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검·경 수사권 조정에 따른 국가수사본부 설립안 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80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n January 13, 2020, the Criminal Procedure Law and the Prosecutors Office Act are amand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a new investig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South Korea. And the evaluation on the revision of the law is divided. Anyway, this amendment has meaning as a transitional legislation to separate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The future changes in the investigation system will depend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olice reform.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in the revised investigation system, the government intends to “distribute the investigative police from the general police” to disperse the police force and strengthen the neutrality and fairness of the police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evant discussions so that the purpose can be fully utilize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new investigation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from the viewpoint of police reform.
      번역하기

      On January 13, 2020, the Criminal Procedure Law and the Prosecutors Office Act are amand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a new investig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South Korea. And the evaluation on the revision of the law is divided. Anyway, this ...

      On January 13, 2020, the Criminal Procedure Law and the Prosecutors Office Act are amand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a new investig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South Korea. And the evaluation on the revision of the law is divided. Anyway, this amendment has meaning as a transitional legislation to separate the investigation and prosecution. The future changes in the investigation system will depend o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olice reform.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in the revised investigation system, the government intends to “distribute the investigative police from the general police” to disperse the police force and strengthen the neutrality and fairness of the police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develop relevant discussions so that the purpose can be fully utilize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new investigation system and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Investigation Headquarters from the viewpoint of police refor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문규, "현 시점에서 도입가능한 자치경찰제 모델 구상과 과제"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249-280, 2018

      2 허진문, "행안부도 수사권 조정 후속 TF 설치, 수사구조개혁, 자치경찰 등 4개팀으로"

      3 오승규, "프랑스 행정경찰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 시사점" 한국경찰법학회 14 (14): 236-250, 2016

      4 유주성, "프랑스 사법경찰의 역사적 형성에 관한 연구 - 개념적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법학회 12 (12): 177-210, 2014

      5 김성룡, "청와대의 ‘수사권 조정안’과 검찰 개혁"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7-35, 2018

      6 최정학, "정부의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안’에 대한 단상" 민주주의법학연구회 (68) : 347-373, 2018

      7 김학경, "영국지방자치경찰의 새로운 패러다임 : “2011 경찰개혁 및 사회책임법”과 “국립범죄청”을 중심으로" 경찰대학 12 (12): 147-174, 2012

      8 김윤상, "수사지휘와 인권보장" 15 (15): 2003

      9 이경열, "수사종결 권한의 경찰 부여와 경찰 권력에 대한 통제 - 검·경 수사권 조정안들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69-103, 2018

      10 이원상, "수사절차에서 1차 수사종결권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63-86, 2018

      1 황문규, "현 시점에서 도입가능한 자치경찰제 모델 구상과 과제" 한국경찰연구학회 17 (17): 249-280, 2018

      2 허진문, "행안부도 수사권 조정 후속 TF 설치, 수사구조개혁, 자치경찰 등 4개팀으로"

      3 오승규, "프랑스 행정경찰 개념의 역사적 변천과 시사점" 한국경찰법학회 14 (14): 236-250, 2016

      4 유주성, "프랑스 사법경찰의 역사적 형성에 관한 연구 - 개념적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법학회 12 (12): 177-210, 2014

      5 김성룡, "청와대의 ‘수사권 조정안’과 검찰 개혁"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7-35, 2018

      6 최정학, "정부의 ‘검·경 수사권 조정 합의안’에 대한 단상" 민주주의법학연구회 (68) : 347-373, 2018

      7 김학경, "영국지방자치경찰의 새로운 패러다임 : “2011 경찰개혁 및 사회책임법”과 “국립범죄청”을 중심으로" 경찰대학 12 (12): 147-174, 2012

      8 김윤상, "수사지휘와 인권보장" 15 (15): 2003

      9 이경열, "수사종결 권한의 경찰 부여와 경찰 권력에 대한 통제 - 검·경 수사권 조정안들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69-103, 2018

      10 이원상, "수사절차에서 1차 수사종결권에 대한 고찰"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63-86, 2018

      11 유주성, "수사와 기소 분리를 위한 쟁점과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10 (10): 147-173, 2018

      12 차정인, "수사권조정의 주요 쟁점" 법조협회 67 (67): 50-92, 2018

      13 서보학, "수사개혁분과 주요 권고 내용 및 추진사항" 2018

      14 유주성, "사법경찰관의 수사주체성에 관한 연구" 치안정책연구소 25 (25): 1-25, 2011

      15 유주성, "국가수사조직 도입모델로서 프랑스 중앙사법경찰국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법학회 10 (10): 93-123, 2012

      16 최미경, "국가수사본부의 쟁점과 개선방안" 2020

      17 유주성, "경찰 수사개혁의 성과와 과제"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87-113, 2018

      18 정은아, "경기남부경찰청, 책임수사 조직개편..93명 신규 배치"

      19 윤동호, "검찰개혁 이후 수사권 분산의 체계와 과제 -특사경과 자치경찰을 중심으로-" 한국형사정책학회 31 (31): 85-121, 2019

      20 조국, "검사 수사지휘권 행사에 관한 연구" 경찰청 2009

      21 박용철, "검·경 수사권조정 합의안의 내용과 의미에 대한 일고"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37-61, 2018

      22 정승환, "검·경 수사권조정 합의안에 대한 평가" 법조협회 67 (67): 93-126, 2018

      23 주승희, "검·경 수사권 조정 정부합의안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및 합리적 대안 모색"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133-161, 2018

      24 이완규, "개정 형사소송법상 수사체제" 법조협회 60 (60): 5-56, 2011

      25 서보학, "‘정부 수사권 조정 합의문’의 함의와 바람직한 개선방안 In 수사권 조정 정부협의안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2018

      26 J.G.LOCRE, "La legislation civile, commerical et criminelle de la France ou commentaire et complement des codes francai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3 1.21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