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주산기 문제점 = Perinatal problems of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2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최근 이주 여성과의 국제결혼 증가로 인한 출산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들 여성의 출산에 대한 통계 자료가 빈약한 실정으로,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주산기 문제점을 찾아보고 한국인 여성에서 출생한 신생아와 비교하였다. 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했던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 15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한국인 여성에서 출생한 7,850명의 신생아와 비교하였으며 이들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이주 여성 산모는 총 143명으로 출산 당시 평균 연령은 28.3세였고, 이들 남편의 평균 연령은 38.7세이었다. 확인 가능했던 산모 132명의 국적으로 베트남(31.8%)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필리핀, 일본, 중국, 캄보디아 순이었다.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152명으로, 같은 기간 총 입원 싱생아의 1.9%에 해당하였으며 이중 102명(67.1%)이 환아로서 검사 및 치료를 받았고 40명(26.3%)이 보육기 치료를 받았다. 이들 신생아의 평균 재태 기간은 36.5±3.1주, 평균 출생 체중은 2,650±734g이었으며미숙아가 61명(40.1%), SGA는 14명(9.2%)이었다. 한국인 여성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평균 재태 기간은 37.3±2.9주, 평균 출생 체중은 2,563±685g이었으며 미숙아가 2,228명(28.3%), SGA는 418명(5.3%)이었다. 결론 : 최근 9년 6개월 동안 전북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했던 전체 신생아 수는 매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들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한국인 여성에서 출생한 신생아에 비해 재태 기간이 짧고 출생 체중이 작으며, 미숙아, 저체중 출생아, 환아의 비율, 사망률이 더 높고, 선천 소화기 기형이나 염색체 질환의 발병율이 더 높았다.
      번역하기

      목적 : 최근 이주 여성과의 국제결혼 증가로 인한 출산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들 여성의 출산에 대한 통계 자료가 빈약한 실정으로,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주산기 문제...

      목적 : 최근 이주 여성과의 국제결혼 증가로 인한 출산 위험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들 여성의 출산에 대한 통계 자료가 빈약한 실정으로,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주산기 문제점을 찾아보고 한국인 여성에서 출생한 신생아와 비교하였다. 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했던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 15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같은 기간 동안 한국인 여성에서 출생한 7,850명의 신생아와 비교하였으며 이들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이주 여성 산모는 총 143명으로 출산 당시 평균 연령은 28.3세였고, 이들 남편의 평균 연령은 38.7세이었다. 확인 가능했던 산모 132명의 국적으로 베트남(31.8%)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필리핀, 일본, 중국, 캄보디아 순이었다.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152명으로, 같은 기간 총 입원 싱생아의 1.9%에 해당하였으며 이중 102명(67.1%)이 환아로서 검사 및 치료를 받았고 40명(26.3%)이 보육기 치료를 받았다. 이들 신생아의 평균 재태 기간은 36.5±3.1주, 평균 출생 체중은 2,650±734g이었으며미숙아가 61명(40.1%), SGA는 14명(9.2%)이었다. 한국인 여성에서 출생한 신생아의 평균 재태 기간은 37.3±2.9주, 평균 출생 체중은 2,563±685g이었으며 미숙아가 2,228명(28.3%), SGA는 418명(5.3%)이었다. 결론 : 최근 9년 6개월 동안 전북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했던 전체 신생아 수는 매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이들 이주 여성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한국인 여성에서 출생한 신생아에 비해 재태 기간이 짧고 출생 체중이 작으며, 미숙아, 저체중 출생아, 환아의 비율, 사망률이 더 높고, 선천 소화기 기형이나 염색체 질환의 발병율이 더 높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is study compares the perinatal problems of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with those of the newborn infants born from Korean women. Methods :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09, 152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were admitted a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7,850 newborn infants born from Korean women were admitted at the same tim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basis of the hospital data, we investigated the nationality, age at delivery, type of delivery and residency of immigrant women. And we compared the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hospital days, the rate of patients, incubator care, prematurity, SGA, major congenital anomalies, chromosomal abnormalities and mortality of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with those of the newborn infants born from Korean women. Results : Immigrant women were 143 and the average age at delivery was 28.3 years old. The nationalities of the immigrant women were Vietnam(31.8%), Philippine, Japan, China, Cambodia in order.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of newborn infants(36.5±3.1weeks, 2,650±734g) born from immigrant women were significantly shorter and smaller than those of the newborn infants(37.3±2.9weeks, 2,863±685g) born from Korean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prematurity, SGA, illness and mortality. Conclusion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inatal problems between the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A multicenter large-scaled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analyze the perinatal problems of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번역하기

      Purpose : This study compares the perinatal problems of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with those of the newborn infants born from Korean women. Methods :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09, 152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wer...

      Purpose : This study compares the perinatal problems of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with those of the newborn infants born from Korean women. Methods : Between January 2001 and June 2009, 152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were admitted at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7,850 newborn infants born from Korean women were admitted at the same tim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basis of the hospital data, we investigated the nationality, age at delivery, type of delivery and residency of immigrant women. And we compared the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hospital days, the rate of patients, incubator care, prematurity, SGA, major congenital anomalies, chromosomal abnormalities and mortality of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with those of the newborn infants born from Korean women. Results : Immigrant women were 143 and the average age at delivery was 28.3 years old. The nationalities of the immigrant women were Vietnam(31.8%), Philippine, Japan, China, Cambodia in order.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of newborn infants(36.5±3.1weeks, 2,650±734g) born from immigrant women were significantly shorter and smaller than those of the newborn infants(37.3±2.9weeks, 2,863±685g) born from Korean wom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prematurity, SGA, illness and mortality. Conclusion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inatal problems between the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and Korean women. A multicenter large-scaled study should be performed to analyze the perinatal problems of newborn infants born from immigrant wom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