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동체의 형성이 주민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동네효과(Community Effect)와 영향요인 분석- = Analyzing the Community Effect on Residents’Happiness: Exploring the Existence of Community Effect and Influencing Fa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65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화 시대에 공동체는 하나의 선택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시장(市場)의 힘과 세계화의 원심력속에서 공동체는 약화되고 있지만, 이것이 인간의 행복에 갖는 함의는 중요한 연구와 실행과제를 남겨주고 있다. 다른 일각에서 공동체를 선택이 아닌 하나의 규범적 당위로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그 효용성을입증하는 연구들은 많지 않다. 사회자본이론이 공동체적 특성을 지역발전의 관점에서 주목하는 이론이라면, 관계재(relational good)이론과 친밀권역 이론은 공동체 형성의 효과를 인간의 행복이라는 관점에서주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일정 지역 안에 공동체성이 강화됨으로 나타나게 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동네효과’(community effect)라 명명하고, 그 가운데 행복에 미치는 공동체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동네효과의 실재여부를 확인한 후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도시지역 내에서의 그룹 활동, 문화생활을 위한 어울림, 자원봉사 활동, 지역애착의 요소가 친밀권역으로서 공동체를구성하고, 이들 요인들이 주민의 행복도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개념적으로 중요성을 보유하나, 본 연구에서는 분석 단위의 상이함으로 말미암아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고,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결론적으로 공동체가 활성화 된 지역의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재 이론과 친밀권역 개념이 제기하는 시각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세계화 시대에 공동체는 하나의 선택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시장(市場)의 힘과 세계화의 원심력속에서 공동체는 약화되고 있지만, 이것이 인간의 행복에 갖는 함의는 중요한 연구와 실...

      세계화 시대에 공동체는 하나의 선택으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시장(市場)의 힘과 세계화의 원심력속에서 공동체는 약화되고 있지만, 이것이 인간의 행복에 갖는 함의는 중요한 연구와 실행과제를 남겨주고 있다. 다른 일각에서 공동체를 선택이 아닌 하나의 규범적 당위로 강조하고 있지만, 정작 그 효용성을입증하는 연구들은 많지 않다. 사회자본이론이 공동체적 특성을 지역발전의 관점에서 주목하는 이론이라면, 관계재(relational good)이론과 친밀권역 이론은 공동체 형성의 효과를 인간의 행복이라는 관점에서주목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일정 지역 안에 공동체성이 강화됨으로 나타나게 되는 사회문화적 영향을 ‘동네효과’(community effect)라 명명하고, 그 가운데 행복에 미치는 공동체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동네효과의 실재여부를 확인한 후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도시지역 내에서의 그룹 활동, 문화생활을 위한 어울림, 자원봉사 활동, 지역애착의 요소가 친밀권역으로서 공동체를구성하고, 이들 요인들이 주민의 행복도를 제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웃에 대한 신뢰는 여전히 개념적으로 중요성을 보유하나, 본 연구에서는 분석 단위의 상이함으로 말미암아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고, 추가적인 연구를 필요로 한다. 결론적으로 공동체가 활성화 된 지역의 주민들이 상대적으로 행복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계재 이론과 친밀권역 개념이 제기하는 시각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munity tends to be treated as a matter of personal choice in the era of globalisation. Though some of academics illuminate the issue of community as a normative Sollen, it is not easy to prove the need and necessity of community in an empirical world. Social capital theory was an example which considered local community as a source of regional development by focusing on such elements as trust and networks. Recently relational goods theory and intimacy sphere perspective provides with a good point through which we examine the ‘community effects’.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community on residents’ happiness. After exploring the existence of community effects and the study examines the community effects on the level of happiness which local residents feel in that community.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community building increases the level of local residents’ happiness.
      At the same time, it can be improved by group activities, cultural satisfaction and voluntary works. These factors transform locality into an intimate sphere which makes local residents feel happy. It seems worthy to apply the implications of the relational goods theory and intimate sphere concept to the community building programmes in the future.
      번역하기

      Community tends to be treated as a matter of personal choice in the era of globalisation. Though some of academics illuminate the issue of community as a normative Sollen, it is not easy to prove the need and necessity of community in an empirical wor...

      Community tends to be treated as a matter of personal choice in the era of globalisation. Though some of academics illuminate the issue of community as a normative Sollen, it is not easy to prove the need and necessity of community in an empirical world. Social capital theory was an example which considered local community as a source of regional development by focusing on such elements as trust and networks. Recently relational goods theory and intimacy sphere perspective provides with a good point through which we examine the ‘community effects’. This paper studies the influence of community on residents’ happiness. After exploring the existence of community effects and the study examines the community effects on the level of happiness which local residents feel in that community.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community building increases the level of local residents’ happiness.
      At the same time, it can be improved by group activities, cultural satisfaction and voluntary works. These factors transform locality into an intimate sphere which makes local residents feel happy. It seems worthy to apply the implications of the relational goods theory and intimate sphere concept to the community building programmes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양수, "효과적인 농촌발전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위한 사회자본 구축" 2017 (2017): 2017

      2 예지은,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삼성경제연구소 2013

      3 임근식,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시, 군을 중심으로" 10 (10): 47-89, 2012

      4 하현상, "지역사회 리질리언스 제고를 위한 공공마케팅에 대한 탐색적 고찰과 행정학적 제언"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101-137, 2016

      5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8 (8): 33-67, 2006

      6 김대건, "지역공동체의식이 협력적 갈등해결행태에 미치는 영향" 분쟁해결연구센터 9 (9): 67-93, 2011

      7 김장언, "지역, 공동체, 세계 《제4회 광주비엔날레 초청 국제 워크숍–공동체와 미술》을 통해 바라본 예술가의 인식" 한국미술이론학회 (24) : 27-51, 2017

      8 도수관, "지식정보사회에서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 유형과 경제발전" 한국행정학회 51 (51): 93-125, 2017

      9 곽현근, "지방정치 참여의 영향요인에 관한 다수준분석: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동네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229-259, 2007

      10 기영화, "지방정부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자본 효과 탐색: 근거이론"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265-295, 2013

      1 이양수, "효과적인 농촌발전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위한 사회자본 구축" 2017 (2017): 2017

      2 예지은, "직장인의 행복에 관한 연구" 삼성경제연구소 2013

      3 임근식, "지역주민의 삶의 질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시, 군을 중심으로" 10 (10): 47-89, 2012

      4 하현상, "지역사회 리질리언스 제고를 위한 공공마케팅에 대한 탐색적 고찰과 행정학적 제언" 한국자치행정학회 30 (30): 101-137, 2016

      5 이재열, "지역사회 공동체와 사회적 자본" 8 (8): 33-67, 2006

      6 김대건, "지역공동체의식이 협력적 갈등해결행태에 미치는 영향" 분쟁해결연구센터 9 (9): 67-93, 2011

      7 김장언, "지역, 공동체, 세계 《제4회 광주비엔날레 초청 국제 워크숍–공동체와 미술》을 통해 바라본 예술가의 인식" 한국미술이론학회 (24) : 27-51, 2017

      8 도수관, "지식정보사회에서 사회자본과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관계 유형과 경제발전" 한국행정학회 51 (51): 93-125, 2017

      9 곽현근, "지방정치 참여의 영향요인에 관한 다수준분석: 동네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동네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41 (41): 229-259, 2007

      10 기영화, "지방정부 노인일자리사업의 사회적 자본 효과 탐색: 근거이론" 한국지방정부학회 17 (17): 265-295, 2013

      11 강상준, "자연재해로부터의 지역사회 회복탄력성 도입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13

      12 황창호, "인적・재정・사회적 자본이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해양수산분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51 (51): 495-521, 2017

      13 구교준, "소득과 삶의 역량에 따른 행복 결정요인 연구" 한국행정학회 48 (48): 317-339, 2014

      14 고명철, "삶의 질(QoL) 연구의 행정학적 함의와 제언" 한국행정학회 46 (46): 103-126, 2012

      15 이성호, "사회적 지지가 판매원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29 (29): 1633-1647, 2016

      16 김형주,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대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벤처창업학회 12 (12): 55-66, 2017

      17 최승범, "마을공동체재생 거버넌스를 위한 주민학습체계" 대한지방자치학회 18 (18): 133-151, 2017

      18 주덕, "마을 만들기 사업 가치평가의 결정요인 추정: 지역사회자본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325-343, 2016

      19 신희주, "동네(neighborhood)는 어떻게 사람들의 일상에 힘을 발휘하는가? - 한국의 지역공동체 회복을 위한 고찰"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34) : 1-26, 2017

      20 박영민, "농촌지역 사회자본 형성과 정부정책의 영향" 한국행정학회 48 (48): 267-292, 2014

      21 통계개발원, "국민의 삶의 지표"

      22 박민진, "관계재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민의 세대별 비교-" 한국지방자치학회 29 (29): 1-30, 2017

      23 이종수, "공동체" 박영사 2015

      24 齋藤純一, "親密圏のポリティクス" ナカニシヤ出版 2003

      25 Bruni, Luigino, "Watching alone: Relational goods, television and happiness" 65 (65): 506-528, 2008

      26 Tay, Louis, "The role of the arts and humanities in human flourishing: A conceptual model" 2017

      27 Karlis, George, "Sport and community building: The case of an ethnic community organization" 38 (38): 239-248, 2015

      28 Bruni, Luigino, "Relational Goods, A new tool for an old issue" 3 (3): 173-178, 2013

      29 Easterlin, R.,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Essays in Honour of Moses Abramovitz" Academic Press 1974

      30 Putnam, R., "Making Democracy Work: Civic Traditions in Modern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31 Becchetti, Leonardo, "Income, relational goods and happiness" 43 (43): 273-290, 2009

      32 McIntosh, Barbara, "If Not Only GDP, What Else? Using Relational Goods to Predict the Trends of Subjective Well-being" 57 : 199-213, 2010

      33 Frey, B., "Happiness, economy and institutions" 111 : 918-938, 2001

      34 Griffin, Brandon J.,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community-based forgiveness campaign" 2018

      35 Chandra, Anita, "Community Resilience" Butterworth - Heinemann 2018

      36 Hope, Tim, "Community Crime Prevention in Britain: A Strategic Overview" 1 (1):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7 1.024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