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중복음 표제어의 기원으로서 미국 각성운동과 부흥운동 일고: 윌리엄 맥클로플린(William G. McLoughlin)의 『부흥, 각성, 그리고 개혁』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of the American Awakening and Revival movement as the Origin of the Fourfold Gosp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55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plores the origins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which are the headwords of the Fourfold Gospel. Generally, the origin of the Fourfold Gospel is traced back to A.B. Simpson. However, while acknowledging that Simpson was the first person to combine the four headings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into the heading of the Fourfold Gospel, these four headings are key conceptual words that summarize the American awakening and revival movements. William G. McLoughlin’s Revival, Awakenings, and Reform strongly suggests this fact.
      As already implied by Donald W. Dayton, in Theological Roots of Pentecostalism, the Fourfold Gospel in the form of a fourfold structure is not the exclusive product of any individual or individual denomination but the revival of the holiness-Pentecostal movement. It was a religious asset jointly owned by these movements. McLoughlin’s historical narrative clearly reveals that the origin of the Fourfold Gospel, an asset of common faith, was the core concept of the revival that permeated the American awakenings and revival movements.
      번역하기

      This thesis explores the origins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which are the headwords of the Fourfold Gospel. Generally, the origin of the Fourfold Gospel is traced back to A.B. Simpson. However, while acknowledging...

      This thesis explores the origins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which are the headwords of the Fourfold Gospel. Generally, the origin of the Fourfold Gospel is traced back to A.B. Simpson. However, while acknowledging that Simpson was the first person to combine the four headings of regeneration, sanctification, healing, and the Second coming into the heading of the Fourfold Gospel, these four headings are key conceptual words that summarize the American awakening and revival movements. William G. McLoughlin’s Revival, Awakenings, and Reform strongly suggests this fact.
      As already implied by Donald W. Dayton, in Theological Roots of Pentecostalism, the Fourfold Gospel in the form of a fourfold structure is not the exclusive product of any individual or individual denomination but the revival of the holiness-Pentecostal movement. It was a religious asset jointly owned by these movements. McLoughlin’s historical narrative clearly reveals that the origin of the Fourfold Gospel, an asset of common faith, was the core concept of the revival that permeated the American awakenings and revival movem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사중복음의 표제어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기원에 관하여 탐구하는 논문이다. 일반적으로 사중복음의 기원은 심슨(A.B. Simpson)으로 소급된다. 그러나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라는 네 가지의 표제를 사중복음 이라는 표제어로 묶어낸 최초의 인물이 심슨이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이 네 가지의 표제어는 미국의 각성운동과 부흥운동을 요약하는 핵심 개념어라는 사실을 맥클로플린(William G. McLoughlin)의 부흥, 각성, 그리고 개혁은 강력하게 시사해 주고 있다. 이미, 데이턴(Donald W. Dayton)의 오순절운동의 신학적 뿌리가 넌지시 암시해 주고 있듯이, 사중구조 형태의 사중복음은 어느개인이나 개별 교단의 독점적인 산물이 아니라, 성결-오순절 운동에 속한 부흥운동들이 공동으로 소유했던 신앙자산이었다. 이러한 공동신앙자산인 사중복음의 기원이 미국 각성운동과 부흥운동을 관류했던 부흥의 핵심 개념이었다는것을 맥클로플린의 역사적 서사는 매우 분명하게 드러내 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사중복음의 표제어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기원에 관하여 탐구하는 논문이다. 일반적으로 사중복음의 기원은 심슨(A.B. Simpson)으로 소급된다. 그러나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

      본 논문은 사중복음의 표제어인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기원에 관하여 탐구하는 논문이다. 일반적으로 사중복음의 기원은 심슨(A.B. Simpson)으로 소급된다. 그러나 중생, 성결, 신유, 재림이라는 네 가지의 표제를 사중복음 이라는 표제어로 묶어낸 최초의 인물이 심슨이었다는 사실은 인정하지만, 이 네 가지의 표제어는 미국의 각성운동과 부흥운동을 요약하는 핵심 개념어라는 사실을 맥클로플린(William G. McLoughlin)의 부흥, 각성, 그리고 개혁은 강력하게 시사해 주고 있다. 이미, 데이턴(Donald W. Dayton)의 오순절운동의 신학적 뿌리가 넌지시 암시해 주고 있듯이, 사중구조 형태의 사중복음은 어느개인이나 개별 교단의 독점적인 산물이 아니라, 성결-오순절 운동에 속한 부흥운동들이 공동으로 소유했던 신앙자산이었다. 이러한 공동신앙자산인 사중복음의 기원이 미국 각성운동과 부흥운동을 관류했던 부흥의 핵심 개념이었다는것을 맥클로플린의 역사적 서사는 매우 분명하게 드러내 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신대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성결교회 100년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출판부 2012

      2 스테펜 J. 니콜라스, "조나단 에드워즈의 생애와 사상" 개혁주의신학사 2013

      3 도널드 W. 데이턴, "오순절운동의 신학적 뿌리" 대한기독교서회 2010

      4 오성욱, "에이미 셈플 맥퍼슨 : 국제 사각복음 교회이 설립자" 809 (809): 80-83, 2021

      5 오성욱, "앨버트 심프슨의 사중복음 전도사역" 808 (808): 50-53, 2021

      6 서울신대 성결교회신학연구위원회, "성결교회신학(상)"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2007

      7 Simpson, A. B, "사중의 복음"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1980

      8 존 울프, "복음주의 확장" CLC 2010

      9 데이비드 W. 베빙턴, "복음주의 전성기 : 스펄전과 무디의 시대" CLC 2012

      10 제프리 R. 트렐로어, "복음주의 분열" CLC 2021

      1 서울신대 현대기독교역사연구소, "한국성결교회 100년사" 기독교대한성결교회출판부 2012

      2 스테펜 J. 니콜라스, "조나단 에드워즈의 생애와 사상" 개혁주의신학사 2013

      3 도널드 W. 데이턴, "오순절운동의 신학적 뿌리" 대한기독교서회 2010

      4 오성욱, "에이미 셈플 맥퍼슨 : 국제 사각복음 교회이 설립자" 809 (809): 80-83, 2021

      5 오성욱, "앨버트 심프슨의 사중복음 전도사역" 808 (808): 50-53, 2021

      6 서울신대 성결교회신학연구위원회, "성결교회신학(상)"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2007

      7 Simpson, A. B, "사중의 복음"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출판부 1980

      8 존 울프, "복음주의 확장" CLC 2010

      9 데이비드 W. 베빙턴, "복음주의 전성기 : 스펄전과 무디의 시대" CLC 2012

      10 제프리 R. 트렐로어, "복음주의 분열" CLC 2021

      11 마크 A. 놀, "복음주의 발흥 : 에드워즈, 휫필드, 웨슬리의 시대" CLC 2012

      12 더글라스 A. 스위니, "복음주의 미국 역사" CLC 2015

      13 Hills, A. M, "믿음과 기도의 영웅 마틴 냅" 서울신학대학교 출판부 2018

      14 로저 핑크, "미국 종교 시장에서의 승자와 패자" 서로사랑 2014

      15 오성욱, "드와이트 라이먼 무디" 810 (810): 68-72, 2021

      16 박명수, "근대사회와 복음주의" 한들출판사 2008

      17 Kidd, Thomas S, "The Great Awakening : The Roots of Evangelical Christianity in Colonial America" Yale University Press 2007

      18 Carnes, Mark C., "The American Nation : A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Pearson Education, Inc 2006

      19 McLoughlin, William G, "Revival, Awakenings, and Refor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20 Finny, Charles Grandison, "Lectures on revivals of religion" Crocker & Brewster 1835

      21 Butler, Jon, "Enthusiasm Described and Decried : The Great Awakening as Interpretive Fiction" 69 : 303-325,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