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복부/골반 CT 검사 시 팔의 위치에 따른 방사선 선량과 영상화질 비교 연구 = Study on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due to the Arm Position in the Abdomen/Pelvis 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13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ne-year-follow-up test of abdomen/pelvis from 10 patients who were scanned more than twice a years were analyzed the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depend on the position of the arm retrospectively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13. There were classified two groups, group A was examined with raising an arm on standard position and group B was performed with lowering an arm, respectively. Group A of an average mAs from the first dose amount was shown 11.4% less compared to Group B. And the value of CTDI from Group B also was investigated 11.3% less. To compare the quality comparison of the second image as histogram value, the value of max from both of two groups was measured similarly. However, a big difference was shown from the value of min and SD, the short dose was appeared depends on the position of arm even though Group A was radiated more than Group B. Less exposure to the medical image quality only by working CT scan when the examiner actively raise the arm before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high-end equipment introduction of complex algorithms for obtaining an optimized image will be provided to the patient.
      번역하기

      The one-year-follow-up test of abdomen/pelvis from 10 patients who were scanned more than twice a years were analyzed the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depend on the position of the arm retrospectively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13. There were c...

      The one-year-follow-up test of abdomen/pelvis from 10 patients who were scanned more than twice a years were analyzed the radiation dose and image quality depend on the position of the arm retrospectively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13. There were classified two groups, group A was examined with raising an arm on standard position and group B was performed with lowering an arm, respectively. Group A of an average mAs from the first dose amount was shown 11.4% less compared to Group B. And the value of CTDI from Group B also was investigated 11.3% less. To compare the quality comparison of the second image as histogram value, the value of max from both of two groups was measured similarly. However, a big difference was shown from the value of min and SD, the short dose was appeared depends on the position of arm even though Group A was radiated more than Group B. Less exposure to the medical image quality only by working CT scan when the examiner actively raise the arm before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high-end equipment introduction of complex algorithms for obtaining an optimized image will be provided to the pati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3 년도 1 월부터 12 월까지 1 년간 복부/골반 추적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1년간 2회 이상 검사한 환자 10 명에 대해 팔의 위치에 따른 방사선 선량과 image quality 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팔을 올리고 표준 자세로 검사한 그룹을 A, 팔을 내리고 검사한 그룹을 B 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선량비교에서 A 그룹은 B 그룹에 비해 평균 mAs 량이 11.4 % 적게 조사되었으며 CTDI 값도 11.3 % 작게 나타났다. 두 번째 영상의 화질 비교를 위한 histogram 은 A 그룹과 B 그룹 모두 max 값은 비슷하게 측정되었지만 mean 값과 SD 값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 B 그룹이 A 그룹에 비해 선량을 더 주었지만 팔의 위치에 따라 선량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잡한 알고리즘의 개발과 고사양의 장비도입 이전에 CT 검사 시 검사자가 적극적으로 팔을 올려서 검사하는 노력만으로 적은 피폭선량과 양질의 의료영상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2013 년도 1 월부터 12 월까지 1 년간 복부/골반 추적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1년간 2회 이상 검사한 환자 10 명에 대해 팔의 위치에 따른 방사선 선량과 image quality 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팔...

      2013 년도 1 월부터 12 월까지 1 년간 복부/골반 추적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1년간 2회 이상 검사한 환자 10 명에 대해 팔의 위치에 따른 방사선 선량과 image quality 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팔을 올리고 표준 자세로 검사한 그룹을 A, 팔을 내리고 검사한 그룹을 B 로 분류하였다. 첫 번째 선량비교에서 A 그룹은 B 그룹에 비해 평균 mAs 량이 11.4 % 적게 조사되었으며 CTDI 값도 11.3 % 작게 나타났다. 두 번째 영상의 화질 비교를 위한 histogram 은 A 그룹과 B 그룹 모두 max 값은 비슷하게 측정되었지만 mean 값과 SD 값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 B 그룹이 A 그룹에 비해 선량을 더 주었지만 팔의 위치에 따라 선량 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잡한 알고리즘의 개발과 고사양의 장비도입 이전에 CT 검사 시 검사자가 적극적으로 팔을 올려서 검사하는 노력만으로 적은 피폭선량과 양질의 의료영상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alra, Mannudeep K, "Techniques and Applications of Automatic Tube Current Modulation for CT 1" 233 (233): 649-657, 2004

      2 Schauer, D. A, "NCRP report No. 160, ionizing radiation exposure of the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medical exposure—are we doing less with more, and is there a role for health physicists?" 97 (97): 1-5, 2009

      3 E. Seeram, "Image Postprocessing in Digital Radiology—A Primer for Technologists" 39 : 23-41, 2008

      4 E. Seeram, "Digital image compression" 76 : 449-459, 2004

      5 Brenner DJ, "Computed tomography: an increasing source of radiation exposure" 357 : 2277-2284, 2007

      6 Lee, EJ, "Comparison of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between fixed tube current and combined automatic tube current modulation in craniocervical CT angiography" 30 (30): 1754-1759, 2009

      7 모경환, "CT 흉 · 복부 통합검사 시 선량분석" 한국방사선학회 8 (8): 401-408, 2014

      1 Kalra, Mannudeep K, "Techniques and Applications of Automatic Tube Current Modulation for CT 1" 233 (233): 649-657, 2004

      2 Schauer, D. A, "NCRP report No. 160, ionizing radiation exposure of the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medical exposure—are we doing less with more, and is there a role for health physicists?" 97 (97): 1-5, 2009

      3 E. Seeram, "Image Postprocessing in Digital Radiology—A Primer for Technologists" 39 : 23-41, 2008

      4 E. Seeram, "Digital image compression" 76 : 449-459, 2004

      5 Brenner DJ, "Computed tomography: an increasing source of radiation exposure" 357 : 2277-2284, 2007

      6 Lee, EJ, "Comparison of image quality and radiation dose between fixed tube current and combined automatic tube current modulation in craniocervical CT angiography" 30 (30): 1754-1759, 2009

      7 모경환, "CT 흉 · 복부 통합검사 시 선량분석" 한국방사선학회 8 (8): 401-408,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1-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방사선학회 -> 한국방사선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Radiology ->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452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