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오류 연구- H2-3(hongseyueliang~hujiao)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rror of Chinese-Korean dictionary Headword Based on the Chinese Corpus and Internet - from hongseyueliang to hujia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05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study on the adequacy of Chinese-Korean dictionary headword based on the Chinese Corpus and Chinese Internet(Baidu). Studies show that I have come to know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is low frequency headword. In this paper study on ...

      In this paper, study on the adequacy of Chinese-Korean dictionary headword based on the Chinese Corpus and Chinese Internet(Baidu). Studies show that I have come to know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is low frequency headword. In this paper study on H2-3 part.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iscuss how appropriate the meaning interpretations of the entries are. For this, the entries of Chinese-Korean dictionaries that show low frequency both in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Corpus and the Peking University Corpus were sorted out first. Then it is investigated whether the usage and examples of the sorted entries appear in the Chinese Internet(Baidu). It is also examined that their interpretations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a number of the entries are not appropriate for Chinese-Korean dictionaries and their meaning interpretations need to be modified. There are three into these results. ① a semantic error ② omission of semantic terms ③ other errors. There are 298unit low frequency headword in H2-3 par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중한사전의 표제어 가운데 H2-3(hongseyueliang ~ hujiao)에 해당하는 어휘 1000개에 대해 일일이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으로 출현 횟수와 용례 및 풀이를 살펴본 후 중한사전과 비교하여 발...

      본 논문은 중한사전의 표제어 가운데 H2-3(hongseyueliang ~ hujiao)에 해당하는 어휘 1000개에 대해 일일이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으로 출현 횟수와 용례 및 풀이를 살펴본 후 중한사전과 비교하여 발견된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위에 해당하는 어휘를 연구한 결과 65개의 오류가 나타났다. 이들 어휘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유형에 따라 ① 의미풀이의 오류, ② 의미항의 누락, ③ 그 밖의 오류 세 부분으로 분류하고,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지 중점적으로 토론했으며, 최대한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했다.
      사전의 어휘풀이가 코퍼스 및 인터넷에서 활용될 때 서로 상충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나 오류는 수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최대한 사전의 오류를 수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그 결과물이 앞으로 중한사전을 편찬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영종, "한어코퍼스를 활용한 중한사전의 개선" 중국어문학연구회 (53) : 165-196, 2008

      2 송인성, "중한사전의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중국학회 40 : 67-85, 1999

      3 박종한, "중한사전의 뜻풀이와 용례" 한국중국언어학회 9 : 158-182, 1999

      4 박종한, "중한 번역에서 사전의 이용에 관한 몇 가지 의견" 한국중국어문학회 28 : 331-346, 1997

      5 백종인 ; 이정식,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적합성 연구 - B3을 중심으로" 한국중국문화학회 (52) : 39-55, 2016

      6 백종인,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오류 연구 - H2-2(henggongbiji~hongsexiaofei)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61 (61): 79-104, 2022

      7 백종인,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오류 연구 - H2(he’ezhi ~ heinu)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9 (59): 141-165, 2020

      8 정헌철, "우리 中國語辭典의 回顧와 展望" 대한중국학회 10 : 57-82, 1995

      9 박덕준, "새 《중한사전》 편찬 원칙에 대한 제언" 중국어문학회 (38) : 325-369, 2012

      10 "現代漢語詞典" 商务印书馆 1999

      1 박영종, "한어코퍼스를 활용한 중한사전의 개선" 중국어문학연구회 (53) : 165-196, 2008

      2 송인성, "중한사전의 몇 가지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중국학회 40 : 67-85, 1999

      3 박종한, "중한사전의 뜻풀이와 용례" 한국중국언어학회 9 : 158-182, 1999

      4 박종한, "중한 번역에서 사전의 이용에 관한 몇 가지 의견" 한국중국어문학회 28 : 331-346, 1997

      5 백종인 ; 이정식,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적합성 연구 - B3을 중심으로" 한국중국문화학회 (52) : 39-55, 2016

      6 백종인,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오류 연구 - H2-2(henggongbiji~hongsexiaofei)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소 61 (61): 79-104, 2022

      7 백종인, "중국 코퍼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중한사전 표제어의 오류 연구 - H2(he’ezhi ~ heinu)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9 (59): 141-165, 2020

      8 정헌철, "우리 中國語辭典의 回顧와 展望" 대한중국학회 10 : 57-82, 1995

      9 박덕준, "새 《중한사전》 편찬 원칙에 대한 제언" 중국어문학회 (38) : 325-369, 2012

      10 "現代漢語詞典" 商务印书馆 1999

      11 박영종, "現代中韓辭典" 敎學社 2008

      12 "漢語大詞典" 漢語大詞典出版社 1993

      13 "漢英拉動植物名稱 , 胡世平" 商务印书馆 2003

      14 "大漢和語辭典" 大修館書店 1986

      15 황설운 ; 백종인, "基于中文语料库的中韩词典的词汇释义正确性研究 ― 以D3区的词汇为例" 대한중국학회 (65) : 89-102, 2018

      16 "中韓辭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3

      17 "中國語辭典" 白水社 2002

      18 김현철, "『다락원 중한사전』 편찬의 현황과 전망" 한국사전학회 (15) : 7-24, 2010

      19 신상현, "'中韓辭典' 표제자 처리 연구 -현대 중국의 한자 규범정책 적용과 기초정보 처리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회 (18) : 128-153,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