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중 소통 매체로서 기업박물관 활동에 관한 연구-루이뷔통재단을 중심으로- = Study on Activities of Museums as a Medium for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Focused on Foundation Louis Vuitt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22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Foundation Louis Vuitton” that has opened a museum and operates related activities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company and the public. Foundation Louis Vuitton, which was opened in 2014, is the name of a museum in ‘Bois de Boulogne’ in Paris that LVMH(Moët Hennessy Louis Vuitton) company established.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faced difficulties such as objection of protection group of ‘Jardin d’Acclimatation’ located in the Bois de Boulogne or legal limitation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opening. However, the building could be completed thanks to the pushing power of the preparatory committee which sticked their neck out in order to push forward the project to create a space which will exhibit major works of art for national benefits and the whole world and the cooperation of Paris city. The museum building thus created was established by the founda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it will belong to Paris city 55years later.
      Foundation Louis Vuitton meets the public through new exhibitions every year and has been steadily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by steadily implementing culture and art programs since the opening the museum.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undation does not conduct activities just aiming for the museum that exists for the promotion of the company. The museum team makes efforts for new creations cooperating with artists with sincerity. Exhibitions, such as Sergei Shchukin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and Pushkin Museum. contemporary art exhibition connected with MoMA in the US, an exhibition that invited African artists to show current South Africa, and a photo exhibition of Louis Vuitton shops taken with Louis Vuitton masters, demonstrate the competence of Foundation Louis Vuitton which establishes its own domain making a bold new attempts.
      This study gav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establishment of museums and activities thereby as a method with which companies contribute to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the moves of Foundation Louis Vuitton that unfolds new adventures by collecting the greatest writers of the day and collaborating them contributes to securing trust for their parent company even though they are not promoting their parent company directly.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ny keeps developing such activities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more various channels, thereby settling down as a real culture and art platform.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Foundation Louis Vuitton” that has opened a museum and operates related activities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company and the public. Foundation Louis Vuitton, which was opened in 2014, is the name of a museum ...

      This study investigated “Foundation Louis Vuitton” that has opened a museum and operates related activities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between a company and the public. Foundation Louis Vuitton, which was opened in 2014, is the name of a museum in ‘Bois de Boulogne’ in Paris that LVMH(Moët Hennessy Louis Vuitton) company established.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useum faced difficulties such as objection of protection group of ‘Jardin d’Acclimatation’ located in the Bois de Boulogne or legal limitations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opening. However, the building could be completed thanks to the pushing power of the preparatory committee which sticked their neck out in order to push forward the project to create a space which will exhibit major works of art for national benefits and the whole world and the cooperation of Paris city. The museum building thus created was established by the foundation under the condition that it will belong to Paris city 55years later.
      Foundation Louis Vuitton meets the public through new exhibitions every year and has been steadily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by steadily implementing culture and art programs since the opening the museum.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oundation does not conduct activities just aiming for the museum that exists for the promotion of the company. The museum team makes efforts for new creations cooperating with artists with sincerity. Exhibitions, such as Sergei Shchukin exhibition collaborated with the State Hermitage Museum and Pushkin Museum. contemporary art exhibition connected with MoMA in the US, an exhibition that invited African artists to show current South Africa, and a photo exhibition of Louis Vuitton shops taken with Louis Vuitton masters, demonstrate the competence of Foundation Louis Vuitton which establishes its own domain making a bold new attempts.
      This study gave an opportunity to look into the establishment of museums and activities thereby as a method with which companies contribute to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the moves of Foundation Louis Vuitton that unfolds new adventures by collecting the greatest writers of the day and collaborating them contributes to securing trust for their parent company even though they are not promoting their parent company directly. It is expected that the company keeps developing such activities an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more various channels, thereby settling down as a real culture and art platfor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기업이 대중과 소통하는 방식으로서 박물관을 개관하고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루이뷔통재단’을 살펴보았다. 2014년 개관한 루이뷔통재단은 파리 불로뉴 숲에 위치한 LVMH(Moët Hennessy Louis Vuitton) 기업이 설립한 박물관의 명칭이다. 박물관 준비위원회는 개관을 준비하는 과정에 불로뉴 숲에 위치한 아클리마타시옹 공원보호단체의 반대, 법률적인 제한 등 직면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국익과 전 세계를 위한 주요 예술 작품을 전시할 공간’을 마련하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모험을 감수한 준비위원회의 추진력과 파리시의 협조가 있었기에 건물 완공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탄생한 박물관의 건물은 55년 후에는 파리시에 귀속되어 파리시의 자산이 된다는 조건으로 재단은 박물관을 설립한다.
      루이뷔통재단은 해마다 새로운 전시를 통하여 대중을 만나고 있으며 개관 이후 꾸준하게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이들의 활동이 단순히 기업의 홍보를 위해서 존재하는 박물관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박물관 팀은 진정성을 갖고 예술가들과 협업하면서 새로운 창조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러시아의 에르미타주박물관, 푸시킨박물관과 연계한 세르게이 슈킨 콜렉션 전시, 미국의 MoMA와 연계한 현대미술전시, 아프리카 예술가들을 초대하여 현대의 남아프리카를 보여주고자 한 전시, 루이뷔통 장인들과 매장을 촬영한 사진전 등은 새로운 시도를 과감하게 시행하면서 자신들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루이뷔통재단의 역량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업이 진정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방법으로서 박물관 건립과 활동에 대해서 성찰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을 모으고 그들과 협업하면서 모험을 전개하는 루이뷔통재단의 행보는 그들이 직접적으로 모기업을 홍보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에도 이런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면서 좀 더 다채로운 채널로 대중과 소통할 수 있고, 진정한 문화예술플랫폼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기업이 대중과 소통하는 방식으로서 박물관을 개관하고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루이뷔통재단’을 살펴보았다. 2014년 개관한 루이뷔통재단은 파리 불로뉴 숲에 위치한 LVMH(Moët Hennes...

      본고는 기업이 대중과 소통하는 방식으로서 박물관을 개관하고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루이뷔통재단’을 살펴보았다. 2014년 개관한 루이뷔통재단은 파리 불로뉴 숲에 위치한 LVMH(Moët Hennessy Louis Vuitton) 기업이 설립한 박물관의 명칭이다. 박물관 준비위원회는 개관을 준비하는 과정에 불로뉴 숲에 위치한 아클리마타시옹 공원보호단체의 반대, 법률적인 제한 등 직면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국익과 전 세계를 위한 주요 예술 작품을 전시할 공간’을 마련하는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 모험을 감수한 준비위원회의 추진력과 파리시의 협조가 있었기에 건물 완공이 가능하였다. 이렇게 탄생한 박물관의 건물은 55년 후에는 파리시에 귀속되어 파리시의 자산이 된다는 조건으로 재단은 박물관을 설립한다.
      루이뷔통재단은 해마다 새로운 전시를 통하여 대중을 만나고 있으며 개관 이후 꾸준하게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할 것은 이들의 활동이 단순히 기업의 홍보를 위해서 존재하는 박물관을 지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박물관 팀은 진정성을 갖고 예술가들과 협업하면서 새로운 창조를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러시아의 에르미타주박물관, 푸시킨박물관과 연계한 세르게이 슈킨 콜렉션 전시, 미국의 MoMA와 연계한 현대미술전시, 아프리카 예술가들을 초대하여 현대의 남아프리카를 보여주고자 한 전시, 루이뷔통 장인들과 매장을 촬영한 사진전 등은 새로운 시도를 과감하게 시행하면서 자신들의 영역을 구축하고 있는 루이뷔통재단의 역량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업이 진정으로 사회에 봉사하는 방법으로서 박물관 건립과 활동에 대해서 성찰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을 모으고 그들과 협업하면서 모험을 전개하는 루이뷔통재단의 행보는 그들이 직접적으로 모기업을 홍보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기업에 대한 신뢰도를 확보하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향후에도 이런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면서 좀 더 다채로운 채널로 대중과 소통할 수 있고, 진정한 문화예술플랫폼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경, "해외패션 명품브랜드 로고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3 (13): 1-16, 2009

      2 "파리에 서울공원 개장" 연합뉴스

      3 "트렁크의 끊임없는 혁신, 여행은 문화가 되었다" 문화일보

      4 최철재, "의류점의 브랜드인지와 브랜드친숙성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이미지, 점포이미지 및 점포신뢰의 인과적 역할" 한국유통경영학회 20 (20): 69-79, 2017

      5 이민경, "의류 브랜드 로고마크의 특성에 관한 연구- 유니섹스 캐주얼 브랜드를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3 (13): 833-843, 2005

      6 박윤옥, "서양 뮤지엄의 수집 활동과 그 영향" 한국박물관학회 (26) : 1-22, 2014

      7 마이클 벨처,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예경 2013

      8 조한희, "박물관 방문객 분석에 의한 기업박물관의 운영전략" 한국박물관학회 (4) : 2001

      9 최명식, "명품브랜드의 제품에서 보여 지는 상징색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부설디자인연구원 2005

      10 정진섭, "명품 기업 경쟁우위의 원천: LVMH 그룹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3 (13): 117-149, 2010

      1 이민경, "해외패션 명품브랜드 로고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3 (13): 1-16, 2009

      2 "파리에 서울공원 개장" 연합뉴스

      3 "트렁크의 끊임없는 혁신, 여행은 문화가 되었다" 문화일보

      4 최철재, "의류점의 브랜드인지와 브랜드친숙성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이미지, 점포이미지 및 점포신뢰의 인과적 역할" 한국유통경영학회 20 (20): 69-79, 2017

      5 이민경, "의류 브랜드 로고마크의 특성에 관한 연구- 유니섹스 캐주얼 브랜드를 중심으로 -" 복식문화학회 13 (13): 833-843, 2005

      6 박윤옥, "서양 뮤지엄의 수집 활동과 그 영향" 한국박물관학회 (26) : 1-22, 2014

      7 마이클 벨처,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예경 2013

      8 조한희, "박물관 방문객 분석에 의한 기업박물관의 운영전략" 한국박물관학회 (4) : 2001

      9 최명식, "명품브랜드의 제품에서 보여 지는 상징색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부설디자인연구원 2005

      10 정진섭, "명품 기업 경쟁우위의 원천: LVMH 그룹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3 (13): 117-149, 2010

      11 "루이뷔통 가방으로 떠나는 여행" 중앙일보

      12 "루이뷔통 160년 역사 담은 전시, 서울서 열린다" 조선비즈

      13 육영수, "‘은자(隱者) 왕국’의 세상 엿보기 혹은 좌절된 접속: 1900년 파리세계박람회에 전시된 ‘세기말’ 조선" 대구사학회 114 : 153-182, 2014

      14 "Wikipedia"

      15 Michaela Giebelhusen, "New Museum Theory and Practice" Blackwell 41-63, 2011

      16 "Magiciens-de-la-terre"

      17 "Jean-pigozzi"

      18 Kim Willsher, "Is it a cloud? Is it a cocoon? Gehry’s Paris museum unveiled" The Guardian

      19 "ICOM"

      20 "Human Zoos"

      21 "Human Zoos"

      22 "Grand-palais"

      23 Rowan Moore, "Fondation Louis Vuitton, Paris review - everything and the bling from Frank Gehry" The Guardian

      24 "Fondation Louis Vuitton"

      25 Jean-Michel Charbonnier, "FOUNDATION LOUIS VUITTON" 22-39, 2014

      26 "CBC"

      27 박종소, "18-19세기 러시아 문화 속의 프랑스 문화의 구축과 반영, In 예르미타시박물관展: 겨울 궁전에서 온 프랑스 미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8 0.18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