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考는 퇴계의 及門弟子 鶴峯 金誠一의 禮學을 推尋하여 퇴계학맥 연구에 일조하기 위해, 鶴峯集과 義城金氏 川前派의 古文書를 통하여 그의 祭禮 意識과 行禮에 대해 살펴보았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804865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本考는 퇴계의 及門弟子 鶴峯 金誠一의 禮學을 推尋하여 퇴계학맥 연구에 일조하기 위해, 鶴峯集과 義城金氏 川前派의 古文書를 통하여 그의 祭禮 意識과 行禮에 대해 살펴보았다. ...
本考는 퇴계의 及門弟子 鶴峯 金誠一의 禮學을 推尋하여 퇴계학맥 연구에 일조하기 위해, 鶴峯集과 義城金氏 川前派의 古文書를 통하여 그의 祭禮 意識과 行禮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봉의 부친 靑溪公은 宗家가 궁핍함으로써 비롯되는 祭祀의 廢止를 막고자 祭需 비용을 넉넉히 마련하는 등 祖先숭배와 保宗의식이 뚜렷하였다. 학봉도 이러한 家學에 영향 받아 宗家 保衛와 조상에 대한 享祀를 특히 중시하였다.
학봉은 제례에 있어서 禮經ㆍ禮書를 존숭하되, 당대의 時俗과 國制도 아울러 수용하여 兩者를 절충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는 퇴계 禮學의 특징이기도 한데, 학봉은 스승 퇴계와의 禮疑問答을 통해 자신의 禮論을 정립시켜 나간 것이다.
朱子『家禮』의 제례는 크게 時祭ㆍ忌祭ㆍ墓祭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사당에서의 四時祭가 제일 중요하고, 代盡한 조상에게 지내는 墓祭의 비중이 가장 낮다. 하지만 당시 조선사회는 시제보다 묘제를 중시하였고, 기제사도 『가례』의 4대 봉사와 달리 3대 봉사를 하고 있었으며 또 자손들의 윤회봉사가 시행되고 있었다.
이에 학봉은 먼저 『가례』를 기본으로 삼아, 時祭를 중시하고 大盡한 조상의 묘제를 1년에 1번 준행하고자 하였다. 또 禮宜從厚의 뜻으로 3대 봉사를 4대 봉사로 전환하여 「奉先諸規」에 수록함으로써 가문의 예법으로 정식화하였다. 다음으로, 俗禮와 時王之制에도 순응하지 않을 수 없다는 관점에서 기존의 節日祭나 4名日묘제 등을 준수하였고, 기제사를 사당에서 지내도록 하되 여전히 윤회봉사를 따르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학봉은 敦厚한 人情으로 行禮하면서 부단히 禮書와 通俗의 조화를 모색해 나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is thoughts and performance of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祭禮) by examining a collection of HakBong's works(鶴峯集) and the ancient documents of CheonJeon Clan(川前派) out of the Kims of U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is thoughts and performance of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祭禮) by examining a collection of HakBong's works(鶴峯集) and the ancient documents of CheonJeon Clan(川前派) out of the Kims of UiSeong(義城金氏). This study will be a help for studying in Toegye(退溪)'s school by examining the courtesy scriptures theory(禮學) of Hakbon. Toegye's disciple.
Hakbong also attached importance to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under the influence of his father, who devoted himself to an ancestor worship and a protection of the original family(宗家) getting ready for expenses of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Hakbong tried not only to value books of the courtesy scriptures theory but also to accept manners and national institutions of those days. This idea is a characteristic of Toegye's courtesy scriptures theory. Hakbong set up his courtesy scriptures theory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with Toegye, his master.
The memorial services for the ancestors in Garae(『家禮』) was mainly divided into three forms, the seasonal service(時祭), the memorial service(忌祭), and the tomb service(墓祭). Garae treated the seasonal service, which performed in shrine, as the most important service but did the tomb service, which performed for ancestors of older generation who didn't perform memorial services any longer, as the most unimportant service. Garae also prescribed to perform the memorial services for ancestors of four generations. But, in Chosun(朝鮮) of those days the tomb service was attached more importance than the seasonal service, the memorial services were performed for ancestors of three generations, and the memorial services were sometimes performed in tur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