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인식과 욕구 -울산광역시 남구를 중심으로- = Recognition and Needs of Elderly Welfare Policy of Local Government: A Case Study on Nam-gu, Ulsan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465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인식과 욕구를 파악하고자 울산광역시 남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과 관련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어르신들이 필요한 복지정책은 여가 및 건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노인복지관의 확충과 경제활동 및 소득보장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사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복지 관련기관 실무자 조사결과, 현행 노인복지정책 가운데 노인욕구 대비 충분성은 건강영역이 가장 높고, 경제활동영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경제활동영역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인식과 욕구를 파악하고자 울산광역시 남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과 관련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어르신들이 필요...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인식과 욕구를 파악하고자 울산광역시 남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과 관련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어르신들이 필요한 복지정책은 여가 및 건강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노인복지관의 확충과 경제활동 및 소득보장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사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복지 관련기관 실무자 조사결과, 현행 노인복지정책 가운데 노인욕구 대비 충분성은 건강영역이 가장 높고, 경제활동영역이 가장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경제활동영역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the Nam-gu, Ulsan metropolitan city and staff members of related organizations to figure out the needs for the elderly welfare and recognition of elderly welfare policies.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welfare policies preferred by the elderly people include expansion of elderly welfare centers which provide leisure and health-related programs and provision of customized jobs to conduct economic activities and earn an income. And the survey result of staff members of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elderly welfare shows that among the current elderly welfare policies, health-care related policies are most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needs of the elderly people whereas economic activity-related policies are least supported, which suggests a need for expanding support for the economic activity-related policies.
      번역하기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the Nam-gu, Ulsan metropolitan city and staff members of related organizations to figure out the needs for the elderly welfare and recognition of elderly welfare policies. Th...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for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living in the Nam-gu, Ulsan metropolitan city and staff members of related organizations to figure out the needs for the elderly welfare and recognition of elderly welfare policies. The survey result shows that welfare policies preferred by the elderly people include expansion of elderly welfare centers which provide leisure and health-related programs and provision of customized jobs to conduct economic activities and earn an income. And the survey result of staff members of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elderly welfare shows that among the current elderly welfare policies, health-care related policies are most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needs of the elderly people whereas economic activity-related policies are least supported, which suggests a need for expanding support for the economic activity-related polic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풍출판사,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유풍출판사 1995

      2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장경섭, "핵가족 이데올로기와 복지국가 가족부양의 정치경제학" 15 : 173-204, 1992

      4 박차성, "한국노인복지론" 학지사 2009

      5 조당호, "평택시 노인복지서비스 욕구에 대한 정책적 제언에 관한 연구" 16 (16): 227-256, 2006

      6 권육상, "최신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0

      7 주상현, "지방정부 노인복지욕구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195-220, 2007

      8 전북발전연구원, "전라북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전북 2005

      9 변웅전, "입법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변화 연구 : 17대, 18대 국회를 중심으로" 한국의정연구회 7 (7): 65-104, 2012

      10 박태영, "일본의 지역복지지원계획에 관한 연구" 9 (9): 117-146, 2003

      1 유풍출판사, "현대사회와 노인문제" 유풍출판사 1995

      2 "행정자치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장경섭, "핵가족 이데올로기와 복지국가 가족부양의 정치경제학" 15 : 173-204, 1992

      4 박차성, "한국노인복지론" 학지사 2009

      5 조당호, "평택시 노인복지서비스 욕구에 대한 정책적 제언에 관한 연구" 16 (16): 227-256, 2006

      6 권육상, "최신 노인복지론" 유풍출판사 2000

      7 주상현, "지방정부 노인복지욕구 실태와 정책과제" 한국지방정부학회 10 (10): 195-220, 2007

      8 전북발전연구원, "전라북도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전북 2005

      9 변웅전, "입법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노인복지정책 변화 연구 : 17대, 18대 국회를 중심으로" 한국의정연구회 7 (7): 65-104, 2012

      10 박태영, "일본의 지역복지지원계획에 관한 연구" 9 (9): 117-146, 2003

      11 유애정, "시·도 지역사회복지계획 발전 방안 모색을 위한 탐색적 연구 - 일본 오사카부지역복지지원계획 사례 검토를 통해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6) : 203-227, 2013

      12 홍주희, "서울시 노인실태 및 욕구조사-고령친화 체감도를 중심으로" 서울시복지재단 2014

      13 이상철, "서울시 노인실태 및 욕구조사 연구" 서울시복지재단 2012

      14 이재정, "부산광역시 예비노인 실태조사" 부산복지개발원 2009

      15 "보건복지부"

      16 이기영, "도농복합지역의 노인복지 비교 연구: 지역복지계획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11 (11): 247-263, 2008

      17 이병호, "노인정책 인식과 참여의 지역별 차이" 경기연구원 2015

      18 전병관, "노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를 통한 맞춤형 노인복지정책 추진방안-도농복합 아산시를 중심으로" 1037-1067, 2006

      19 임우석, "노인복지곤" 신정 2012

      20 "국가통계포털"

      21 이경우, "고령화 사회 도래에 따른 울산의 대응방안" 울산발전연구원 2013

      22 김영혜, "경기도 노인의 생활실태 조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0

      23 박광준, "가족 이데올로기와 가족정책" 6 : 101-120, 1995

      24 Neumark, D., "Welfare for the Elderly: THE Effects of SSI on Pre-Retirement Labor Supply" 78 (78): 51-80, 2000

      25 Hill, M., "Understanding Social Policy" Blackwell 2000

      26 Naoko Muramatsu, "Super-Aging Society Preparing for the Future" 51 (51): 425-432, 2011

      27 Lowy. L., "Social Work with the Aging" Harper & Row 1979

      28 "OECD Stat"

      29 정은아, "2016년 노인실태조사-서울시 노인복지이슈 중심" 서울시복지재단 2016

      3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4

      3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2

      32 김수영, "2009년 부산광역시 노인복지 실태 및 욕구조사" 부산복지개발원 2009

      3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2008년도 노인실태조사-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보건복지부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7 1.024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