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근대 무속 담론과 민속종교에서의 유교와 무속의 관계 = Shamanism Discourse in Premodern Ko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ism and Shamanism in Popular Relig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laims that there was a competition between Confucianists who tried to take the initiative on rituals, and shamans who wished to maintain their independent religious territory in the field of premodern popular religion. As modern intellectu...

      This paper claims that there was a competition between Confucianists who tried to take the initiative on rituals, and shamans who wished to maintain their independent religious territory in the field of premodern popular religion. As modern intellectuals does, premodern Confucianists suggested a discourse which contrasts the ancient archetype and current states of shaman. On the one hand, they respected descriptions on sacred shamans in classical literatures, on the other, they tried to suppress shamans in their times and belief in them. The ideological and practical model for it was the case of a heroic local governor Ximen Bao(西門豹), who eliminated shamans who had allied with indigenous forces. A focus in the narratives on iconoclasm by local governor was whether they were cursed or not, because they abolished the rituals by shamans. It was a barometer which shows whose religious power was superior, Confucianists or shamans. Unlike the official discourses which claimed Confucianists’ ascendancy, unofficial narratives often described shamans’ triumph. The shamans’ dominant position was remarkable especially in access to the ‘intimate deads’. Although shamanistic elements were gradually excluded from ‘the field of official religion’, they maintained their independent territory in ‘the field of popular reli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전근대 민속종교의 장에서 의례적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유자 측과 자신들의 독자적인 종교적 영역을 유지하려고 했던 무당 측 사이의 경쟁 관계가 형성되어 있었음을 주장한다. ...

      이 논문은 전근대 민속종교의 장에서 의례적 주도권을 장악하려는 유자 측과 자신들의 독자적인 종교적 영역을 유지하려고 했던 무당 측 사이의 경쟁 관계가 형성되어 있었음을 주장한다. 근대 지식인들의 한국 무속 담론은 일반적으로 고대의 원형과 당대의 현상을 대비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전근대의 유교적 지식인들 또한 이와 유사한 레토릭을 제시하였다. 그들은 한편으로 고전 문헌에 나타나는 신령한 무당에 대한 기술을 존중하면서도, 당대 무당들과 그들에 대한 신앙을 통제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한 이념적, 실천적 모델이 된 것은 영웅적인 지방관이 토착세력과 유착한 무당들을 퇴치하였다는 서문표의 사례였다. 지방관의 성상파괴 서사 속에서 주목받은 것은 무당이 주도한 의례를 폐지한 지방관이 그로 인해 저주를 받았는지의 여부였다. 이것은 해당 상황에서 유자와 무당 가운데 누구의 종교적 권능이 더 우월한가를 평가하는 척도였다. 이 경쟁 관계에서 유자의 일방적인 우위를 주장하는 공식 담론과는 달리, 야사 전통에서는 오히려 무당 측의 승리에 대한 서술 또한 나타난다. 특히 친밀한 망자에 대한 접근권에 있어 무당의 우위는 두드러진다. 공식종교의 장에서 무속적 요소가 점진적으로 배제되었던 것과는 달리, 민속종교의 장에서 무속은 그 독자적인 영역을 유지하고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풍기, "허균의 「견가림신」(譴加林神)에 나타난 민속지(民俗誌)적 성격과 그 의미" 근역한문학회 50 : 137-159, 2018

      2 김동규, "한국의 미신담론 이해-타자(alterity)로서 무속의 창조과정-" 한국문화연구원 23 : 283-322, 2012

      3 김동규, "한국 무속의 다양성 — 학적 담론과 무당의 정체성 형성 사이의 “고리효과” —" 한국종교학회 (66) : 193-220, 2012

      4 서영대, "한국 무속사의 시대구분" 한국무속학회 (10) : 7-35, 2005

      5 김성례, "한국 무교의 문화인류학" 소나무 2018

      6 신자토 요시노부, "종교로서의 한국무속 -무속 담론에서 ‘무교’ 개념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종교학회 78 (78): 183-211, 2018

      7 최종성, "조선시대 유교와 무속의 관계 연구" 한국샤머니즘학회 4 : 225-254, 2002

      8 최남선, "조선상식문답" 동명사 1946

      9 서영대, "조선무속고 - 역사 본 한국 무속" 창비 2008

      10 강상순,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잠복된 사회적 적대" 민족문화연구원 (56) : 97-136, 2012

      1 김풍기, "허균의 「견가림신」(譴加林神)에 나타난 민속지(民俗誌)적 성격과 그 의미" 근역한문학회 50 : 137-159, 2018

      2 김동규, "한국의 미신담론 이해-타자(alterity)로서 무속의 창조과정-" 한국문화연구원 23 : 283-322, 2012

      3 김동규, "한국 무속의 다양성 — 학적 담론과 무당의 정체성 형성 사이의 “고리효과” —" 한국종교학회 (66) : 193-220, 2012

      4 서영대, "한국 무속사의 시대구분" 한국무속학회 (10) : 7-35, 2005

      5 김성례, "한국 무교의 문화인류학" 소나무 2018

      6 신자토 요시노부, "종교로서의 한국무속 -무속 담론에서 ‘무교’ 개념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종교학회 78 (78): 183-211, 2018

      7 최종성, "조선시대 유교와 무속의 관계 연구" 한국샤머니즘학회 4 : 225-254, 2002

      8 최남선, "조선상식문답" 동명사 1946

      9 서영대, "조선무속고 - 역사 본 한국 무속" 창비 2008

      10 강상순, "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잠복된 사회적 적대" 민족문화연구원 (56) : 97-136, 2012

      11 최종석, "여말선초 명(明)의 예제(禮制)와 지방 성황제(城隍祭) 재편" 한국역사연구회 (72) : 207-251, 2009

      12 신익철, "어우야담" 돌베개 2006

      13 문혜진, "삼척 오금잠제(烏金簪祭)의 변천에 관한 일고찰" 국립무형유산원 (3) : 125-144, 2017

      14 김성례, "무속전통의 담론 분석: 해체와 전망" 한국문화인류학회 22 : 211-243, 1990

      15 김성례, "무속전통론의 창출과 유용" 아시아문화 22 : 257-288, 2006

      16 서영대, "근대 한국의 단군 인식과 민족주의" 동북아역사재단 (20) : 7-52, 2008

      17 정환국, "교감역주 천예록"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18 "高麗史"

      19 "秋江集"

      20 "牧民心書"

      21 "澤堂先生別集"

      22 "東國李相國集"

      23 "星湖僿說"

      24 "承政院日記"

      25 "惺所覆螺藁"

      26 "周禮"

      27 "史記"

      28 "南冥先生別集"

      29 "五洲衍文長箋散稿"

      30 "世祖實錄"

      31 Walraven, Boudewijn, "Popular religion in a Confucianized society" 182 : 160-198, 1999

      32 Walraven, Boudewijn, "Confucians and Shamans" 6 : 21-44,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6-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민속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Folk Studies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39 1.048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