적 효과를 제안했지만, 구체적인 심리적 과정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미디어의 자살보도가 우리나라 성인들의 지각, 기억,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자살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변화시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게 된다는 사회학습과정에서의 인지적 기제를 확인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300명의 일반 성인들을 대상으로 자살보도에 대한 지각, 기억, 태도, 그리고 자살보도의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고 마지막으로 자살에 대한 태도와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반인들은 보도내용 중에서 모방자살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내용들을 더 많이 기억하고 있었으며, 자살보도로 인한 부정적 영향과 국민의 알권리에 대한 이중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자살보도로 인해서 자살자가 얻는 보상에 대한 지각이 모방자살에 대한 긍정적 생각과 태도를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져 모방자살에서의 사회학습적 기제의 역할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미디어의 자살보도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의 방향과 자살보도의 제한에 대한 함의점을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신, "포털 중심의 뉴스 소비환경이 뉴스통신사의 역할에 미친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355-387, 2009

      2 송동호, "청소년 자살기도자의 정신의학적 특성" 35 (35): 1366-1373, 1996

      3 이재진, "저널리즘 영역에 있어서의 알권리의 기원과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5 (5): 231-264, 2005

      4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예방전문가가 권고하는 언론의 자살 보도 기준"

      5 정승민, "자살보도가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조건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8 (8): 153-182, 2009

      6 김연종, "자살보도 권고기준과 한국 신문의 자살보도 행태 분석" 한국언론학회 49 (49): 140-165, 2005

      7 박상칠, "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1997

      8 허태균, "자살 예방과 대중매체의 역할.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2008

      9 김병철, "자살 보도가 잠재적 자살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41-63, 2010

      10 신민섭, "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들의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10 (10): 286-297, 1991

      1 이재신, "포털 중심의 뉴스 소비환경이 뉴스통신사의 역할에 미친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355-387, 2009

      2 송동호, "청소년 자살기도자의 정신의학적 특성" 35 (35): 1366-1373, 1996

      3 이재진, "저널리즘 영역에 있어서의 알권리의 기원과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언론학회 5 (5): 231-264, 2005

      4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예방전문가가 권고하는 언론의 자살 보도 기준"

      5 정승민, "자살보도가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조건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8 (8): 153-182, 2009

      6 김연종, "자살보도 권고기준과 한국 신문의 자살보도 행태 분석" 한국언론학회 49 (49): 140-165, 2005

      7 박상칠, "자살, 예방할 수 있다" 학지사 1997

      8 허태균, "자살 예방과 대중매체의 역할.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2008

      9 김병철, "자살 보도가 잠재적 자살자에게 미치는 영향"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8 (18): 41-63, 2010

      10 신민섭, "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들의 자살행위에 미치는 영향" 10 (10): 286-297, 1991

      11 김인숙, "연예인 자살보도와 제 3자 효과 : 언론의 연예인 자살보도에 대한 태도, 미디어 이용, 미디어 규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5-36, 2009

      12 이재진, "연예인 관련 언론소송에서 나타난 한·미간의 위법성조각사유에 대한 비교연구: "공인이론"과 "알권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8 (18): 7-50, 2004

      13 김효창, "성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2 (12): 15-33, 2006

      14 이누미야요시유키, "사생관 척도의 개발"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10 (10): 31-82, 2004

      15 서에스더, "부모 및 친구관계 정서적친밀도가 청소년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관계적 후유증이 언급된 자살보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0

      16 박광순, "기포털사이트 프론트(front)페이지 뉴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성/경성뉴스, 소제목, 하이퍼링크, 뉴스원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199-226, 2006

      17 Goldney, R. D., "The media and suicide: A cautionary view" 22 (22): 173-175, 2001

      18 Phillips, D. P., "The influence of suggestion on suicide: Substantive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Werther effect" 39 : 340-354, 1974

      19 Gundlach, J., "The impact of hyper media coverage on suicide: New york city 1910-1920" 71 : 619-627, 1990

      20 Stack, S., "The effect of modernization on suicide in Finland: 1800~1984" 36 (36): 137-148, 1993

      21 Schmidtke, A., "The Werther effect after television films: New evidence for an old hypothesis" 18 : 665-676, 1998

      22 Suominen, K. H., "Suicide attempts and personality disorder" 102 (102): 118-125, 2000

      23 Pirkis, J., "Suicide and the media part Ⅲ: Theoretical issues" 22 (22): 163-169, 2001

      24 Pirkis, J., "Suicide and the media part Ⅱ: Portrayal issues" 22 (22): 155-162, 2001

      25 Pirkis, J., "Suicide and the media part Ⅰ: Reportage in nonfictional media" 22 (22): 146-154, 2001

      26 Gould, M. S., "Suicide and the media" 932 : 200-224, 2001

      27 Simpson, M. E., "Socioeconomic Development, Suicide and Religion: A test of Durkheim's theory of religion and suicide" 67 (67): 945-964, 1989

      28 Ebmeier, K. P., "Recent developments and current controversies in depression" 368 : 153-167, 2006

      29 Phillips, D. P., "Recent advances in Suicidology: The study of imitative suicide. in: Suicide and its prevension: The role of attitude and imitaion" E. J. Bril 1989

      30 Narveson, J., "Moral philosophy and suicide" 31 (31): 104-107, 1986

      31 Stack, S., "Media impacts on suicide: A quantitative review of 293 findings" 81 : 956-971, 2000

      32 Fekete, S., "Hungarian suicide models, past and present. in: Suicidal Behavior and Risk Factors" Monduzzi Editore 1990

      33 Perlin, S., "Handbook for the study of suicide" Oxford University Press 1975

      34 Pirkis, J., "Changes in Media reporting of suicide in Australia between 2000/01 and 2006/07" 30 (30): 25-33, 2009

      35 Michel, K., "An exercise in improving suicide reporting in print media" 21 (21): 71-78, 2000

      36 McGuire, W. J., "An Information-Processing Model of Advertising Effectiveness. in: Behavioral and Management Sciences in Marketing" Ronald Press 1978

      37 Bandura, A.,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Prentice-Hall 1973

      38 통계청, "2008년 사망원인통계"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9-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2-09-0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4 2.149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