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외 비화재보 관계법령 비교 분석 =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Related to Unwanted Fire Alar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19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unwanted fire alarms withi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increase, fire-fighting power gets wasted. This isrecognized as important because it causes a decrease in the evacuation reliability of the occupancy. Therefore, in order todevelop measures to reduce unwanted fire alarms, foreign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and domestic standardsrelated to unwanted fire alar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rough the analysis the problems withthe standards were identified as uncertainty regarding the detecting space and radius of the smoke detector, the absence ofa statistical database (DB) for unwanted fire alarms, the absence of a protocol for managing unwanted fire alarms, and theabsence of testing standards for unwanted fire alarms based on scenarios. Consequently, it is proposed that to deal withth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scertain the detecting space and radius of the smoke detector, to propose unwanted firealarm protection codes for database (DB) system construction, to supplement the fire safety management log by developingrelated manuals, and to develop unwanted fire alarm testing standards of Korean type based on scenarios.
      번역하기

      As unwanted fire alarms withi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increase, fire-fighting power gets wasted. This isrecognized as important because it causes a decrease in the evacuation reliability of the occupancy. Therefore, in order todevelop mea...

      As unwanted fire alarms within the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increase, fire-fighting power gets wasted. This isrecognized as important because it causes a decrease in the evacuation reliability of the occupancy. Therefore, in order todevelop measures to reduce unwanted fire alarms, foreign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and domestic standardsrelated to unwanted fire alarm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rough the analysis the problems withthe standards were identified as uncertainty regarding the detecting space and radius of the smoke detector, the absence ofa statistical database (DB) for unwanted fire alarms, the absence of a protocol for managing unwanted fire alarms, and theabsence of testing standards for unwanted fire alarms based on scenarios. Consequently, it is proposed that to deal withth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scertain the detecting space and radius of the smoke detector, to propose unwanted firealarm protection codes for database (DB) system construction, to supplement the fire safety management log by developingrelated manuals, and to develop unwanted fire alarm testing standards of Korean type based on scenario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화재보가 증가함에 따라 소방력의 공력(空力)이 초래되고 있다. 이는 재실자의 피난 신뢰성을 저하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화재보 저감방안을 마련하는것을 목적으로 국외(미국, 영국) 및 국내의 비화재보 관련 기준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비화재보 관련기준의 문제점으로 연기감지기의 감지면적·반경의 불명확성, 비화재보 통계DB 구축의 부재, 비화재보 관리업무규정의 부재 그리고 시나리오 기반 비화재보 시험기준의 부재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해결방안으로 연기감지기의감지면적·반경의 명확화, DB 구축을 위한 비화재보 원인코드의 제안, 소방안전관리일지 보완 및 관련매뉴얼 개발그리고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한국형 비화재보 시험기준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화재보가 증가함에 따라 소방력의 공력(空力)이 초래되고 있다. 이는 재실자의 피난 신뢰성을 저하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화재보가 증가함에 따라 소방력의 공력(空力)이 초래되고 있다. 이는 재실자의 피난 신뢰성을 저하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화재보 저감방안을 마련하는것을 목적으로 국외(미국, 영국) 및 국내의 비화재보 관련 기준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 결과 비화재보 관련기준의 문제점으로 연기감지기의 감지면적·반경의 불명확성, 비화재보 통계DB 구축의 부재, 비화재보 관리업무규정의 부재 그리고 시나리오 기반 비화재보 시험기준의 부재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해결방안으로 연기감지기의감지면적·반경의 명확화, DB 구축을 위한 비화재보 원인코드의 제안, 소방안전관리일지 보완 및 관련매뉴얼 개발그리고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한국형 비화재보 시험기준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 론 2. 국내외 비화재보 관계법령 비교·분석 3. 비화재보 관련 기준의 문제점 4. 개선방안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 1. 서 론 2. 국내외 비화재보 관계법령 비교·분석 3. 비화재보 관련 기준의 문제점 4. 개선방안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공성호, "화재실험을 통한 주택용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3 (23): 98-103, 2009

      2 김태돈,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화재보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3 김강환, "아나로그식 화재 감지기의 효용성 분석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4 최수길,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37-46, 2020

      5 황의홍, "국내⋅외 비화재보의 통계 및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30-40, 2020

      6 Daejeon Fire Headquarter, "Unwanted Fire Alarms Report ;2018-2019" 2019

      7 "UL 268, Standard for Safety"

      8 이춘하, "UL 268 시험화원에 따른 CO센서의 화재감지센서로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8 (28): 54-63, 2014

      9 "UL 217, Standard for Safety"

      10 National Fire Agency, "The Status of the Dispatch by Fire and Misunderstanding in the Dispatch of 119 Service since 2014" 2019

      1 사공성호, "화재실험을 통한 주택용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3 (23): 98-103, 2009

      2 김태돈,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비화재보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3 김강환, "아나로그식 화재 감지기의 효용성 분석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4 최수길, "실내공기질 측정인자들의 화재감지 경향성 측정을 통한 화재감지 활용가능성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37-46, 2020

      5 황의홍, "국내⋅외 비화재보의 통계 및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34 (34): 30-40, 2020

      6 Daejeon Fire Headquarter, "Unwanted Fire Alarms Report ;2018-2019" 2019

      7 "UL 268, Standard for Safety"

      8 이춘하, "UL 268 시험화원에 따른 CO센서의 화재감지센서로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8 (28): 54-63, 2014

      9 "UL 217, Standard for Safety"

      10 National Fire Agency, "The Status of the Dispatch by Fire and Misunderstanding in the Dispatch of 119 Service since 2014" 2019

      11 HW Government, "The Building Regulations 2010 Fire Safety Approved Document B Volume 2: Buildings other than Dwellings"

      12 HW Government, "The Building Regulations 2010 Fire Safety Approved Document B Volume 1: Dwelling"

      13 Llywodraeth Cymru Welsh Government, "The Building Regulations 2010 ; Approved Document B Volume 2 -Buildings other than Dwellinghouses"

      14 Llywodraeth Cymru Welsh Government, "The Building Regulations 2010 ; Approved Document B Volume 1 -Dwellinghouses"

      15 Northern Ireland Government, "The Building Regulations (Northern Ireland) 2012"

      16 Scottish Government, "Technical Handbook - Non-Domestic"

      17 Scottish Government, "Technical Handbook - Domestic"

      18 The Fire Protection Research Foundation, "Smoke Alarm Nuisance Source Characterization – Phase 1 ; Final Report" 2014

      19 National Fire Agency, "Reference Materials for Selecting and Managing Adaptability Detectors by Location -For Non-Fire Alarm Arrangement"

      20 National Fire Agency, "National Fire Safety Code Commentary 2"

      21 National Fire Data Center, "National Fire Incident Reporting System, Complete Reference Guide"

      22 "NFPA 901, Standard Classifications for Incident Reporting and Fire Protection Data"

      23 "NFPA 72, National Fire Alarm and Signaling Code"

      24 Incident Recording System, "Incident Recording System’s Questions in April 2012"

      25 "ISO 7240-7,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s"

      26 Government U.K, "Home Office - The Regulatory Reform (Fire Safety) Order 2005 - Call for Evidence"

      27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e, "Fire Service Guide to Reducing Unwanted Fire Alarm"

      28 National Fire Agency, "Fire Department On-Site Unwanted Alarm Inspection Checklist (Complete Analysis Data)"

      29 "BS EN 54-7, Fire Detection and Fire Alarm Systems"

      30 "BS EN 14604, Smoke Alarm Devices"

      31 "BS 5839-6;2019, Fire Detection and Fire Alarm Systems for Buildings"

      32 "BS 5839-1;2017, Fire Detection and Fire Alarm Systems for Buildings"

      33 Fire Protection Association, "Automatic Fire Alarm &Detection System"

      34 J. H. Han, "An Improvement Plan of In-house Fire Fighting Facilities Inspection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Kyonggi University 2017

      35 H. M. Song,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Fire Investigation Reporting Methods in the Korean Fire Department through Analysis on Fire Cases Occurring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niversity of Seoul 2005

      36 S. H. Park,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ply Confirmation Legal System of order to Take Measures according the In-House Inspection Fire-fighting System" Gachon University 2020

      37 J. I. Lee, "A Study on Limitation of Liability for Effective Identification of Fire Causes" Gachon University 2017

      38 S. Y. Jin, "A Study on Characteristic Analysis is Sensing Factor Detection about Polyurethane foam fire in UL 268" 4-, 2020

      39 Incident Recording System, "A Number of Changes to the Categories of the Incident Recording System's Questions ;False Alarm"

      40 International Fire Code, "2018 International Fire Cod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화재.소방학회지 ->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RANSACTION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5 0.6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