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의약·중의약 R&D 정책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of the National Policies for Korean Oriental Medicin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108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한의약은 매우 발전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한의약의 위기를 외치 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이 나타난 결정적인 이유는 결국 한의약에 대한 전통의학적 국 민인식과 직결되어 있으며, 또한 한의약의 과학화가 부진했던 원인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의약의 과학화가 얼마나 이루졌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 구되었으며, 그에 따른 목적은 한의약과 중의약의 R&D 정책과 성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현 재의 한의약의 위상을 확인하고, 부족한 측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연구되었다. 특히 R&D 분야의 경우 한의약에서 부족한 측면이 있어 이를 위한 중의약과의 비교분석을 실 시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의약이 중의약에 대응하기 위해 어떠한 점을 배워야 하고 어떠한 점 을 발전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하나의 논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현재 한의약은 매우 발전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한의약의 위기를 외치 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이 나타난 결정적인 이유는 결국 한의약에 대한 전통의학적 국 ...

      현재 한의약은 매우 발전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한의약의 위기를 외치 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이 나타난 결정적인 이유는 결국 한의약에 대한 전통의학적 국 민인식과 직결되어 있으며, 또한 한의약의 과학화가 부진했던 원인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의약의 과학화가 얼마나 이루졌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 구되었으며, 그에 따른 목적은 한의약과 중의약의 R&D 정책과 성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현 재의 한의약의 위상을 확인하고, 부족한 측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연구되었다. 특히 R&D 분야의 경우 한의약에서 부족한 측면이 있어 이를 위한 중의약과의 비교분석을 실 시하여 그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의약이 중의약에 대응하기 위해 어떠한 점을 배워야 하고 어떠한 점 을 발전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하나의 논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한의약·중의약 R&D 정책변화
      • 1. 한의약 R&D 정책변화
      • 2. 중의약 R&D 정책변화
      • 요약
      • Ⅰ. 서론
      • Ⅱ. 한의약·중의약 R&D 정책변화
      • 1. 한의약 R&D 정책변화
      • 2. 중의약 R&D 정책변화
      • Ⅲ. 한의약·중의약 환경 비교분석
      • 1. 한의약 환경 분석
      • 2. 중의약 환경 분석
      • Ⅳ. 한의약·중의약 R&D 성과 비교분석
      • 1. 한의약 성과분석
      • 2. 중의약 성과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건복지부, "한의약육성발전5개년종합계획 보도자료"

      2 보건복지가족부 한의약산업과, "한방치료기술 연구개발 사업중장기 발전계획(’08~’17) 요약" 2008

      3 보건복지부, "한방의료기관 평가제도" 보건복지부 2007

      4 이현지, "한국 한의학의 전문화 과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1

      5 조병희,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집문당 2006

      6 국가중의약관리국, "중의약사업발전 제12차 5개년 규획"

      7 김병목, "중국 의료사회제도 변화와 중의약 연구개발전략" 한국한의약연구원 2012

      8 보건복지부, "제2차 한의약육성발전계획 보도자료"

      9 연합뉴스, "연합뉴스, 2012. 05. 24"

      10 이상일, "복지국가의 발전과 정부-의사집단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서비스(NHS)의 창설부터 신노동당정부까지 영국의 경험으로부터" 비판사회학회 (65) : 177-206, 2005

      1 보건복지부, "한의약육성발전5개년종합계획 보도자료"

      2 보건복지가족부 한의약산업과, "한방치료기술 연구개발 사업중장기 발전계획(’08~’17) 요약" 2008

      3 보건복지부, "한방의료기관 평가제도" 보건복지부 2007

      4 이현지, "한국 한의학의 전문화 과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1

      5 조병희, "질병과 의료의 사회학" 집문당 2006

      6 국가중의약관리국, "중의약사업발전 제12차 5개년 규획"

      7 김병목, "중국 의료사회제도 변화와 중의약 연구개발전략" 한국한의약연구원 2012

      8 보건복지부, "제2차 한의약육성발전계획 보도자료"

      9 연합뉴스, "연합뉴스, 2012. 05. 24"

      10 이상일, "복지국가의 발전과 정부-의사집단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국민건강서비스(NHS)의 창설부터 신노동당정부까지 영국의 경험으로부터" 비판사회학회 (65) : 177-206, 2005

      11 보건복지부, "보건복지 통계연보 2000-2012"

      12 매일경기, "매일경기, 2006. 09. 22"

      13 이현지, "동아시아 전통의학의 현대화" 한국학술정보 2008

      14 이종효, "韓方醫療政策의 어제와 오늘" (2) : 47-53, 1988

      15 金奎原, "關于專業化以及專門職業組織發展的硏究" 8 (8): 31-33, 2004

      16 신중완, "日帝侵略以後부터 1960年代初까지의 韓方醫療制度 變遷史에 關한 考察" (2) : 37-46, 1988

      17 賈謙, "中醫戰略" 中醫古籍出版社 2007

      18 한국한의사협회, "2011 한국한의학연감" 한국한의학연구원

      19 국가중의약관리국, "2011 중국중의약연감(학술편)" 2012

      20 중국위생부, "2011 위생통계연감" 2012

      21 신동원, "1910년대 일제의 보건의료 정책 - 한의학 정책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0) : 333-370,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