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문학의 한류를 위한 세계적 시야의 한국어문확 연구와 교육; 유럽민담 트릭스터에 비춰 본 방학중의 캐릭터 특성 연구 -한국적 인물형으로서의 소시민적 트릭스터- = The Study on Characteristics of Bang Hakjoong Compared to that of Tricksters in European Folktales -Petty Bourgeois Trickster as a Korean charac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87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Bang Hakjoong`s character as a trickster of Korean tale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rickster characters deeply by finding out if Bang Hakjoong has typical characteristics and special identity as a trickster compared to tricksters in European folktales. Though tricksters appeared in the ancient myth, their character style was completed in folktales. There appeared many tricksters in European folktales which has fantastic imagination and narrative originality. German folktale “Brave Little Seamstress” and French folktale “Puss in Boots”, English folktale ‘Giant hunter Jack’, Russian folktale ‘A fox of Buktan Buktanobitch’, and so on. These are the characters that hav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humorous characters that do a trick. They can be called ‘existing’ image to live their lives because they fall down a giants and go their way straight. In their form, there is human being`s essential attribute as an exclusive being. Bang Hakjoong in a Korean folktale has basic characteristics of a trickster. However, we can see rather small and chicken-hearted person in him different from typical tricksters in European folktales. Bang Hackjoong fight with ordinary people rather than giants and he seek small and common desires such as doing a trick to eat food. And we can find that even he can`t achieve his desire many times. We can name Bang Hakjoong`s character that has special identity as ‘petty bourgeois trickster’. Bang Hakjoong as petty bourgeois trickster is the person in a borderline between desires and reality, joy of conqueror and sorrow of ordinary people. I suggest that Bang Hakjoong as Korean character has special, esthetic, and cultural valu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Bang Hakjoong`s character as a trickster of Korean tale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rickster characters deeply by finding out if Bang Hakjoong has typical characteristics and special identity as a trickster compared to tricks...

      This study examined Bang Hakjoong`s character as a trickster of Korean tale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rickster characters deeply by finding out if Bang Hakjoong has typical characteristics and special identity as a trickster compared to tricksters in European folktales. Though tricksters appeared in the ancient myth, their character style was completed in folktales. There appeared many tricksters in European folktales which has fantastic imagination and narrative originality. German folktale “Brave Little Seamstress” and French folktale “Puss in Boots”, English folktale ‘Giant hunter Jack’, Russian folktale ‘A fox of Buktan Buktanobitch’, and so on. These are the characters that have ontological characteristics rather than humorous characters that do a trick. They can be called ‘existing’ image to live their lives because they fall down a giants and go their way straight. In their form, there is human being`s essential attribute as an exclusive being. Bang Hakjoong in a Korean folktale has basic characteristics of a trickster. However, we can see rather small and chicken-hearted person in him different from typical tricksters in European folktales. Bang Hackjoong fight with ordinary people rather than giants and he seek small and common desires such as doing a trick to eat food. And we can find that even he can`t achieve his desire many times. We can name Bang Hakjoong`s character that has special identity as ‘petty bourgeois trickster’. Bang Hakjoong as petty bourgeois trickster is the person in a borderline between desires and reality, joy of conqueror and sorrow of ordinary people. I suggest that Bang Hakjoong as Korean character has special, esthetic, and cultural valu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수호, "한국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연구 : 방학중·정만서·김선달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한국문학이론과비평 41" 한국문학과이론비평학회 2008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총 82권" 1978

      4 임주영, "한국 트릭스터담의 유형 및 성격 연구" 국민대학교 2006

      5 김기호, "한국 트릭스터담 연구 : 호랑이 이야기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1

      6 나수호, "한국 설화에 나타난 원형적인 인물 트릭스터의 경계성" 한국구비문학회 (28) : 47-68, 2009

      7 서대석, "한국 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8 임주영,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트릭서사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9 조희웅, "트릭스터(Trickster) 담 연구"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6 : 1987

      10 오세정, "전설의 서술방식과 역사적 상상력-세 유형의 인물전설을 중심으로"

      1 나수호, "한국설화에 나타난 트릭스터 연구 : 방학중·정만서·김선달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2 "한국문학이론과비평 41" 한국문학과이론비평학회 2008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총 82권" 1978

      4 임주영, "한국 트릭스터담의 유형 및 성격 연구" 국민대학교 2006

      5 김기호, "한국 트릭스터담 연구 : 호랑이 이야기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1

      6 나수호, "한국 설화에 나타난 원형적인 인물 트릭스터의 경계성" 한국구비문학회 (28) : 47-68, 2009

      7 서대석, "한국 구비문학에 수용된 재담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8 임주영,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트릭서사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9 조희웅, "트릭스터(Trickster) 담 연구" 국민대학교 어문학연구소 6 : 1987

      10 오세정, "전설의 서술방식과 역사적 상상력-세 유형의 인물전설을 중심으로"

      11 홍태한, "인물전설의 현실인식" 민속원 2000

      12 조동일, "인물전설의 의미와 기능"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13 조지프 제이콥스, "영국 옛이야기" 현대지성사 2005

      14 신동흔, "신분갈등설화의 공간구성과 주제"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4 : 1989

      15 임재해, "설화작품의 현장론적 분석" 지식산업사 1991

      16 샤를 페로, "샤를 페로 동화집" 꿈꾸는 고치 2009

      17 권경숙, "상인 트릭스터담의 성격과 전승 의미" 동남어문학회 1 (1): 135-163, 2010

      18 김난경, "방학중 설화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9 나수호, "방학중 : 기막힌 꾀로 무장한 진정한 트릭스터, In 우리 고전 캐릭터의 모든 것 1" 휴머니스트 2008

      20 알렉산드르 아파나세프, "러시아 민화" 현대지성사 2000

      21 김경연, "그림 형제 민담집 :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이야기" 현암사 2012

      22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제이엔씨 2008

      23 임재해, "건달형 인물전설의 어긋난 행위에 갈무리된 근대성 읽기" 한민족어문학회 (53) : 209-270, 2008

      24 김헌선, "건달형 인물이야기의 존재양상과 의미" 경기대학교국문학회 8 : 1990

      25 신연우, "‘상전 속인 하인’ 설화의 사회성과 신화성" 한국민속학회 37 : 109-128, 2003

      26 임석재, "[단행본] 한국구전설화:평안북도편 2 (임석재전집2)" 평민사 1989

      27 신동흔, "(삶을 일깨우는) 옛이야기의 힘" 우리교육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8 1.0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