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에 관한 연구 경향과 과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시민성에 관한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디지털 시민성 관련 연구 57편을 선정하여, 연구 시기, 연구 분야, 연구 방법, 연구 목적, 연구내용에 따라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시기별로 분석하였을 때 관련 논문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들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분야별로 보았을 때, 대분류에서는 사회과학, 소분류에서는 교육학이라는 단일 분야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 방법별로 분석하였을 때 문헌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양적 연구, 통합 연구, 질적 연구 순이었으며, 질적 연구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목적별로 보았을 때는 기초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응용 연구, 평가 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는 초기 연구부터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평가 연구의 경우 최근에 시작되어 누적된 논문의 수도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섯째,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경향을 보면 최근 들어 디지털 시민성을 역량의 차원에서 접근한 연구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민성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시민성에 관한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디지털 시민성 관련 연구 57편...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시민성에 관한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디지털 시민성 관련 연구 57편을 선정하여, 연구 시기, 연구 분야, 연구 방법, 연구 목적, 연구내용에 따라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시기별로 분석하였을 때 관련 논문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들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분야별로 보았을 때, 대분류에서는 사회과학, 소분류에서는 교육학이라는 단일 분야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 방법별로 분석하였을 때 문헌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양적 연구, 통합 연구, 질적 연구 순이었으며, 질적 연구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목적별로 보았을 때는 기초 연구가 가장 많았고 응용 연구, 평가 연구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는 초기 연구부터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나 평가 연구의 경우 최근에 시작되어 누적된 논문의 수도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섯째,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경향을 보면 최근 들어 디지털 시민성을 역량의 차원에서 접근한 연구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민성 연구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digital citizenship and sugges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I selected 57 research article on digital citizenship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22 and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by period, field, methodology, purpose, and content of th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research period, the number of theses on the topic increas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period, showing a rapid and recent increase.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field, the articles were exceedingly concentrated on social science when classified into large categories and on pedagogy when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Third,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search was the most popular method, followed by quantitative, integrated, and qualitative research, which was found to be rarely adopted. Fourth, regarding the research purpose, basic research topped the list, followed by applied and evaluation research. Although basic and applied research were found to have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from the early years of the research period, evaluation research on the topic is a relatively recent phenomenon, and the accumulated number of such articles remains relatively small. Fifth, regarding the research content, recent years saw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that examined digital citizenship from a competency perspectiv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article presents discussion point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digital citizenship.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digital citizenship and sugges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I selected 57 research article on digital citizenship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22 and analyzed the re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digital citizenship and sugges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o this end, I selected 57 research article on digital citizenship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22 and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by period, field, methodology, purpose, and content of the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regarding the research period, the number of theses on the topic increas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period, showing a rapid and recent increase.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field, the articles were exceedingly concentrated on social science when classified into large categories and on pedagogy when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Third,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search was the most popular method, followed by quantitative, integrated, and qualitative research, which was found to be rarely adopted. Fourth, regarding the research purpose, basic research topped the list, followed by applied and evaluation research. Although basic and applied research were found to have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from the early years of the research period, evaluation research on the topic is a relatively recent phenomenon, and the accumulated number of such articles remains relatively small. Fifth, regarding the research content, recent years saw a sharp increase in the number of studies that examined digital citizenship from a competency perspectiv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article presents discussion point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digital citizenshi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시사점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