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컨텍스트를 고려한 도시 공간을 위한 아이덴티티 전략 = Identity Strategy of Urban Space Considering Contex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1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 공간의 아이덴티티는 해당 장소의 핵심 아이덴티티에 기반을 두고 도시 디자인 전략과 체계적인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주변 환경 및 시대에 따라 변화해야 한다. 그렇지만 현재의 도...

      도시 공간의 아이덴티티는 해당 장소의 핵심 아이덴티티에 기반을 두고 도시 디자인 전략과 체계적인 시스템에 의해 관리되고 주변 환경 및 시대에 따라 변화해야 한다. 그렇지만 현재의 도시 공간 아이덴티티는 물리적 시설물 중심으로 계획되고 있으며 장소의 컨텍스트를 살려 해당 장소만의 고유의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참신한 시도에 바탕을 둔 디자인 전략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도시 공간 아이덴티티의 가치는 그 공간 속의 사용자가 얼마나 해당 장소와 효과적으로 소통하느냐, 감성적인 만족감을 얻느냐에 따라서 결정되며 이는 특정 장소의 컨텍스트(context)에서 사용자와 그 활동을 이해하고 이에 바탕을 두고 해당 공간만의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디자인 전략이 있을 때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하는 도시 공간을 이해하고 도시 공간에서의 아이덴티티 전략이 기존의 아이덴티티 전략과 다른 가장 큰 차이점은 컨텍스트를 고려해야한다는 점임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한 도시 공간 아이덴티티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컨텍스트는 크게 장소 컨텍스트와 사용자 컨텍스트로 나뉜다. 장소 컨텍스트와 관련된 항목은 환경, 역사, 문화, 사회이고 사용자 컨텍스트와 관련된 항목은 사용자, 활동, 환경, 매체이다. 이와 같은 컨텍스트 분석 전략은 사용자와의 교감을 통해 고유한 공간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변화하는 도시 환경에서의 아이덴티티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도시 공간 아이덴티티 수립에서의 보다 창의적인 접근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desirable that urban space identity be managed by a proper urban design strategy and systematic system, and should remain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imes based on the core identity of the applicable place. However, identity...

      It is desirable that urban space identity be managed by a proper urban design strategy and systematic system, and should remain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imes based on the core identity of the applicable place. However, identity strategy of urban space so far has focused primarily on physical facilities and has not emphasized innovative design that creates unique cultural value, and enhances a place`s context.
      The value of urban space identity depends on how much users can communicate effectively with the applicable place, and on how users can gain emotional satisfaction from it. This can be achieved when there is a creative design strategy that can understand users and their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a specific place and create new experience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the place identity strategy and existing identity strategies is that place identity strategy considers context as important.
      This study proposes an identity strategy of urban space based on context. Context can be classified largely into place context and user context for analysis. Items relating to place context analysis include environment, history, culture, and society those relating to user context analysis include user, activity, environment, and media. This context analysis strategy aims for creating unique space experience through sympathy with the us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future urban space identity and providing suggestions on identity strategy in a changing enviro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2 이곤수, "울산시의 아이덴티티 형성과정과 요인 : 1960-70년대 울산시의 역사적 분석" 1 : 183-238, 2006

      3 홍성용, "스페이스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2007

      4 Mitchell, W. J., "비트의 도시" 김영사 1999

      5 김은아, "도시디자인의 트렌드 : 세계주요도시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 : 181-190, 2008

      6 서정렬, "도시는 브랜드다: 랜드마크에서 퓨처마크로" 삼성경제연구소 2008

      7 이호정, "도시, 장소 그리고 맥락" 태림문화사 2007

      8 강현수, "도시, 소통과 교류의 장場" 삼성경제연구소 2007

      9 이준표, "도시 구성에 있어서의 시간적 차원" 20 (20): 65-73, 2001

      10 김철수, "도시 공간의 이해" 기문당 2006

      1 김현주,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2 이곤수, "울산시의 아이덴티티 형성과정과 요인 : 1960-70년대 울산시의 역사적 분석" 1 : 183-238, 2006

      3 홍성용, "스페이스 마케팅" 삼성경제연구소 2007

      4 Mitchell, W. J., "비트의 도시" 김영사 1999

      5 김은아, "도시디자인의 트렌드 : 세계주요도시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 : 181-190, 2008

      6 서정렬, "도시는 브랜드다: 랜드마크에서 퓨처마크로" 삼성경제연구소 2008

      7 이호정, "도시, 장소 그리고 맥락" 태림문화사 2007

      8 강현수, "도시, 소통과 교류의 장場" 삼성경제연구소 2007

      9 이준표, "도시 구성에 있어서의 시간적 차원" 20 (20): 65-73, 2001

      10 김철수, "도시 공간의 이해" 기문당 2006

      11 이혜윤, "공간경험의 중요성에 기반한 브랜드체험공간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12 Lang, Jon., "Urban Design" Elsevier 2005

      13 Lynch, K., "The Image of the City" The MIT press 1960

      14 Muller, L., "Ruedi Baur. . ., Integral. . ., and Partners" Lars Muller Publishers 2001

      15 Baur, R, "Ruedi Baur Intégral" Lars Müller Publishers 2009

      16 "Reactive Sparks"

      17 Carmona, M., "Public Places-Urban Spaces." Architectural Press 2009

      18 "Leeb, W. Promenading on stars, Geneva"

      19 "Duality"

      20 "Creative Project. 요하임 샤우터(Joachim Sauter)와의 대화"

      21 "Bix Media Facade"

      22 "Bercy Villa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 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12-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Design Forum ->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영문명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 Society of Korea Design Trend
      KCI등재
      2007-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 한국과학예술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 Korea Science & art Academy of Design (KSAD)
      KCI등재
      2006-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Forum KCI등재
      2006-02-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 한국디자인트랜드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 Korea Design Trend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10-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 The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10-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 한국디자인포럼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9-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비쥬얼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포럼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aty Of Visual Design -> The Korea Sociaty of design forum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디자인포름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631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